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등학교 시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의 양상을 파악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692447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서울
(A) study on problems of high school students' poetry appreciation : targeting first year and second year students in high shcools
ix, 277 p. ; 26 cm
지도교수: 고형진
부록수록
참고문헌: p. 255-2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학교 시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의 양상을 파악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시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시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의 양상을 파악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시 감상 특징을 파악하고, 시 감상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으로, 추후 고등학교를 포함하여 중등학교의 시 교육 및 문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주요 골자는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문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 특징을 파악하고, 시 감상의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때 학생들이 본인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각도의, 심층적인 연구를 위하여 토의 및 모둠 감상문 작성 과정을 설계하고 그 전․후의 감상문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감상 양상이 다른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 특징 및 시 감상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 시 감상에 실패를 가져오는 원인에 대하여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여기에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의 방법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감상 대상 시는 서정주의 「동천」, 윤동주의 「서시」, 김소월의 「가는 길」, 정지용의 「무서운 시계」, 곽재구의 「사평역에서」이며, 연구 대상 학생은 4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547명으로, 일체의 간섭을 배제하고 학생들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본인의 감상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Ⅱ.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문 분석>에서는 각 시의 문학적 특징을 살피고, 이에 대한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시 감상문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파악한 후,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 특징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분석 기준은 고등학생들이 시어를 해석하는 관점과 시를 감상하는 세 가지 측면이다. 즉, 반영론적 관점, 표현론적 관점, 효용론적 관점, 구조론적 관점과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 문학적 가치와 태도의 측면이다. 다섯 시의 감상문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의 특징을 귀납적으로 도출해내고, 감상문 분석 결과 및 감상의 어려움을 묻는 설문에 대한 응답을 토대로 시 감상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Ⅲ. 고등학생들의 모둠 감상문 작성 과정 및 후 감상문 분석>과 <Ⅳ.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 과정 분석>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Ⅲ. 고등학생들의 모둠 감상문 작성 과정 및 후 감상문 분석>에서는 고등학생들이 ‘토의 및 모둠감상문 작성’ 과정 후 다시 개인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전․후 개인 감상문을 견주어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전 감상문과 견주어 후 감상문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하되, 그 틀은 ‘감상의 발전 과정-추가, 수정(삭제/교체), 확대․심화’의 측면이다. 주요한 점은 학생들이 본인의 시 감상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등학생들은 토의 및 모둠감상문 작성 과정을 통해 본인의 감상 과정을 반성하고 타인의 감상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본인의 시 감상의 문제점을 인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 및 심층 인터뷰의 내용을 토대로 각 단계별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였다.
<Ⅳ.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 과정 분석>에서는 서로 다른 수준의 시 감상 양상을 보이는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 과정을 관찰, 분석하고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이들이 감상에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밝히고, 시 감상을 잘 못하는 학생들의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고등학생들이 반영론적 관점에서 시를 해석하려 하였으며, 제목을 포함하여 작품 속 난해한 시어에 대하여 대체로 감상하지 못하였다. 또한 시어의 해석적 이해에 치중하여 ‘운율’이나 ‘구조’ 등과 같은 형식적 측면에 대한 감상이 부족하였으며, 주체적으로 비판적인 판단을 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정서적 측면, 문학적 가치․태도의 측면의 감상이 부족하였으며, 적절한 전제나 근거를 들어 타당한 해석이나 감상을 하지 못하고 직관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적은 경우가 많았다. 이밖에 ‘화자’의 개념을 혼동하거나 수사법의 명칭이나 문학적 요소의 명칭 언급에 급급하거나 한편의 완결된 감상문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많았다.
이에 고등학생들의 시 감상의 문제점을 ‘현행 시 감상 교육의 관습 요인’, ‘텍스트 요인’, ‘학생 요인’, ‘감상 표현 과정 요인’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연구 결과를 중등학교 시 교육 및 문학 교육에 적용하여 바람직한 방향 모색을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현재 중등학교 특히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시 교육은 파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고등학생들은 학교 시 교육을 통하여 주체적으로 시를 읽고 심미적․정서적 경험을 하거나, 인간의 삶을 미학적으로 제공 받고 인문 가치를 교육적으로 경험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반성적․비판적 사고를 동반하는 삶의 총체성을 향한 사유를 경험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중등학교 시 교육을 정상의 궤도로 돌려놓고,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하여, 시 읽기의 즐거움을 위한 시 교육 및 문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