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62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의 학교 교육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배양을 위한 지식의 실용성 및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다양한 활동 및 생활과 미술교육의 연계를 강조한다.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미적 문제 상황의 해결을 위해서는 미술적 지식 뿐 만 아니라 각각의 문제 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교과의 지식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문제해결능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능력은 통합교육과정의 실현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개인차를 인정하며 학습의 내용이 상호 관련되어 의미 있게 모아지는 통합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의 화두는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1943〜)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이다. 가드너는 지능을 문제해결능력 또는 특정한 상황 속에서 결과물을 창출해 내는 능력으로 정의하며 인간의 지능은 9가지(논리수학, 언어, 공간, 음악, 신체, 자기성찰, 인간친화, 자연탐구, 실존)로 구성되어 있고, 그 지능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동일하다는 관점을 갖는다. 다중지능이론은 학습자 능력의 다양성과 잠재력을 인정하여 학습자에게 자신감과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교육적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학습자들은 저마다 다른 강점지능 및 약점지능을 가지고 자신만의 지능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학습하기 때문에 같은 교수학습 과정에도 그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크다. 이는 획일화된 교육을 지양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로써,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가장 발달한 지능인 강점지능을 파악해 그에 맞는 개별화 학습 환경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체적인 참여와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미술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돕고, 다른 지능 영역까지 함께 발달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다양한 지능을 골고루 개발해야 한다는 이유에서의 기존의 통합교육이나, 강점을 더욱 계발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수준에서의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강점지능을 적극 활용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중지능 이론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통합교육과 다중지능이 어떻게 관계할 수 있으며 서로 어떤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은 주제작품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과내의 통합과 타 교과와의 통합이 함께 이루어진다.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감상활동과 함께 학습자에게 의미 있으며 종합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경험이 되도록 한다. 영역별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만큼 충분한 시간의 확보를 위하여 1회기 당 2차시의 블록타임제를 적용하였고 6회기로 구성되어 총 12차시의 수업이 진행된다. 수업의 도입과 정리는 공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전개부분의 표현활동은 강점지능별 개별활동으로 진행된다. 수업 전 다중지능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학습자의 강점지능을 파악하고 각기 다른 강점지능별 8명의 이질집단으로 조를 구성한다. 편성된 조 안에서 강점지능별 과제를 수행하고 팀러닝 후 조별발표를 하며 평가는 개인별 포트폴리오와 조별 모둠판넬 발표, 자기평가로 이루어진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과 학습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강점지능에 따라 개별화 제시된 과제를 수행하며 스스로 발견하고 탐구할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어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미술이란 교과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둘째, 미술교과 내의 통합과 더불어 타 교과와 연계된 범교과적인 통합교육을 통하여 비판적인 사고와 종합적 사고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다.
      셋째, 다른 강점지능을 지닌 조원들과의 팀러닝을 통하여 협동심을 기를 수 있고 본인이 지니지 못한 다양한 지능들을 개발시킬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작품 감상을 통해서 미술사적 흐름을 이해할 수 있고 중학교 미술 수업에서 다루어져야할 주요 미술 용어들을 작품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다섯째, 개개인의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한 감정표현 및 작품 제작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미적 감수성과 표현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이 현실적으로 큰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중학생의 인지발달에 적합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의 학습방법과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통합적 수업방식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미술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습자들의 미술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현대 사회의 학교 교육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배양을 위한 지식의 실용성 및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다양한 활동 및 생활과 미...

