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가능한 부활 = The Impossible Rebirth: The Subjectivities in the Age of Finance Capitalism in The Razor’s Ed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66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how Somerset Maugham’s The Razor’s Edge (1944) represents the advent of finance capitalism during the interwar years. Specific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series of subjectivities featuring the social milieu based on finance capital set loose over the globe. Maugham has been criticized for focusing on the characters’ externals in a conventional fashion. As a result, he has been marginalized from the academic discourse on the early twentieth-century literature dominated by modernist studies. This paper will prove that Maugham’s attention to the externals is part of his literary design for effectively representing characters who embody the uncontrolled and perpetual proliferation of finance capital without an independent and reflective consciousness. In particular, Larry, the novel’s central character, becomes disillusioned with the declining Western civilization and then travels to foreign soils in search of the opportunity to be symbolically reborn. This paper will prove that the novel eventually debunks the fetishistic nature of this imperial search and unveils it as another cultural expression of supranational finance capitalism.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reevaluation of Maugham’s literary achievement by highlighting his pioneering representation of the post-modern world.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how Somerset Maugham’s The Razor’s Edge (1944) represents the advent of finance capitalism during the interwar years. Specific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series of subjectivities featuring the social milieu based on fi...

      This paper analyzes how Somerset Maugham’s The Razor’s Edge (1944) represents the advent of finance capitalism during the interwar years. Specific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series of subjectivities featuring the social milieu based on finance capital set loose over the globe. Maugham has been criticized for focusing on the characters’ externals in a conventional fashion. As a result, he has been marginalized from the academic discourse on the early twentieth-century literature dominated by modernist studies. This paper will prove that Maugham’s attention to the externals is part of his literary design for effectively representing characters who embody the uncontrolled and perpetual proliferation of finance capital without an independent and reflective consciousness. In particular, Larry, the novel’s central character, becomes disillusioned with the declining Western civilization and then travels to foreign soils in search of the opportunity to be symbolically reborn. This paper will prove that the novel eventually debunks the fetishistic nature of this imperial search and unveils it as another cultural expression of supranational finance capitalism.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reevaluation of Maugham’s literary achievement by highlighting his pioneering representation of the post-modern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서머셋 모옴의 『면도날』(1944)이 20세기 전간기 금융 자본주의 시대의 도래를 어떻게 문학적으로 재현하는지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금융 자본 중심의 사회문화에서 구축되는 일련의 주체성에 주목할 것이다. 모옴은 당대의 모더니즘 작가들처럼 복잡한 내면세계를 탐색하기보다는 관습적인 외양묘사에 치중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결과적으로 모더니즘 연구가 지배하는 20세기 전반 문학에 대한 학계의 담론으로부터 소외되어왔다. 하지만 본고는 외양에 주목하는 모옴 특유의 묘사 방식은 금융 자본주의 사회에서 독립적이고 반성적인 의식을 결여한 채 금융 자본의 무한한 증식과 순환을 체화하는 인물들을 효과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재현 기법임을 증명할 것이다. 특히 소설의 중심인물인 래리는 1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경험하고 미국의 퇴락한 문명에 환멸을 느낀 뒤, 개인과 문명이 새롭게 태어날 가능성, 상징적 ‘부활’의 계기를 찾아 이국을 여행한다. 본고는 래리의 오리엔탈리즘적 갈망과 그가 추구하는 대안적 주체성이 초국가적 금융 자본주의 시대로 진입하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어떻게 맥락화되는지 분석할 것이다. 특히 소설이 ‘영원히’ 늙지 않는 것만 같은 래리의 독특한 외양 묘사를 통해 금융 자본주의 사회의 주체화 과정을 어떻게 알레고리화하는지 분석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고는 모옴이 20세기 탈근대사회가 도래하는 중대한 역사적 시기를 독창적이고 효과적으로 재현했음을 증명함으로써, 향후 그의 문학사적 중요성과 예술적 성취가 재평가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서머셋 모옴의 『면도날』(1944)이 20세기 전간기 금융 자본주의 시대의 도래를 어떻게 문학적으로 재현하는지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금융 자본 중심의 사회문화에서 구...

      본고는 서머셋 모옴의 『면도날』(1944)이 20세기 전간기 금융 자본주의 시대의 도래를 어떻게 문학적으로 재현하는지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금융 자본 중심의 사회문화에서 구축되는 일련의 주체성에 주목할 것이다. 모옴은 당대의 모더니즘 작가들처럼 복잡한 내면세계를 탐색하기보다는 관습적인 외양묘사에 치중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결과적으로 모더니즘 연구가 지배하는 20세기 전반 문학에 대한 학계의 담론으로부터 소외되어왔다. 하지만 본고는 외양에 주목하는 모옴 특유의 묘사 방식은 금융 자본주의 사회에서 독립적이고 반성적인 의식을 결여한 채 금융 자본의 무한한 증식과 순환을 체화하는 인물들을 효과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재현 기법임을 증명할 것이다. 특히 소설의 중심인물인 래리는 1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경험하고 미국의 퇴락한 문명에 환멸을 느낀 뒤, 개인과 문명이 새롭게 태어날 가능성, 상징적 ‘부활’의 계기를 찾아 이국을 여행한다. 본고는 래리의 오리엔탈리즘적 갈망과 그가 추구하는 대안적 주체성이 초국가적 금융 자본주의 시대로 진입하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어떻게 맥락화되는지 분석할 것이다. 특히 소설이 ‘영원히’ 늙지 않는 것만 같은 래리의 독특한 외양 묘사를 통해 금융 자본주의 사회의 주체화 과정을 어떻게 알레고리화하는지 분석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고는 모옴이 20세기 탈근대사회가 도래하는 중대한 역사적 시기를 독창적이고 효과적으로 재현했음을 증명함으로써, 향후 그의 문학사적 중요성과 예술적 성취가 재평가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금융 자본주의 시대의 주체성
      • Ⅲ. 영원한 젊음의 패러독스
      • Ⅳ. 나가며: 모옴의 시대적 대표성과 문학적 유산
      • 인용문헌
      • Ⅰ. 들어가며
      • Ⅱ. 금융 자본주의 시대의 주체성
      • Ⅲ. 영원한 젊음의 패러독스
      • Ⅳ. 나가며: 모옴의 시대적 대표성과 문학적 유산
      • 인용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