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쓰기 동기화 과정에서 동기 요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경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 = A study on the role of motivational elements in writing-motivated process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writing from sour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1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숙련된 필자가 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도록 ‘동기화된’ 학습자를 키워내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쓰기 교육의 지향점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과정으로, 먼저, 쓰기 동기의 가장 핵심 요소로 꼽히는 쓰기 효능감에 대해 로저 외(Roger et al., 2013)의 검사 도구를 활용해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2차례 이상 여러 차례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경험한 연구 참여자와 다른 학습자 간 비교를 통해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동기 요소들이 쓰기 맥락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다른 학습자간 쓰기 효능감의 차이는 표상 과정, 관습, 자기 조절의 하위 요인으로 세분화해서 살펴보았고, 이에 덧붙여 쓰기에 대한 호감 정도를 함께 측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체로 비교 집단보다 쓰기 효능감이 높았다. 쓰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관습, 자기조절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쓰기 호감 정도에서도 그러하였다. 하지만 쓰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표상 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쓰기 동기 요소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사한 인터뷰를 개방코팅, 축 코딩, 선택 코딩의 3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중심 범주는 로저 외(2013)의 검사 도구의 쓰기 효능감 하위 요인을 고려하여 ‘글쓰기의 계기’, ‘아이디어의 생성’, ‘관습’, ‘자기 조절’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 집단에 대한 ‘모델링’이 글쓰기 계기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연구 주제와 관련한 아이디어 생성은 개인적인 ‘흥미’로 형성된 배경 지식에 의존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학술적 성격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관습을 교수나 피드백을 통해 배우면서 ‘쓰기 효능감’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자료 통합적 글쓰기와 관련한 지속적인 글쓰기 훈련을 과 같은 자기 조절 과정에 참여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숙련된 필자가 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도록 ‘동기화된’ 학습자를 키워내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쓰기 교육의 지향점을 구체화하는 방안...

      이 연구에서는 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숙련된 필자가 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도록 ‘동기화된’ 학습자를 키워내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쓰기 교육의 지향점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과정으로, 먼저, 쓰기 동기의 가장 핵심 요소로 꼽히는 쓰기 효능감에 대해 로저 외(Roger et al., 2013)의 검사 도구를 활용해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2차례 이상 여러 차례 자료 통합적 글쓰기를 경험한 연구 참여자와 다른 학습자 간 비교를 통해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동기 요소들이 쓰기 맥락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다른 학습자간 쓰기 효능감의 차이는 표상 과정, 관습, 자기 조절의 하위 요인으로 세분화해서 살펴보았고, 이에 덧붙여 쓰기에 대한 호감 정도를 함께 측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체로 비교 집단보다 쓰기 효능감이 높았다. 쓰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관습, 자기조절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쓰기 호감 정도에서도 그러하였다. 하지만 쓰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표상 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쓰기 동기 요소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사한 인터뷰를 개방코팅, 축 코딩, 선택 코딩의 3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중심 범주는 로저 외(2013)의 검사 도구의 쓰기 효능감 하위 요인을 고려하여 ‘글쓰기의 계기’, ‘아이디어의 생성’, ‘관습’, ‘자기 조절’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 집단에 대한 ‘모델링’이 글쓰기 계기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연구 주제와 관련한 아이디어 생성은 개인적인 ‘흥미’로 형성된 배경 지식에 의존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학술적 성격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 관습을 교수나 피드백을 통해 배우면서 ‘쓰기 효능감’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자료 통합적 글쓰기와 관련한 지속적인 글쓰기 훈련을 과 같은 자기 조절 과정에 참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riting education should aim at developing 'motivated' learner to work on their own to become experienced writer. As a process to shape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s aim, first, the test tool(Roger et al., 2013) was used to compa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econd year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writing from sources two or more times and other learners of the same grade about writing self-efficacy,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writing motivation. And then,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firmed how motivational elements play a role in the context of writing.
      The differences in writing self-efficacy between participants and other learners were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Ideation’, ‘Convention’, ‘Self-regulation’. In addition, ‘Liking Writing Scale’ was measured together.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generally high in writing self-efficacy than the comparative group.
      Among the sub-factors of writing self-efficac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vention’ and ‘Self-regulation’ factors, and even in ‘Liking writing scale’. However, ‘Ideation’, the sub-factor of writing self-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see how writing motivational elements play a role in writing from sources, the transcriptions of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analyzed.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hree steps: open coat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enter category was set as 'The moment of writing', 'Generation of ideas', 'Convention', and 'Self-regulation' consideri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writing efficacy of Roger et al.(2013).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peer groups who were participated in writing from sources through ‘model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observed their peers or were encouraged by them. The creation of ideas related to research topics depend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formed by personal ‘interests’. And they improved the writing self-efficacy by learning the academic convention writing from sources through teaching and feedback. Also, they participated in self-regulated processes such as continuous writing exercises related to writing from sourc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riting education should aim at developing 'motivated' learner to work on their own to become experienced writer. As a process to shape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s aim, first, the test tool(Roger et al., 2013) was used to com...

