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로써 자녀와의 바람직한 관계형성 및 양육을 위한 부모코칭역량을 확인해 봄으로써 유아의 놀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12167
천안 :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 영유아보육학과(석사) 영유아보육 , 2019.12
2019
한국어
충청남도
79 ; 26 cm
지도교수: 김응자
I804:44021-20000031897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로써 자녀와의 바람직한 관계형성 및 양육을 위한 부모코칭역량을 확인해 봄으로써 유아의 놀이...
본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로써 자녀와의 바람직한 관계형성 및 양육을 위한 부모코칭역량을 확인해 봄으로써 유아의 놀이성을 위한 바람직한 부모코칭역량을 제시하여 유아의 보다 건강한 성장발달을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설정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부모코칭역량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네이버 오피스를 이용하여 5∼7세 유아부모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ieberman(1965)의 정의에 기초하여 놀이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1)이 제작한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 fulness Sca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여 사용한 내용 중 일부 문항을 김미숙(2001)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코칭역량과 유아 놀이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코칭역량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코칭역량이 신체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코칭역량 요인 중에서 의사존중역량요인만이 신체적 자발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사회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회적 역량요인과 성장촉진역량요인이 사회적 자발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인지적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코칭역량의 모든 하위변인은 인지적 자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즐거움 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역량요인, 의사존중 역량요인, 자기성장 역량요인, 성장촉진역량요인이 사회적 자발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코칭역량이 유머감각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존중역량요인만이 유머감각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양육자이자 대부분의 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내고 있는 부모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코칭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때 유아는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향후 이 연구는 부모코칭역량이 유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코칭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 부모코칭역량, 유아의 놀이성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to confirm parent coaching competency for desirable relationship formation and parenting with children, thereby suggesting desirable p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to confirm parent coaching competency for desirable relationship formation and parenting with children, thereby suggesting desirable parent coaching competency for children's playfulness and helping children's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oaching competency and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on children's playfuln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8 parents aged 5 to 7 years using Naver Office.
In this study, to measure play disposition based on Lieberman's definition(1965), the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Mi-sook(2001) was used for some of the questions used by Yoo Ae-yeol(1994) which was adapted from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produced by Barnett(199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oaching competency and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factor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hysical spontaneity was found that only the factor of respect for the intention among the factor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pontaneity.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social spontane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pontaneity by the reciprocal competence factor and growth promotion competence factor.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cognitive spontaneity was found that all sub-variables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did not affect cognitive spontaneity.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easure expres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spontaneity by social competency factor, respect for intention factor, self-growth factor, and growth promotion factor.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humor sen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umor sense only by the factor of self-esteem competency.
As the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fancy,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parents who are the caregiver and spend most of their time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ild affects the playfulness when the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is fully demonst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or programs to improve parent coaching competency and the effect of parent coaching competency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Key words : Parent Coaching Competency, Children's Playfuln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