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위계의 교차 위에 놓여있는 이중민족사회화 = Parenting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Bi-ethnic socialization at the intersection of hierarch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6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in the Korean society by referring to the concept of bi-ethnic socialization.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residing in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They were raising at least one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or preschool aged over 5 who had a Korean biological father.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data with the participants. Firstly, the contents of parenting experiences that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comprised of 4 categories. For the first category,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economic activities to meet the financial needs of their families both in Korea and Vietnam and to become capable and proud mothers. However, due to the economic hardships that require immediate attention and the subsequent child care gap, the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y in practicing ethnic socialization of their children. The second category represented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ho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s the mainstream experience of the Korean society. The way they supported their children’s academics varied depending on their financial situations,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The third category depicted the limitations in practicing certain parenting behaviors due to the pervasiveness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resulting from the marginalized status of the Vietnamese ethnicity in South Korea. However, they negotiated and adjusted their position as parenting agents and simultaneously performed preparation for bias as mothers raising bi-ethnic children. The fourth category characterized the practice of cultural socialization that transmitted Vietnamese culture and tradition to their children, which was deeply related to the attitudes of their family members toward the Vietnamese culture. Cultural socialization was not only a matter of preference but also a reflection of respect for the Vietnamese culture, and of power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Secondly, the core category discovered from this study was the bi-ethnic socialization at the intersection of hierarchies. In the four categories of parenting experiences discussed above, the practice of bi-ethnic socialization enacted by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specific contents of bi-ethnic socializ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 and the family. Therefore,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positions of various social roles/statuses in which each participant belonged, various forms of bi-ethnic socialization indicated the intersectionality does not exist in a single dimension but a matrix of multiple dimensions. The core category suggests that bi-ethnic socialization of the ethnic minority population could vary depending on their statuses on multiple social dimensions.
      번역하기

      The current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in the Korean society by referring to the concept of bi-ethnic socialization.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 marriage migrant women from...

      The current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in the Korean society by referring to the concept of bi-ethnic socialization.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residing in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They were raising at least one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or preschool aged over 5 who had a Korean biological father.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data with the participants. Firstly, the contents of parenting experiences that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comprised of 4 categories. For the first category,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economic activities to meet the financial needs of their families both in Korea and Vietnam and to become capable and proud mothers. However, due to the economic hardships that require immediate attention and the subsequent child care gap, the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y in practicing ethnic socialization of their children. The second category represented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ho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s the mainstream experience of the Korean society. The way they supported their children’s academics varied depending on their financial situations,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The third category depicted the limitations in practicing certain parenting behaviors due to the pervasiveness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resulting from the marginalized status of the Vietnamese ethnicity in South Korea. However, they negotiated and adjusted their position as parenting agents and simultaneously performed preparation for bias as mothers raising bi-ethnic children. The fourth category characterized the practice of cultural socialization that transmitted Vietnamese culture and tradition to their children, which was deeply related to the attitudes of their family members toward the Vietnamese culture. Cultural socialization was not only a matter of preference but also a reflection of respect for the Vietnamese culture, and of power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Secondly, the core category discovered from this study was the bi-ethnic socialization at the intersection of hierarchies. In the four categories of parenting experiences discussed above, the practice of bi-ethnic socialization enacted by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specific contents of bi-ethnic socializ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 and the family. Therefore,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positions of various social roles/statuses in which each participant belonged, various forms of bi-ethnic socialization indicated the intersectionality does not exist in a single dimension but a matrix of multiple dimensions. The core category suggests that bi-ethnic socialization of the ethnic minority population could vary depending on their statuses on multiple social dimen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탐색하여 이중민족가족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수행해나가는 주체적인 양육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남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5세 이상 유아나 초등학생 자녀를 1명 이상 양육하고 있는 수도권 거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22명을 개별 심층면접하였으며, 근거이론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은 크게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첫째,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의 경제적 필요를 채우고 당당한 엄마로 서기 위해 경제활동에 임하고 있었으나, 생계와 돌봄공백 앞에 이중민족사회화는 요원하였다. 둘째, 학습지도에 치우친 한국의 양육담론 속에서 자녀의 공부와 학업성취를 한국사회의 주류 경험으로 인식하였으나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베트남에 대한 한국사회의 차별과 편견, 주변화 되어 있는 베트남의 민족적 지위는 이들의 주체적 양육을 제한하였으나 이들은 양육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협상하고 조정하였다. 넷째, 자녀에게 베트남의 문화와 전통을 전달하는 문화적 사회화의 실천에는 베트남 문화에 대한 가족들의 존중 정도와 가정 내 권력관계가 반영되어 있었다. 네 가지 범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을 아우르는 핵심범주가 ‘위계의 교차 위에 놓여있는 이중민족사회화’임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이중민족가족 내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민족적 소수자의 이중민족사회화가 개인이 처한 다양한 위계의 조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조명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탐색하여 이중민족가족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수행해나가는 주체적인 양육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구성...