      In this study, writing education should aim at developing 'motivated' learner to work on their own to become experienced writer. As a process to shape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s aim, first, the test tool(Roger et al., 2013) was used to compa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econd year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writing from sources two or more times and other learners of the same grade about writing self-efficacy,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writing motivation. And then,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firmed how motivational elements play a role in the context of writing.
      The differences in writing self-efficacy between participants and other learners were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Ideation’, ‘Convention’, ‘Self-regulation’. In addition, ‘Liking Writing Scale’ was measured together.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generally high in writing self-efficacy than the comparative group.
      Among the sub-factors of writing self-efficac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vention’ and ‘Self-regulation’ factors, and even in ‘Liking writing scale’. However, ‘Ideation’, the sub-factor of writing self-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see how writing motivational elements play a role in writing from sources, the transcriptions of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analyzed.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hree steps: open coat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enter category was set as 'The moment of writing', 'Generation of ideas', 'Convention', and 'Self-regulation' consideri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writing efficacy of Roger et al.(2013).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peer groups who were participated in writing from sources through ‘model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observed their peers or were encouraged by them. The creation of ideas related to research topics depend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formed by personal ‘interests’. And they improved the writing self-efficacy by learning the academic convention writing from sources through teaching and feedback. Also, they participated in self-regulated processes such as continuous writing exercises related to writing from sour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chunk, D. H., "학습동기: 이론, 연구 그리고 교육" 학지사 2013

      2 이재승, "초등학생용 쓰기 동기 검사 도구 개발과 활용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129-159, 2006

      3 박영민, "중학생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어교육학회 (26) : 337-370, 2006

      4 Boscolo, P., "작문 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 박이정 144-157, 2015

      5 박영민,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동기 구성 요인" 국어교육학회 (30) : 291-328, 2007

      6 박영민, "우리나라 학생들의 쓰기 효능감 발달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95-126, 2009

      7 강민경,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김태경,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작문학회 (30) : 101-140, 2016

      9 도승이, "대학생의 글쓰기 메타인지가 글쓰기 관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617-634, 2015

      10 김석우,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1 Schunk, D. H., "학습동기: 이론, 연구 그리고 교육" 학지사 2013

      2 이재승, "초등학생용 쓰기 동기 검사 도구 개발과 활용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129-159, 2006

      3 박영민, "중학생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어교육학회 (26) : 337-370, 2006

      4 Boscolo, P., "작문 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 박이정 144-157, 2015

      5 박영민,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동기 구성 요인" 국어교육학회 (30) : 291-328, 2007

      6 박영민, "우리나라 학생들의 쓰기 효능감 발달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95-126, 2009

      7 강민경,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김태경,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작문학회 (30) : 101-140, 2016

      9 도승이, "대학생의 글쓰기 메타인지가 글쓰기 관련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617-634, 2015

      10 김석우,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11 Boscolo, P., "Writing and motivation" Oxford 1-16, 2006

      12 Jennifer, W., "Studies in Writing: Vol. 28, Writing as a learning activity" Brill 120-148, 2014

      13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1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Holt 1997

      15 Schunk, D. H., "Self-efficacy, adaptation, and adjustmen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lenum Press 281-303, 1995

      16 Pajares, F.,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66 : 543-578, 1996

      17 Zimmerman, B. J., "Self-efficacy : An essential motive to learn" 25 : 82-91, 2000

      18 Zimmerman, B. J., "Motivation and writing" Bingley 51-69, 2007

      19 Zimmerman, B. J.,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1-30, 2008

      20 Pajares, F.,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111-140, 2008

      21 Troia Gary A., "Motivation Research in Writing :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28 : 5-28, 2012

      22 Solé, I., "Integrating Information : An Analysis of the Processes Involved and the Products Generated in a Written Synthesis Task" 30 (30): 63-90, 2013

      23 Pajares, F.,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elementary students’writing" 90 : 353-360, 1997

      24 Zimmerman, B. J., "Impact of self-regulatory influences on writing course attainment" 31 : 845-862, 1994

      25 Schunk, D. H., "Handbook of Motivation at School" 35-54, 2009

      26 Schunk, D. H., "Goals and progress feedback : Effects on self-efficacy and writing achievement" 18 : 337-354, 1993

      27 Roger, B., "Examining Dimensions of Self-Efficacy for Writing" 105 (105): 25-38, 2013

      28 Bruning, R., "Developing Motivation to Write" 35 (35): 25-37, 2000

      29 Pajares, F.,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writing : The role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y, and apprehension" 28 : 313-329, 1994

      30 Zimmerman, B. J., "Caveats and recommendations about selfregulation of writing : A social cognitive rejoinder" 22 : 115-122, 1997

      31 Zimmerman, B. J., "Acquiring writing revision and self-regulatory skill through observation and emulation" 94 : 660-668, 2002

      32 Zimmerman, B. J.,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 329-339,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