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언어학과 언어교육 = Textlinguistics and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54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ist es, die erweiterte Textlinguisik fur den Sprachunterricht nutzbar zu machen. Auch fur den Fremdsprachenunterricht gilt der Umgang mit Texten als Leitprinzip der kommunikativen Didaktik. Der Textlinguistik sollte ein...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ist es, die erweiterte Textlinguisik fur den Sprachunterricht nutzbar zu machen. Auch fur den Fremdsprachenunterricht gilt der Umgang mit Texten als Leitprinzip der kommunikativen Didaktik. Der Textlinguistik sollte einer Fundierungsdisziplin des Sprachunterrichts werden. Anders gesagt: Textbezogenheit ist als grundlegendes didaktisches Prinzip zu verstehen. Vor der Orientierung auf die didaktischen Aspekten der Anwendbarkeit mit dem Feld der Diskurse wird der heutige Forschungsstand der Textlinguistik dargelegt. Die Textlinguistik ermoglicht es, sowohl Oberflachenstrukturen von Texten als auch produktive wie rezeptive Textverarbeitungsprozesse zu beschreiben und zwar bis zur kritischen Diskursanalyse. Die textuellen Phanomene werden einerseits vor dem Hintergrund der Prozesse der Textproduktion und der rezeptiven Textverarbeitung analysiert, andererseits unter Berucksichtigung anderer Texte betrachtet. Diese Ansatze haben die Erweiterung des Textbegriffes und die Entdeckung einer trantextuellen Ebene zur Folge. Die diskursanalytischen Ansatze verneinen also die zentrale kommunikative Rolle des Textes nicht, sondern befordern ihn auf eine hohere Stufe der Erkenntnisspirale, auf der sein kognitiv-kommunikatives Potenzial nachvoliziehbar ist. Daher sind die Diskurse als Lehrgegenstande in die Lehrplane aufzunehmen und neben der allgemeinen Textbezogenheit die Diskursivitat von Texten als didaktisches Prinzip zu berucksichtig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소원, "한국현대시를 통해 본 상호텍스트성"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3 (23): 1-19, 2007

      2 이성만, "텍스트에서 담화로 - 텍스트언어학의 확장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315-340, 2010

      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257-279, 2004

      4 이성만, "텍스트언어학의 계보, 대상 그리고 경향" 언어과학회 (52) : 119-148, 2010

      5 이성만, "텍스트언어학과 작문 -독일 작문교육의 경향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7) : 59-105, 2008

      6 Heinemann, W., "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2001

      7 박은진, "텍스트언어학 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적용 가능성 - 구비설화 텍스트에의 적용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50) : 83-123, 2015

      8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10 <특집: 언어교육과 텍스트언어학>" 박이정 2001

      9 고영근, "텍스트과학 : 언어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11

      10 김정남, "텍스트 언어학과 한국어 교육"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3 : 181-212, 2012

      1 장소원, "한국현대시를 통해 본 상호텍스트성"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3 (23): 1-19, 2007

      2 이성만, "텍스트에서 담화로 - 텍스트언어학의 확장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9 : 315-340, 2010

      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257-279, 2004

      4 이성만, "텍스트언어학의 계보, 대상 그리고 경향" 언어과학회 (52) : 119-148, 2010

      5 이성만, "텍스트언어학과 작문 -독일 작문교육의 경향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7) : 59-105, 2008

      6 Heinemann, W., "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2001

      7 박은진, "텍스트언어학 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적용 가능성 - 구비설화 텍스트에의 적용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50) : 83-123, 2015

      8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10 <특집: 언어교육과 텍스트언어학>" 박이정 2001

      9 고영근, "텍스트과학 : 언어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11

      10 김정남, "텍스트 언어학과 한국어 교육"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3 : 181-212, 2012

      11 신지연, "우리에게 담화(discourse)란 무엇인가; 국어 텍스트의 거시구조 접속" 11 : 7-23, 2006

      12 조국현, "언어 교육에 관한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내용 및 성과"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2 : 143-169, 2007

      13 박영목, "쓰기교육과 읽기교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의 동향" 10 : 1-21, 2001

      14 문종철,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15 김유미,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6 김누리, "비판적 담화분석(CDA)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17 장성아, "비판적 담화분석(CDA)을 활용한 국어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9) : 213-244, 2015

      18 이성만, "미디어언어의 텍스트화용론" 경진 2014

      19 윤석민, "문학작품텍스트의 분석, 그 이론과 실제 - <국화 옆에서>의 텍스트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9 : 183-232, 2015

      20 남가영,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 한국어교육학회 (136) : 139-173, 2011

      21 조국현, "담화의 세계 - 담화언어학의 정체성과 과제" 한국독어학회 (32) : 105-127, 2015

      22 Beaugrande, R.A.de, "담화․텍스트언어학 입문" 양영각 1981

      23 이은희, "국어과 교육과정과 텍스트언어학"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3 : 117-141, 2012

      24 Adamzik, K., "Zur Kulturspezifik von Textsorten" Stauffenburg 15-30, 2001

      25 Adamzik, K., "Textlinguistik. Eine einführende Darstellung" Niemeyer 2004

      26 Janich, N., "Textlinguistik, 15 Einführungen" Narr 2008

      27 Beisbart, "Textlinguistik und ihre Didaktik" 1976

      28 Wodak, R., "Texte und Diskurse" 265-284, 1994

      29 Jäger, S., "Text- und Diskursanalyse" 1991

      30 Adamzik, K., "Sprache: Wege zum Verstehen" Francke 2001

      31 Hoffmann, L., "Rechtsdiskurse. Untersuchungen zur Kommunikation in Gerichtsverfahren" Narr 1989

      32 van Dijk, T., "Principl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4 (4): 249-283, 1993

      33 van Dijk, T., "Method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92-120, 2001

      34 Brinker, K..., "Linguistische Textanalyse, 이성만 역 2004,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역락 1985

      35 Bünting, K.D., "Linguistik und Deutschunterricht" Scriptor Verlag 1973

      36 Heinemann, W., "Grundlagen der Textlingistik" Niemeyer 2002

      37 Zifonun, G., "Grammatik der deutschen Sprache I" Gruyter 1997

      38 Dressler, W. U., "Einführung in die Textlinguistik" Neimeyer 1972

      39 Spitzmüller, J., "Diskurslinguistik" de Gruyter 2011

      40 Fairclough, 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ongman 1995

      41 Busse, D.․, "Begriffsgeschichte und Diskursgeschichte" 10-28, 1994

      42 Klein, J., "Aspekte der Textlinguistik" 245-287,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extlinguistic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8 1.19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