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남 방언의 정도부사에 대한 연구 I-목록 설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49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list of the degree adverbs in Jeonnam dialect of Korean, and to describe the function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m. To accomplish this, it was necessary to go over the examples of the 147 Jeonnam dia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list of the degree adverbs in Jeonnam dialect of Korean, and to describe the function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m. To accomplish this, it was necessary to go over the examples of the 147 Jeonnam dialect adverbs, to compare with the standard Korean, and to consider forms and semantic variations of the adverbs. By doing these things first, it is possible to decide which adverbs are degree ones. The degree adverbs are classified as pure degree adverbs and quasi degree adverbs. The pure degree adverbs, unlike the quasi degree adverbs, have no real meaning and don’t make derivatives.
      The gradation of the degree adverbs has been described without certain standard. This research examines it by making some proper standards. So the adverbs that presuppose comparing standards are graded 2, and those that don’t have are graded 3.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도부사는 정도성을 지닌 말을수식하여 그 의미를 등급화하는 특성을 지닌 부사로 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이 제시하는 국어 정도 부사의 일치된 목록은 없다. ...

      정도부사는 정도성을 지닌 말을수식하여 그 의미를 등급화하는 특성을 지닌 부사로 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이 제시하는 국어 정도 부사의 일치된 목록은 없다. 본고는 이것이 정도부사 자체의 의미 특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기존의 연구에서 정도부사와 피수식어들의 공유 자질을 밝히고, 정도부사의 개념을 정립하는 데에는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정도부사 그 자체의 성질을 파악하는 데에는 오히려 미흡한 점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 방언의 정도 부사의 목록을 정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중앙어 정도부사에 대한 그동안의 학자들의 개념 정립과 목록 설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정도부사 자체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앙어 정도부사와 의미, 기능적 비교를 통해 147 개의 전남 방언 부사를 후보로 선별한다. 그리고 이 후보 어휘항목들의 특성을 차례로 고찰하여 전남 방언 정도부사의 목록을 확정하려고 한다. 그런 다음 이 연구의 속편으로 씌어져 있는 “전남 방언의 정도부사에 대한 연구 II-의미와 기능 및 분포를 중심으로-”에서 전남 방언 부사를 피수식어 의미를 등급화하는 양상과 지리적 분포에 대하여 논함으로써 이 논의를 완결 짓게 된다.전남 방언의 정도부사에 대한 연구 I
      전남 방언 정도부사의 후보 선별에는 이기갑 외(1998)의 <전남 방언사전>, 정신문화연구원 편(1991)의 <방언자료집 VI 전라남도 편>, 이돈주(1985) <전남 방언> 등의 어휘 자료집을 이용하였고, 용례는 이들 어휘자료집에 소개되는 것과 <민중자서전>, <구비문학대계>과 같은 구술자료집과 <태백산맥>과 같은 소설 자료 및 기타 논문 자료에 나타난 것들을 이용하였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Ⅰ. 머리말 Ⅱ. 정도부사의 개념과 특성 Ⅲ. 전남 방언 정도부사의 목록 설정 Ⅳ. 맺음말

      Ⅰ. 머리말
      Ⅱ. 정도부사의 개념과 특성
      Ⅲ. 전남 방언 정도부사의 목록 설정
      Ⅳ. 맺음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