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능력 신장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해외 한국어교재의 쓰기 활동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장·문단·글 단위의 쓰기 활동을 위해 필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2141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138(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능력 신장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해외 한국어교재의 쓰기 활동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장·문단·글 단위의 쓰기 활동을 위해 필요�...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능력 신장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해외 한국어교재의 쓰기 활동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장·문단·글 단위의 쓰기 활동을 위해 필요한 한국어 쓰기 교육내용 범주를 설정하고, 세부적으로 문법 지식, 문장 구성, 문단 구성, 쓰기 과정, 쓰기 장르로 나누었다. 분석 대상은 북미와 호주 대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초급, 중급의 한국어교재 4종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문법 지식, 문장 구성, 과정, 장르, 문단 구성의 순으로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되었고, 문장 단위 쓰기는 주로 문법 지식을 학습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문장 단위 쓰기가 단순한 문법 연습으로 끝나지 않도록 단원안에서 문단, 글 단위 쓰기와 연결될 필요가 있다. 문단 단위의 쓰기가 극히 미미하여 이를 보완할 교육내용과 활동 연구가 필요하다. 글 단위 쓰기에서 과정이나 장르 관련 교육내용은 비교적 많이 반영된 편이나 과정에서는 내용 생성하기와 수정하기에 치우쳤고, 장르에서는 특정 유형의 장르를 쓰도록 지시하는데만 그쳤다. 통합 교재에서 쓰기 활동이 타 언어 활동과 유연하게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s purposes are checking if writing teaching contents for developing writing ability are reflected in Korean textbooks in balance. I discussed about Korean writing teaching contents’ categories for writing sentences, paragraphs and texts...
This study’s purposes are checking if writing teaching contents for developing writing ability are reflected in Korean textbooks in balance. I discussed about Korean writing teaching contents’ categories for writing sentences, paragraphs and texts. And I divided them 5 like this: grammar knowledges, constructing sentences, constructing paragraghs, writing processes, writing genres. I selected 4 kinds of Korean textbooks that are generally used in North American and Austrailian universities.
In analysis, I cound find more teaching contents according to this order: grammar knowledges, constructing sentences, writing processes, writing genres, constructing paragraghs. Writing sentences’ activities need to be connected with writing paragragh or text, for avoiding simple grammar exercises. In writing paragragh, various contents and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to supply it. In writing text, contents about writing processes are restricted in generating ideas and revision. Contents about writing genres are restricted in directing specific kind of genres. To overcome this problems, writing activities need to be connected with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flexibly in same lesson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란, "한국어교육 교재의 변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영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중 언어 교수 요원 양성 과정생의 작문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353-398, 2010
3 이수진, "한국어 쓰기교육에 대한 호주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105-131, 2016
4 이진영,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장미라, "한국어 문장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국어국문학회 (142) : 361-398, 2006
6 김영미,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87-123, 2010
7 조용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동향" 한말연구학회 (31) : 309-339, 2012
8 이미혜,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7 (17): 463-485, 2010
9 정현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 과정중심적 접근을 통하여"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Tribble, C., "쓰기 : 옥스퍼드 언어교육 지침서" 범문사 2003
1 김영란, "한국어교육 교재의 변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영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중 언어 교수 요원 양성 과정생의 작문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353-398, 2010
3 이수진, "한국어 쓰기교육에 대한 호주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105-131, 2016
4 이진영,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장미라, "한국어 문장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국어국문학회 (142) : 361-398, 2006
6 김영미,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87-123, 2010
7 조용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동향" 한말연구학회 (31) : 309-339, 2012
8 이미혜,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7 (17): 463-485, 2010
9 정현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 과정중심적 접근을 통하여"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Tribble, C., "쓰기 : 옥스퍼드 언어교육 지침서" 범문사 2003
11 김성숙, "실제적 텍스트 중심의 쓰기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 중급 Ⅰ 쓰기 선택반 교재의 개발과 운용에 관하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3 : 299-328, 2008
12 "북미한국어교육학회"
13 김정숙,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95-213, 1999
14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15 Applebee, A. N., "What writers know: The language, process, and structure of written discourse" Academic Press 1982
쓰기 동기화 과정에서 동기 요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경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협동 글쓰기의 국내외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1 | 2.01 | 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4 | 1.63 | 2.755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