      이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탐색하여 이중민족가족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수행해나가는 주체적인 양육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남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5세 이상 유아나 초등학생 자녀를 1명 이상 양육하고 있는 수도권 거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22명을 개별 심층면접하였으며, 근거이론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은 크게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첫째,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의 경제적 필요를 채우고 당당한 엄마로 서기 위해 경제활동에 임하고 있었으나, 생계와 돌봄공백 앞에 이중민족사회화는 요원하였다. 둘째, 학습지도에 치우친 한국의 양육담론 속에서 자녀의 공부와 학업성취를 한국사회의 주류 경험으로 인식하였으나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베트남에 대한 한국사회의 차별과 편견, 주변화 되어 있는 베트남의 민족적 지위는 이들의 주체적 양육을 제한하였으나 이들은 양육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협상하고 조정하였다. 넷째, 자녀에게 베트남의 문화와 전통을 전달하는 문화적 사회화의 실천에는 베트남 문화에 대한 가족들의 존중 정도와 가정 내 권력관계가 반영되어 있었다. 네 가지 범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을 아우르는 핵심범주가 ‘위계의 교차 위에 놓여있는 이중민족사회화’임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이중민족가족 내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민족적 소수자의 이중민족사회화가 개인이 처한 다양한 위계의 조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조명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범, "호치민 사상과 도이 머이" 동남아연구소 23 (23): 213-240, 2014

      2 이지연, "한국판 가족의 민족사회화 척도(Korean version of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Measure; K-FESM) 타당화: 중국 및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어머니를 둔 초등학교 5-6학년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3 (23): 111-134, 2019

      3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 1 (1): 113-143, 2012

      4 이채원, "한국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역할 찾아가기 과정-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1) : 251-279, 2013

      5 성미애, "한국가족을 말하다: 현상과 쟁점" 하우 127-145, 2015

      6 서덕희, "한국 다문화 연구의 특징과 한계-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녀에 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3 (3): 5-32, 2010

      7 김소희, "학부모 교육열의 내러티브적 접근" 한국교육학회 42 (42): 271-313, 2004

      8 정혜실, "파키스탄 이주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의 주체성에 관한 연구 : 파키스탄 커플모임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6년 9월호"

      10 황정미, "초국적 이주와 여성의 시민권에 관한 새로운 쟁점들" 한국여성학회 27 (27): 111-143, 2011

      1 이윤범, "호치민 사상과 도이 머이" 동남아연구소 23 (23): 213-240, 2014

      2 이지연, "한국판 가족의 민족사회화 척도(Korean version of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Measure; K-FESM) 타당화: 중국 및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어머니를 둔 초등학교 5-6학년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3 (23): 111-134, 2019

      3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 1 (1): 113-143, 2012

      4 이채원, "한국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역할 찾아가기 과정-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1) : 251-279, 2013

      5 성미애, "한국가족을 말하다: 현상과 쟁점" 하우 127-145, 2015

      6 서덕희, "한국 다문화 연구의 특징과 한계-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녀에 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3 (3): 5-32, 2010

      7 김소희, "학부모 교육열의 내러티브적 접근" 한국교육학회 42 (42): 271-313, 2004

      8 정혜실, "파키스탄 이주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의 주체성에 관한 연구 : 파키스탄 커플모임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6년 9월호"

      10 황정미, "초국적 이주와 여성의 시민권에 관한 새로운 쟁점들" 한국여성학회 27 (27): 111-143, 2011

      11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 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2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 구자들을 위한 안내서" 학지사 2009

      13 박혜경,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인식" 한국여성연구소 8 (8): 159-196, 2008

      14 윤수현, "일본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하는 자녀에 대한 민족사회화 수행: 만 7-18세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33 (33): 15-29, 2015

      15 여성가족부, "이중언어로 소통하는 다문화 인재를 함께 키웁니다"

      16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도서출판 이산 2002

      17 채수홍, "베트남 2017: 경제, 정치, 대외관계의 현황과 전망" 한국동남아학회 28 (28): 21-51, 2018

      18 신윤환, "동남아 문화 산책" 창비 2008

      19 이은아,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노릇과 정체성 : 자녀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115-146, 2013

      20 이지연,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336-362, 2016

      21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 이중언어환경조성사업 실행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정책과 2014

      22 김미진, "다문화가족 외국인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민족-인종사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73-89, 2012

      23 황정미, "다문화 사회와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 - 모성 담론의 재구성과 어머니의 시민권에 관한 고찰" 아시아여성연구원 51 (51): 103-142, 2012

      24 서덕희, "농촌 국제결혼가정 아동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맥락적 이해: 전남 소규모 초등학교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87-120, 2011

