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연구 =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through Systematic Re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6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방법을 택하여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관련 연구들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이를 통해 교과서 선정 기준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방법을 택하여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관련 연구들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수집, 정리하고, 이를 통해 교과서 선정 기준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체계적 문헌 고찰’이란, 특정 연구 질문에 대해 최선의 가용 가능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과학적 연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진의 숙의와 방법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총 8개의 검색 DB를 활용하여 최종 163건의 분석 대상 문헌 자료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김은성 외(2013)에서 도출한 ‘교사가 교과서 선정 시 주목하는 지각 단위(목차, 단원, 제재, 학습활동, 학습목표, 설명, 평가, 분량, 저자, 출판사, 보조자료, 디자인)’ 별로 관련 문헌들의 논의 내용을 모두 추출한 후, 해당 내용들을 살펴 각 지각 단위와 관련하여 중요하게 언급된 속성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렇게 각 지각 단위별로 교과서 선정 시 유의미하게 살펴봐야 하는 속성을 귀납적으로 도출한 결과, 총 12개 지각 단위와 관련하여 총 38개의 속성이 도출되었다. 이처럼 각 지각 단위별로 도출된 속성들은 차후 교과서 선정 기준의 틀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평가 기준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것들로서, 교과서 선정 기준 마련의 기틀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d for developing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For this purpose, we collect extensively references on selecting Korean textbooks then analyze them through ‘systematic review’. Systematic review is the scientific rese...

      This study is purposed for developing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For this purpose, we collect extensively references on selecting Korean textbooks then analyze them through ‘systematic review’. Systematic review is the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which collect, synthesize and organize the utmost available references on some research questions.
      Through 8 search DB, 163 references were lastly selected, then extracted overall passages which referred to 12 perception unit(a table of contents, unit, text, activity, objectives, explanation, assessment, supplementary data, amount, author, publisher, design). We deliberated constantly on them, then drew the properties of each perception unit.
      These properties could be converted into evaluation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such as for example, ‘a table of contents’, ‘Is it systemic?’, ‘Is it representational? and so on.
      Therefore, he total number of 38 properties of 12 perception unit would be supposed to frame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textbook significan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성,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설정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1-28, 2012

      2 윤수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 평가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김은성, "사용자 중심의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 방향 연구 - 국어 교사의 실제 선정 활동 분석을 토대로 -" 국어교육연구소 (31) : 371-400, 2013

      4 박수자,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5 이성영, "국어교과서 정책의 과제" 국어교육연구소 (28) : 219-247, 2011

      6 정혜승, "국어과 교과서 채택 기준과 채택한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반응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5) : 347-383, 2011

      7 남가영,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53-81, 2011

      8 주형주, "국어 교사들의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정혜승, "국어 교과서 평가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433-476, 2004

      10 최인자, "국어 교과서 평가 기준의 비판적 성찰- 2007 개정 중학교 교과서 검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5 : 29-53, 2011

      1 김은성,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설정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1-28, 2012

      2 윤수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 평가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 김은성, "사용자 중심의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 방향 연구 - 국어 교사의 실제 선정 활동 분석을 토대로 -" 국어교육연구소 (31) : 371-400, 2013

      4 박수자,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5 이성영, "국어교과서 정책의 과제" 국어교육연구소 (28) : 219-247, 2011

      6 정혜승, "국어과 교과서 채택 기준과 채택한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반응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5) : 347-383, 2011

      7 남가영,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53-81, 2011

      8 주형주, "국어 교사들의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정혜승, "국어 교과서 평가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433-476, 2004

      10 최인자, "국어 교과서 평가 기준의 비판적 성찰- 2007 개정 중학교 교과서 검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5 : 29-53, 2011

      11 김주환, "국어 교과서 선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국어교육학회 (42) : 347-378, 2011

      12 김지영, "고등학교 국어과 교사들의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대한 실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3 정혜승,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채택 방식과 맥락" 한국독서학회 (24) : 439-473, 2010

      14 최지현,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검정 체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91-318, 2010

      15 김수영 외, "(NECA)체계적 문헌 고찰 매뉴얼" 한국의료보건연구원 신의료기술사업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