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의 취업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and the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by Employ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4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ousehold task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pouse's understanding of women's employment and help, and women's gender identity. This study used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s Department Institute. The sample is consisted of four groups(employed1-employed2; employed1-unemployed2;unemployed1-employed2; unemployed2-employed2) and the size is 2084.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f there was a satisfaction of the housework sharing with the spouse,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marit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husbands' weekday work hours but a difference with weekend work hours. In regards to job-satisfaction, if job-family transfer was low,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When spouses shared the housework,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But the conflict due to house chores reduced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couple's relationship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employment status. Also regardless of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if the relationship within a couple was good,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 husband's support did not affect the one who did not have a job.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ousehold task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pouse's understanding of women's employment and help, and women's gender identity. This study used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wo...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ousehold task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pouse's understanding of women's employment and help, and women's gender identity. This study used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s Department Institute. The sample is consisted of four groups(employed1-employed2; employed1-unemployed2;unemployed1-employed2; unemployed2-employed2) and the size is 2084.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f there was a satisfaction of the housework sharing with the spouse,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marit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husbands' weekday work hours but a difference with weekend work hours. In regards to job-satisfaction, if job-family transfer was low,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When spouses shared the housework,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But the conflict due to house chores reduced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couple's relationship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employment status. Also regardless of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if the relationship within a couple was good,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 husband's support did not affect the one who did not have a job.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취업유무에 따른 여성의 가사일 부담, 남편과의 관계, 남편의 여성의직장생활에 대한 이해도 및 실질적인 도움, 일이 가정생활에 지장을주는 정도, 여성들의 성역할인식, 가사와 직장의 병행의 어려움 등이 현재의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여 여성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가정생활 및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 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1차와 2차가 사용되었다.
      1차와 2차에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 1차에 취업상태에 있다 2차에 비취업인 여성, 1차와 2차에 계속 비취업인 여성, 1차에 비취업이나 2차에 취업한여성의 네 집단을 대상으로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가사분담만족에 대해서는 주관적인 태도와 실질적인 만족의 차이가 없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남편이 가사일을평일에 하는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른 결혼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데 주말에 남편이 가사일을 많이 분담할 경우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관련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보면 일-가족 전이가 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낮고 일-가족전이가 낮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았으며, 일만족도가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유무에 관계없이 가사분담이나성적 만족에 대한 태도와 실제의 차이가 적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지지는 주말에 가사일을 많이 해줄 경우 여성의 취업유무에상관없이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현재의 취업유무에 관계없이 부부관계는 결혼만족도를 높였고 가사분담으로 인한 갈등은 결혼만족도를 낮추었다.
      비취업상태인 여성의 경우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과는 달리 남편의 지지는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취업유무에 따른 여성의 가사일 부담, 남편과의 관계, 남편의 여성의직장생활에 대한 이해도 및 실질적인 도움, 일이 가정생활에 지장을주는 정도, 여성들의 성역할인식, 가...

      본 연구에서는 취업유무에 따른 여성의 가사일 부담, 남편과의 관계, 남편의 여성의직장생활에 대한 이해도 및 실질적인 도움, 일이 가정생활에 지장을주는 정도, 여성들의 성역할인식, 가사와 직장의 병행의 어려움 등이 현재의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여 여성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가정생활 및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 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1차와 2차가 사용되었다.
      1차와 2차에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 1차에 취업상태에 있다 2차에 비취업인 여성, 1차와 2차에 계속 비취업인 여성, 1차에 비취업이나 2차에 취업한여성의 네 집단을 대상으로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가사분담만족에 대해서는 주관적인 태도와 실질적인 만족의 차이가 없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남편이 가사일을평일에 하는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른 결혼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데 주말에 남편이 가사일을 많이 분담할 경우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관련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보면 일-가족 전이가 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낮고 일-가족전이가 낮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았으며, 일만족도가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유무에 관계없이 가사분담이나성적 만족에 대한 태도와 실제의 차이가 적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지지는 주말에 가사일을 많이 해줄 경우 여성의 취업유무에상관없이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현재의 취업유무에 관계없이 부부관계는 결혼만족도를 높였고 가사분담으로 인한 갈등은 결혼만족도를 낮추었다.
      비취업상태인 여성의 경우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과는 달리 남편의 지지는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희, "중년기 부부의 애착과 결혼만족: 애착유형과 결혼만족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213-233, 2007

