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의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구조적인 관계에 대하여 파악함으로써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방안을 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55836
2015
-
KCI등재
학술저널
393-406(1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의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구조적인 관계에 대하여 파악함으로써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방안을 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의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구조적인 관계에 대하여 파악함으로써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방안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유치원에 근무하는 일반유아교사,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일반유아교사 등 550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20.0, AMOS 20.0 등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효능감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인 간(환경적 지원태도, 사회적 지원태도, 학습적 지원태도)와 교사효능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 밀접한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애,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3-49, 2010
2 김영한, "특수학급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5-34, 2011
3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4 심우정, "특수교사가 지각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25-244, 2012
5 박혜준,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03-128, 2010
6 김현민,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박화문, "통합교육 패러다임 이동과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재개념화" 2 (2): 25-52, 2001
8 유은연, "통합 관련 교사교육이 일반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9, 2007
9 교육과학기술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과학기술부 2013
10 김정현, "장애유아 일반 유치원 통합과 통합의 방해요인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1 김성애,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3-49, 2010
2 김영한, "특수학급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5-34, 2011
3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4 심우정, "특수교사가 지각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25-244, 2012
5 박혜준,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03-128, 2010
6 김현민,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박화문, "통합교육 패러다임 이동과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재개념화" 2 (2): 25-52, 2001
8 유은연, "통합 관련 교사교육이 일반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9, 2007
9 교육과학기술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과학기술부 2013
10 김정현, "장애유아 일반 유치원 통합과 통합의 방해요인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11 김정숙,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의 인식비교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2 김은영,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 -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11-138, 2008
13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57-180, 2013
14 신진숙,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8
15 장진희, "국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소진 관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25-47, 2013
16 西村幸祐, "誰も知らない敎育崩壞の眞實" オ-クラ出版 2008
17 Bailey, D. B., "The federal role in early intervention : Prospects for the future" 20 : 71-78, 2000
18 Burstein, N. D., "The effects of classroom organization on mainstreamed preschool children" 52 (52): 425-434, 1986
19 Coladarci, T.,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60 : 323-337, 1992
20 Coladarci, T., "Teacher efficacy, supervis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resource-room teacher" 90 (90): 230-239, 1997
21 Guskey, T. R., "Teacher efficacy :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31 (31): 627-643, 1994
22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 569-582, 1984
23 Buysse., "Setting effects on friendship formation among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68 : 503-517, 2002
24 Poulou, M.,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its sources :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27 (27): 191-218, 2007
25 Jordan, A., "Classroom teacher’s instruction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who are exceptional, at risk and typically achieving" 18 : 82-93, 1997
26 김대업, "Amos A to Z :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학협사 2008
27 신건권,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청람 2013
28 김계수, "AMOS 16. 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출판사 2008
29 Bennett, M. R., "A study of the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principles toward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gular classroom" 57 (57): 1091-, 1996
수중운동치료가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병원학교 특수교사가 가지는 건강장애학생 및 건강장애학생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중심축 반응훈련 원리를 적용한 배드민턴 놀이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 및 운동협응성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6 | 1.46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