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유적 조사가 이루어져 토기가마에 대한 자료도 상당히 증가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고고지자기 시료를 채취한 삼국시대 토기가마 중에서 영남지역 자료에 대해 고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573715
성형미 (동양대학교)
2013
Korean
Geomagnetic field ; Archaeomagnetic dating method ; Baked earth ; Yeongnam region ; Pottery kiln ; 지자기 ; 고고지자기연대측정법 ; 소토 ; 영남지역 ; 토기가마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1-87(1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유적 조사가 이루어져 토기가마에 대한 자료도 상당히 증가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고고지자기 시료를 채취한 삼국시대 토기가마 중에서 영남지역 자료에 대해 고고...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유적 조사가 이루어져 토기가마에 대한 자료도 상당히 증가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고고지자기 시료를 채취한 삼국시대 토기가마 중에서 영남지역 자료에 대해 고고지자기측정결과가 좋은 41점의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이 41점의 측정데이터를 통해 영남지역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를 추정해 보았다. 고고지자기 측정결과를 통해 볼 때 41점의 토기가마의측정데이터는 A, B, C의 3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그룹 사이에는 상대적인 시기 차이가있음이 확인되는데 A그룹이 가장 빠르고 그 다음이 B그룹, 그리고 C그룹이 가장 늦은 시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정리한 표와 도면을 통해 고고지자기 연대를 추정해보았는데, A그룹은 A.D.300 ~ 450년, B그룹은 A.D.450 ~ 550년, C그룹은 A.D.550 ~ 650년이었다. 각 그룹에 속하는 유적과 토기가마에 대해서는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anks to numerous archaeological sites investigations done all over the country, data of pottery kiln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article has organized 41 data with good results after archaeomagnetic analysis of datas from Yeongnam region amo...
Thanks to numerous archaeological sites investigations done all over the country, data of pottery kiln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article has organized 41 data with good results after archaeomagnetic analysis of datas from Yeongnam region among pottery kilns of Three Kingdoms period whose samples has been collected at geomagnetic field. Archaeomagnetic dating of pottery kilns of Three Kingdom period in Yeongnam region was estimated based on these 41 data. Through the results of archaeomagnetic dating method, 41 data on pottery kiln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B and C. There are time gap among each group; A is the earliest, B is the following, and C is the latest. Chart drawn based on the data has helped archaeomagnetic dating to be measured; a group dates back to A.D.300 ~ 450, B group A.D.450 ~ 550, and C group A.D.550 ~ 650. Archaeological sites and pottery kilns of each group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body of this article.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형미, "충청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지자기의 지역적인 차이와 데이터의 신뢰도 문제를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41 (41): 21-33, 2008
2 성형미, "왜관 낙산리 유적 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 15 (15): 2011
3 성형미, "삼가마와 회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7 (27): 291-300, 2011
4 성형미, "고고지자기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주의와 노력, In 石軒 鄭澄元敎授 停年退任記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2006
5 성형미, "韓國考古學 編年硏究를 위한 考古地磁氣學의 基本原理 및 適用" 한국고고학회 55 : 5-34, 2005
6 廣岡公夫, "考古地磁氣による年代推定とその問題點" 28 : 1981
7 廣岡公夫, "考古地磁氣および第四紀古地磁氣硏究の最近の動向" 15 : 1977
8 成亨美, "湖南地域 遺蹟에 대한 考古地磁氣 分析法의 適用" 湖南文化財硏究院 6 : 2006
9 廣岡公夫, "東海地方の地磁氣永年變化曲線, 考古地磁氣の地域差とその年代推定への應用" 1998
10 廣岡公夫, "北陸における考古地磁氣硏究, In 中·近世の北陸-考古學が語る社會史-" 北陸中世土器硏究會 1997
1 성형미, "충청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지자기의 지역적인 차이와 데이터의 신뢰도 문제를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41 (41): 21-33, 2008
2 성형미, "왜관 낙산리 유적 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 15 (15): 2011
3 성형미, "삼가마와 회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7 (27): 291-300, 2011
4 성형미, "고고지자기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주의와 노력, In 石軒 鄭澄元敎授 停年退任記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2006
5 성형미, "韓國考古學 編年硏究를 위한 考古地磁氣學의 基本原理 및 適用" 한국고고학회 55 : 5-34, 2005
6 廣岡公夫, "考古地磁氣による年代推定とその問題點" 28 : 1981
7 廣岡公夫, "考古地磁氣および第四紀古地磁氣硏究の最近の動向" 15 : 1977
8 成亨美, "湖南地域 遺蹟에 대한 考古地磁氣 分析法의 適用" 湖南文化財硏究院 6 : 2006
9 廣岡公夫, "東海地方の地磁氣永年變化曲線, 考古地磁氣の地域差とその年代推定への應用" 1998
10 廣岡公夫, "北陸における考古地磁氣硏究, In 中·近世の北陸-考古學が語る社會史-" 北陸中世土器硏究會 1997
11 성형미, "側口附炭窯에 대한 考古地磁氣學的 硏究" 영남고고학회 (39) : 147-178, 2006
12 Fisher, R. A., "Dispersion on a sphere" 217 : 1953
13 Aitken, M. J., "Archaeomagnetism, in 'Physics and Archaeology', 2nd edition" Clarendon Press 1974
14 Hirooka, K., "Archaeomagnetic study for the past 2,000 years in Southwest Japan" 38 : 197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5-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부산고고학연구회 -> 부산고고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Pusan Archaeological Societ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7 | 1.73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