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효능감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불안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필요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57960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및여가교육전공 , 2025.2
2025
한국어
서울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n stage anxiety of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vii, 82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윤용진
I804:11046-00000055929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효능감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불안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필요한 ...
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효능감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불안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충청 지역에 위치한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법 중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여 총 192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8.0, amo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성취목표성향 11문항, 자기효능감 21문항, 무대불안 2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전공, 무용경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대횟수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목표성향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전공, 무용경력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대횟수에 따른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과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전공, 무용경력, 무대횟수에 따른 무대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성취목표성향은 무대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자기효능감은 무대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은 무대불안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신감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선호는 무대불안 중 인지적 불안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에게 자기효능감은 무대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증명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무대불안을 대처할 수 있는 실증적 방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n stage anxiety of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du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so that students ca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n stage anxiety of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du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and control their anxie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a total of 192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Chungcheong region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8.0 and Amos 22.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items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21 items on self-efficacy, and 25 items on stage anxiet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major and dance experience of dance majors in arts high schoo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goal orientation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ge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major and dance experience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ge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 anxiety according to the major, dance experience, and number of stages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tage anxiety in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self-efficacy on stage anxiety in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Among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of the sub-factors of stage anxiety, namely cogn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and self-confidenc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 sub-factor of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anxiety among stage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tage anxiety in dance majors at art high schools, and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on empirical methods to help students cope with stage anxie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