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 =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5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지정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암병동에 근무하는...

      목적: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지정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51명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40문항,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측정도구는 각각 2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높았으며, 영역별 스트레스는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고, 임종환자에게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64점이었으며, 인지정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였으며, 법적 측면, 진실통고에 대한 윤리적 근거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5점으로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소진관리, 임종 전 관리, 의사소통 방법, 임종준비에 대한 의사소통, 마약성 진통제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경력이 길수록, 호스피스 교육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 횟수가 많을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고, 암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인지정도는 낮으며,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evel of stress perceived by nurses who attend dying patients in the cancer care unit;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end-of-life care and related training need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evel of stress perceived by nurses who attend dying patients in the cancer care unit;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end-of-life care and related training need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51 nurses stationed at the cancer care units of fou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the response rate was 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PSS 12.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Nurses experienced a high level of stress in the end-of-life care settings. Their understanding of end-of-life care was above the mid-point of the scale while their training needs for end-of-life care was relatively high. The more experienced the nurses were, the more stressed they were, particularly due to excessive workload. Nurses who served longer in the cancer unit tended to show greater needs for end-of-life care training. Conclusion: This study found nurses perform end-of-life care with a high level of stress but with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thus, showed great needs for related training. Such findings can be useful to develop an end-of-life car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분한, "호스피스 자원 봉사자들의 암 환자 돌봄에 대한 경험" 대한종양간호학회 5 (5): 79-86, 2005

      2 김현경,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8 (8): 131-142, 2005

      3 유양숙,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부담감,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8 (8): 8-17, 2005

      4 이소우,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 개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9 (9): 77-85, 2006

      5 권소희,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연수교육 요구도 조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1 (11): 147-155, 2008

      6 Kang SY,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7 : 237-251, 2001

      7 Lazzarin M, "Moral distress in oncology and haematology units" 19 : 183-195, 2012

      8 Italia S, "Evaluation and art therapy treatment of the burnout syndrome in oncology units" 17 : 676-680, 2008

      9 Kim SN,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17 : 454-463, 2011

      10 Fang CK, "Demoralization among nurses among oncology, palliative care, and intensive care units" 20 (20): 193-, 2011

      1 김분한, "호스피스 자원 봉사자들의 암 환자 돌봄에 대한 경험" 대한종양간호학회 5 (5): 79-86, 2005

      2 김현경,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8 (8): 131-142, 2005

      3 유양숙,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부담감,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8 (8): 8-17, 2005

      4 이소우,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 개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9 (9): 77-85, 2006

      5 권소희,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연수교육 요구도 조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1 (11): 147-155, 2008

      6 Kang SY,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7 : 237-251, 2001

      7 Lazzarin M, "Moral distress in oncology and haematology units" 19 : 183-195, 2012

      8 Italia S, "Evaluation and art therapy treatment of the burnout syndrome in oncology units" 17 : 676-680, 2008

      9 Kim SN,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17 : 454-463, 2011

      10 Fang CK, "Demoralization among nurses among oncology, palliative care, and intensive care units" 20 (20): 193-, 2011

      11 Backer BA, "Death and dying understanding and care. 2nd ed" Delmar Pub 1993

      12 Yoon YA,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end of life care stress" Kwungbook Univ 2010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Cancer facts & figures 20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11

      14 Edmonds C, "Alleviating emotional exhaustion in oncology nurses: an evaluation of Wellspring’s “Care for the Professional Caregiver Program”" 27 : 27-36, 2012

      15 Lee AO, "Acknowledgement for senior ward nurses roles and hospice nursing education demand level" 11 : 51-59, 2007

      16 Stewart AE, "A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and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24 : 611-631, 2000

      17 Han MJ, "A study on the work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clinical nurses" Kongju National Univ 2007

      18 Kwen HJ, "A study on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toward nursing care for dying patients" 14 : 379-404, 1989

      19 Lee YO,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Kyunghee Univ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8 1.53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