      25 김현미, "글로벌 신자유주의 경제질서와 이동하는 여성들" 5 : 121-142, 2010

      26 Charmaz, K., "근거이론의 구성 : 질적 분석의 실천 지침" 학지사 2013

      27 Glaser, B. G., "근거이론 분석의 기초 : 글레이저의 방법" 학지사 2014

      28 Glaser, B. G., "근거 이론의 발견 : 질적 연구 전략" 학지사 2011

      29 김경근, "교육열 현상으로서의 저출산: 중산층 기혼자의 자녀 수 결정 배경과 양육방식"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1-34, 2017

      30 설진배,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과 초국가적 정체성:한국생활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20 (20): 229-260, 2013

      31 O’donoghue, M., "White mothers negotiating race and ethnicity in the mothering of biracial, Black-White adolescents" 14 (14): 125-156, 2005

      32 Ochs, E., "The cultural structuring of mealtime socialization" 111 : 35-49, 2006

      33 Uman͠a-Taylor, A. J., "The central role of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in Latino adolescents’ cultural orientation" 71 (71): 46-60, 2009

      34 Bracey, J. R, "Socializing race: Parental beliefs and practices in two African American families"

      35 Thomas, A. J., "Racial socialization, racial identity, and race-related stress of African American parents" 18 (18): 407-412, 2010

      36 Rollins, A., "Racial socialization of biracial youth : Maternal messages and approaches to address discrimination" 62 (62): 140-153, 2013

      37 den Boer, A., "Patrilineality, son preference, and sex selection in South Korea and Vietnam" 43 (43): 119-147, 2017

      38 Hughes, D., "Parents’ ethnic-racial socialization practices : A review of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5 : 747-770, 2006

      39 White-Johnson, R. L., "Parental racial socialization profiles : Association with demographic factors, racial discrimination, childhood socialization, and racial identity" 6 (6): 237-247, 2010

      40 Townsend, S. S., "My choice, your categories : The denial of multiracial identities" 65 (65): 185-204, 2009

      41 McHale, S. M., "Mothers' and fathers' racial socialization in African American families : Implications for youth" 77 (77): 1387-1402, 2006

      42 통계청, "KOSIS 통계표: 체류외국인통계(법무부): 국적․지역별 결혼이민자 현황"

      43 통계청, "KOSIS 통계표: 인구동향조사(통계청): 한국인 남편의 혼인종류/외국인 아내의 국적별 혼인"

      44 통계청, "KOSIS 통계표: 인구동향조사(통계청): 시군구별 외국인과의 혼인"

      45 Le, H. T., "Inequality in Vietnamese urban-rural living standards, 1993-2006" 60 (60): 862-886, 2014

      46 Hoi, C. M., "Financial development and income inequality in Vietnam : An empirical analysis" 14 (14): 5-25, 2012

      47 González, A. G.,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among adolescents of Latino and European descent: Do Latina mothers exert the most influence?" 27 (27): 184-207, 2006

      48 Csizmadia, A., "Ethnic-racial socialization and its correlates in families of Black-White biracial children" 63 (63): 259-270, 2014

      49 Huynh, V. W., "Ethnic socialization and the academic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Mexican, Chinese, and European backgrounds" 44 (44): 1202-1208, 2008

      50 Gaskin, A. L., "Encyclopedia of race and racism" Macmillan Reference USA 80-83, 2013

      51 Kvale, S., "Doing interviews" SAGE Publications 2007

      52 Crenshaw, K,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140 (140): 139-167, 1989

      53 Brown, T., "Child, parent, and situational correlates of familial ethnic-race socialization" 69 (69): 14-25, 2007

      54 Miville, M., "Chameleon changes : An exploration of racial identity themes of multiracial people" 52 (52): 507-516, 2005

      55 Boykin, A. W., "Black children: Social, educational, and parental environments" Sage 33-51, 1985

      56 Padilla, A. M, "Bicultural social development" 28 (28): 467-497, 2006

      57 Bélanger, D., "Becoming a migrant : Vietnamese Emigration to East Asia" 86 (86): 31-50, 2013

      58 Bronfenbrenner, U., "Annals of child development: Volume 6: Six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Revised formulations and current issues" JAI Press 187-249, 1989

      59 Garcia Coll, C., "An integrative model for the study of developmental competencies in minority children" 67 : 1891-1914, 1996

      60 Brittian, A. S., "An examination of biracial college youths' family ethnic socialization, ethnic identity, and adjustment: Do self-identification labels and university context matter?" 19 (19): 177-189, 2013

      61 Gonzales-Backen, M. A, "An application of ecological theory to ethnic identity formation among biethnic adolescents" 62 (62): 92-108, 2013

      62 Birks, M., "A thousand words paint a picture : The use of storyline in grounded theory research" 14 (14): 405-417, 2009

      63 Rivas-Drake, D., "A preliminary analysis of associations among ethnic–racial socialization, ethnic discrimination, and ethnic identity among urban sixth graders" 19 (19): 558-58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