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월원각대조사의 계율관 = The Buddhist precepts according to Sangwol Wong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81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상월원각대조사(1911~1974)는 한국 천태종을 중창하면서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과 수행의 규범을 현대 생활에 맞도록 정비하였다. 계율면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출가자들이 십선계를 ...

      상월원각대조사(1911~1974)는 한국 천태종을 중창하면서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과 수행의 규범을 현대 생활에 맞도록 정비하였다. 계율면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출가자들이 십선계를 수지한다는 것이다. 십선계는 소승과 대승 경전에서 모두 설해지고 있지만 결혼을 하지 않는 비구와 비구니가 출가할 때 이 계를 수지하는 것은 불교 역사상 획기적인 일이다. 기존의 교단에서는 소승 구족계나 대승 보살계를 수지하는 것이 일반적 관행이다. 대조사는 또한 육식과 음주를 일부 허용하고, 두발과 복장을 현대화하여 출가자들이 일반 사회의 대중들과 함께 생활하는 데 큰 불편이 없도록 하였다.
      수행의 규범으로는 관음주송을 생활 속에 실천하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관세음보살`이라는 다섯 글자를 주문처럼 계속 외우는 수행 방식은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도 유지할 수 있는 뛰어난 수행방편이다. 평소에는 낮에 일하고 밤에 정진하는 생활을 유지하다가 여름과 겨울 두 차례에 있는 안거기간동안 집중적으로 수행을 한다.
      이러한 계율과 수행 방식은 출가자만의 전유물이 아니고 재가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이 천태종의 또 다른 큰 특징이다. 재가자도 수행력이 일정한 정도에 이르면 출가자와 똑같이 십선계를 수지하고 법명을 받았다. 재가자가 오계를 수지하는 기존 전통에 비하면 수행자의 생활에 한층 다가간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재가자도 출가자와 똑같이 관음주송을 일상에서 실천하고 안거에 참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승속불이(僧俗不二)의 제도는 대중들이 생활속에서 수행을 실천하는 대승불교를 구현하기 위한 방편이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torer of the Korean Cheontae Order, Great Patriarch Sangwol Wongak (1911-1974), reformed Buddhist precepts and cultivation in a fashion appropriate to the realities of modern life. In terms of precepts, the most defining common characteristic i...

      The restorer of the Korean Cheontae Order, Great Patriarch Sangwol Wongak (1911-1974), reformed Buddhist precepts and cultivation in a fashion appropriate to the realities of modern life. In terms of precepts, the most defining common characteristic is that Buddhist monks and nuns are required to observe the ten wholesome precepts, as explained in both Hinayana and Mahayana scriptures. Observance of these precepts following ordination represents a major innova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m. Thus, in Buddhist monastic communities, the observance of either the so-called hinayanist full precepts or the mahayanist Bodhisattva precepts became a well-established common practice.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of monks and nuns with householders and society, the Great Patriarch Sangwol Wongak partially allowed the consumption of meat and alcohol, and also modernized hair style and dress code.
      A prominent feature of his reforms for cultivation was the emphasis On reciting the spell of Avalokitesvara in daily life, which consists in continuously reciting the five syllables `gwan-se-eum-bo-sal`. This method allows the practitioner to adhere to a life pattern consisting of working during daytime and assiduous practice at night. Twice a year,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retreats, practitioners additionally engage in intensive practice. Characteristic of the Cheontae Order is also the fact that these precepts and methods of cultivation are not the exclusive domain of monks and nuns but, on the contrary, are equally applied to lay Buddhists.
      When the Cheontae lay Buddhists achieve a certain level of practice, they are given dharma-names and encouraged to observe the same set of ten wholesome precepts as monks and nuns do. Thus, lay Buddhists can lead a life of cultivation very close and similar to that of ordained monks and nuns, especially so if compared and contrasted to the widely-established tradition of lay Buddhists observing the five precepts. Lay Buddhists are encouraged to practice the recitation of the spell of Avalokitesvara in their daily life and to participate in retreats, just as monks and nuns do. This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non-duality of monastics and lay Buddhists, corresponds to a skillful method designed to realize the Mahayana ideal according to which all sentient beings practice cultivation in their daily lif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