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에서 사교 생활의 허영에 대한 수많은 서술, 및 그 언급은 바로 외형적 덕목을 해설 하기 위함이다. 이는 라 로슈푸코가 진실을 향한 집착이 크다는 것으로, 잠언 어디에나 줄곧 보여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21532
1997
-
900
학술저널
73-85(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작품에서 사교 생활의 허영에 대한 수많은 서술, 및 그 언급은 바로 외형적 덕목을 해설 하기 위함이다. 이는 라 로슈푸코가 진실을 향한 집착이 크다는 것으로, 잠언 어디에나 줄곧 보여지...
작품에서 사교 생활의 허영에 대한 수많은 서술, 및 그 언급은 바로 외형적 덕목을 해설 하기 위함이다. 이는 라 로슈푸코가 진실을 향한 집착이 크다는 것으로, 잠언 어디에나 줄곧 보여지며, 이는 자신을 포함해 사교계에서 삶을 영위하는 모든 인간의 심성을 명철히 보려는 의지이다. 가면도 분장도 안한 인간을 보여주려는 의도, 자신의 추함과 보잘것없음을 받아들이기, 환상 또는 허구에서 깨어나기 등, 이러한 것이 라 로슈푸코가 기획했던 목적이었다. 자애심과 인간덕목의 허위에 대한 확인은 그로 하여금 인간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으로 이끈다. 이 잠언집은 17세기 인간에 관해 만들어진 여러 작품 중의 하나로, 오귀스티니앙적 환경에서 만들어 졌다. 라 로슈푸코는 성 아오스딩의 신학을 추종한 17세기의 쟝세니슴의 세계관처럼, 인간성이 원래 원죄를 지은 이후로 근본적으로 타락되었고, 또한 인간성이 이해관계나 오만함으로 나타나지는 자애심으로 말미암아 사악해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아오스딩 사상과 - 특히 그의 자애심을 부각한 신국론을 언급하면서 - 라 로슈푸코의 인간의 덕목, 및 그의 잠언에 관해 연계된 동질성을 살펴본 것이다.
MAUVAIS SANG (LEOS CARAX, 1986)에 나타난 형식미학과 현대회화적 이미지 연구
유럽연합의 통합정치와 그 경험: 아시아,태평양지역에의 적응과 한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