      현대 사회의 학교 교육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배양을 위한 지식의 실용성 및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다양한 활동 및 생활과 미술교육의 연계를 강조한다.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미적 문제 상황의 해결을 위해서는 미술적 지식 뿐 만 아니라 각각의 문제 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교과의 지식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문제해결능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능력은 통합교육과정의 실현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개인차를 인정하며 학습의 내용이 상호 관련되어 의미 있게 모아지는 통합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의 화두는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1943〜)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이다. 가드너는 지능을 문제해결능력 또는 특정한 상황 속에서 결과물을 창출해 내는 능력으로 정의하며 인간의 지능은 9가지(논리수학, 언어, 공간, 음악, 신체, 자기성찰, 인간친화, 자연탐구, 실존)로 구성되어 있고, 그 지능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동일하다는 관점을 갖는다. 다중지능이론은 학습자 능력의 다양성과 잠재력을 인정하여 학습자에게 자신감과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교육적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학습자들은 저마다 다른 강점지능 및 약점지능을 가지고 자신만의 지능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학습하기 때문에 같은 교수학습 과정에도 그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크다. 이는 획일화된 교육을 지양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로써,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가장 발달한 지능인 강점지능을 파악해 그에 맞는 개별화 학습 환경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체적인 참여와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미술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돕고, 다른 지능 영역까지 함께 발달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다양한 지능을 골고루 개발해야 한다는 이유에서의 기존의 통합교육이나, 강점을 더욱 계발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수준에서의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강점지능을 적극 활용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중지능 이론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통합교육과 다중지능이 어떻게 관계할 수 있으며 서로 어떤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은 주제작품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과내의 통합과 타 교과와의 통합이 함께 이루어진다.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감상활동과 함께 학습자에게 의미 있으며 종합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경험이 되도록 한다. 영역별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만큼 충분한 시간의 확보를 위하여 1회기 당 2차시의 블록타임제를 적용하였고 6회기로 구성되어 총 12차시의 수업이 진행된다. 수업의 도입과 정리는 공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전개부분의 표현활동은 강점지능별 개별활동으로 진행된다. 수업 전 다중지능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학습자의 강점지능을 파악하고 각기 다른 강점지능별 8명의 이질집단으로 조를 구성한다. 편성된 조 안에서 강점지능별 과제를 수행하고 팀러닝 후 조별발표를 하며 평가는 개인별 포트폴리오와 조별 모둠판넬 발표, 자기평가로 이루어진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과 학습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강점지능에 따라 개별화 제시된 과제를 수행하며 스스로 발견하고 탐구할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어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미술이란 교과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둘째, 미술교과 내의 통합과 더불어 타 교과와 연계된 범교과적인 통합교육을 통하여 비판적인 사고와 종합적 사고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다.
      셋째, 다른 강점지능을 지닌 조원들과의 팀러닝을 통하여 협동심을 기를 수 있고 본인이 지니지 못한 다양한 지능들을 개발시킬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작품 감상을 통해서 미술사적 흐름을 이해할 수 있고 중학교 미술 수업에서 다루어져야할 주요 미술 용어들을 작품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다섯째, 개개인의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한 감정표현 및 작품 제작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미적 감수성과 표현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이 현실적으로 큰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중학생의 인지발달에 적합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의 학습방법과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통합적 수업방식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미술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습자들의 미술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3
      • 목 차
      • Ⅰ. 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3
      • Ⅱ. 이론적 배경·····················································································5
      • 1. 다중지능이론의 고찰··································································5
      • 1) 일반지능이론············································································5
      • 2) 다중지능이론의 개념 및 의의 ···············································9
      • 3) 미술교육에서의 다중지능이론·············································18
      • 4)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교육 ······························21
      • 2. 통합교육과정의 고찰·································································27
      • 1)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27
      • 2) 미술교육에서의 통합교육······················································35
      • 3) 다중지능이론과 통합교육과정의 연관성·····························37
      • Ⅲ.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미술통합교육 프로그램··39
      • 1.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설계·····················································39
      • 1) 설계 방향·················································································39
      • 2) 교수-학습 전략·······································································40
      • 3) 학습 목표·················································································43
      • 2. 교수학습 지도안 및 차시별 세부 계획···································45
      • 1)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45
      • 2) 아르침볼도의 <봄>, <여름>, <가을>, <겨울>················54
      • 3) 신윤복의 <월하정인>····························································63
      • 4) 박생광의 <명성황후>····························································71
      • 5) 조지시걸의 <Street Crossing>···········································79
      • 6) 리히텐슈타인의 <M-MAYBE>············································88
      • 3. 평가계획······················································································98
      • Ⅳ. 결론 및 제언················································································100
      • 참 고 문 헌··························································································102
      • ABSTRACT·························································································1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