      2 김병수, "원가족 경험 및 결혼만족도와 혼외관계 경험"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177-205, 2007

      3 김미령,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 35-62, 2009

      4 이경재, "여성사무직 근로자 등의 결혼상태와 직무만족도" 30 (30): 198-205, 2008

      5 김갑숙, "아내가 인지한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10 (10): 133-143, 1992

      6 이희숙,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보살핌과 성적 친밀감의 매개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671-689, 2008

      7 오종희, "성의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 (5): 137-158, 2008

      8 윤대혁, "맞벌이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87-109, 2008

      9 김경신, "맞벌이 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14 (14): 1-18, 1996

      10 유계숙,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17-136, 2011

      1 김민희, "중년기 부부의 애착과 결혼만족: 애착유형과 결혼만족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213-233, 2007

      2 김병수, "원가족 경험 및 결혼만족도와 혼외관계 경험"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177-205, 2007

      3 김미령,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 35-62, 2009

      4 이경재, "여성사무직 근로자 등의 결혼상태와 직무만족도" 30 (30): 198-205, 2008

      5 김갑숙, "아내가 인지한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10 (10): 133-143, 1992

      6 이희숙,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보살핌과 성적 친밀감의 매개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671-689, 2008

      7 오종희, "성의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 (5): 137-158, 2008

      8 윤대혁, "맞벌이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87-109, 2008

      9 김경신, "맞벌이 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14 (14): 1-18, 1996

      10 유계숙,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17-136, 2011

      11 김경숙, "기혼취업여성의 직업만족도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12 이진숙,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 경로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소 50 (50): 169-198, 2011

      13 손연정, "기혼 직장여성의 결혼만족도 관련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 12 (12): 143-154, 2008

      14 박경환, "기본직장인의 자아분하 수준에 따른 가정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2010

      15 강혜숙, "결혼초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가족치료학회 16 (16): 135-156, 2008

      16 이선미,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과 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19 (19): 203-220, 2001

      17 조혜선,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경제적 자원, 성 역할관,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37 (37): 5-115, 2003

      18 박태영,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5) : 27-50, 1998

      19 조흥식, "가족복지론" 학지사 2006

      20 Vannoy-Hiller, D., "Wife's employment and quality of marriage" 54 (54): 387-398, 1992

      21 Pearlin, L. I., "The stress process" 22 : 337-356, 1981

      22 Carter, B., "The expanded family life cycle: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perspectives" Pearson Education Co 2005

      23 Kessler, R. C., "The effect of wives' employment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men and women" 47 : 216-227, 1982

      24 Burr, W. R., "Symbolic interaction and the family, in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The Free Press 42-111, 1979

      25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357, 1985

      26 Pavalko, R. M., "Social problems" F. E. Peacock Publishers, Inc 1986

      27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Prentice-Hall 1977

      28 Bradbury, T. N.,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62 (62): 964-980, 2000

      29 Frisco, M. L., "Perceived housework equity marital happiness, and divorce in dual-earner households" 24 : 51-73, 2010

      30 Kim, J. E., "Moving into retirement: Preparation and transitions in late midlife, in Hanbook of midlife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Inc 2001

      31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32 Kail, R. V., "Human development" Wadsworth 2007

      33 Longress, J. 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F. E. Peacock Publishers, Inc 1990

      34 Greenstein, T. N., "Gender ideology and percpetions of the fairnes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lr: Effects on marital quality" 74 (74): 1029-1042, 1996

      35 Anderson, S. A., "Family Interaction: A Multigenerational development perspective" Pearson Education Co 2003

      36 Olson, David H.,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SAGE publications 1989

      37 Vannoy-Hiller, D., "Equal partners: Successful women in marriage" Sage Publications 1989

      38 Lavee, Y., "Division of labor, perceived fairness, and marital quality: The effect of gender ideology" 64 (64): 27-39, 2002

      39 Ross, C. E., "Child care and emotional adjustment to wives' employment" 29 (29): 127-138,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