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사편찬위원회, "프랑스외무부문서2 -조선Ⅰ·1888" 2003
2 劉敦楨저, "중국고대건축사" 도서출판 세진사 1995
3 서인화, "조선시대진연진찬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4 명세나, "조선시대오봉병(五峰屛) 연구" 이화여대 2007
5 한철호,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박영효 태극기’ 1882)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1884)의 원형 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1) : 125-187, 2008
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문화재" 서울특별시 2003
7 "독립신문"
8 이순우, "덕수궁 돈덕전(惇德殿)의 건립내력에 관한 조사자료"
9 이강칠, "대한제국시대훈장제도" 백산자료원 1999
10 박현정, "대한제국기 오얏꽃문양 연구" 서울대학교 2002
1 국사편찬위원회, "프랑스외무부문서2 -조선Ⅰ·1888" 2003
2 劉敦楨저, "중국고대건축사" 도서출판 세진사 1995
3 서인화, "조선시대진연진찬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4 명세나, "조선시대오봉병(五峰屛) 연구" 이화여대 2007
5 한철호,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박영효 태극기’ 1882)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1884)의 원형 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1) : 125-187, 2008
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문화재" 서울특별시 2003
7 "독립신문"
8 이순우, "덕수궁 돈덕전(惇德殿)의 건립내력에 관한 조사자료"
9 이강칠, "대한제국시대훈장제도" 백산자료원 1999
10 박현정, "대한제국기 오얏꽃문양 연구" 서울대학교 2002
11 이윤상, "대한제국기 국가와 국왕의 위상제고사업" 진단학회 (95) : 81-112, 2003
12 목수현, "근대국가의 ‘국기(國旗)’라는 시각문화 - 개항과 대한제국기 태극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27) : 309-344, 2006
13 李潤相, "고종 즉위 40년 및 망육순 기념행사와 기념물" 29 (29): 2003
14 王大有, "龍鳳文化原流" 동문선 1994
15 楊新, "龍的藝術" 常務印書館香港分館·故宮博物院紫禁城出版社 1988
16 "高宗純宗實錄"
17 문화재청, "集玉齋修理調査報告書" 2005
18 "皇城新聞"
19 "每日申報"
20 "東萊監理各面署報告書(奎18147)"
21 김지영, "朝鮮後期국왕 行次에 대한 연구 : 儀軌班次圖와 擧動記錄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2005
22 "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23 문화재관리국, "昌德宮仁政殿實測調査報告書" 1998
24 "慶運宮重建都監儀軌"
25 정유나, "慶運宮(현덕수궁) 諸殿閣의 내외부 채색에 관한 연구" (7) : 1996
26 서울특별시·한국건축문화연구소, "慶熙宮崇政殿發掘調査報告書" 1990
27 小田省吾, "德壽宮史" 李王職 1938
28 강성원, "德壽宮 石造殿의 원형 추정과 기술사적 의의" 대한건축학회 24 (24): 141-148, 2008
29 "官報"
30 "學部來去文(奎17798)"
31 "奏本"
32 목수현, "大韓帝國期 國家 視覺 象徵의 淵源과 變遷" 한국미술연구소 (27) : 289-321, 2008
33 "外衙門草記(奎19487)"
34 "右侍御廳節目(奎9846)"
35 문화재청, "勤政殿修理工事및實測調査報告書" 2003
36 史仲文主編, "中國藝術史" 河北人民出版社 2006
37 樓廣西, "中國傳統建築文化" 中國旅游出版社 2008
38 "中和殿營建都監儀軌"
39 문화재청, "中和殿實測·修理調査報告書" 2001
40 이성미, "The screen of the Five peaks of the Chosun Dynasty. in: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41 프랑스국립극동연구원, "Souvnir de Seoul, 서울의추억한불1886-190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