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80년대 이후 고창농악 연행주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formers of Gochang-Nongak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al Music of Farmers) since the 198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2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행위전승과 구비전승으로만 전해지던 농악은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문자로 기록되었고, 1980년대부터는 학문의 체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또한 1980년대에는 국가주의적 관...

      행위전승과 구비전승으로만 전해지던 농악은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문자로 기록되었고, 1980년대부터는 학문의 체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또한 1980년대에는 국가주의적 관점에서의 조사와 연구, ‘풍물굿운동’의 실천, 사물놀이의 확산과 대중적 수용이라는 현상이 농악의 공연, 연구, 교육에서 나타났다. 그런데 1980년대 농악을 둘러싼 이런 형세는 “‘민중문화운동’의 영향을 받은 대학 동아리 출신의 전문적인 농악연행자들”인 ‘대학생 연행주체’의 출현과 관련되어 있다. 그래서 농악 전승에서의 ‘대학생 연행주체’들의 역할과 의미를 고창농악을 중심으로 논의해보았다.
      1980년대 이전 고창에서는 농민, 세습무계 예인, 농민 출신 예인들이 전통적인 농악 연행주체로서 활동하였고, 지주로서 이들을 후원하는 이들이 있었다. 그리고 1980년대에는 고창 각 지역의 농악인들이 소집되어 ‘고창농악단’이 결성되면서 황규언 상쇠의 판제를 중심으로 하는 ‘고창농악’이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다 1990년대에 ‘대학생 연행주체’들이 합류하면서 고창농악은 세대 간의 전승이 순조롭게 이루어졌다.
      ‘대학생 연행주체’들은 농악의 연행주체이면서 동시에 고창농악의 의미와 가치를 발언할 수 있는 담론 주체가 되어 고창농악의 역사, 연행내용, 특징 등을 정리 기록하였고 중단되었던 농악을 복원하고 이를 문서화하여 고창농악을 집대성하였다. 또한 전수활동의 체계화에 힘쓰고 각 읍면 농악단의 육성에 기여함으로써 고창의 농악계에서 입지를 강화하였다.
      이들은 공연이나 전수활동 속에서 ‘굿’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이 용어가 함의하고 있는 ‘굿문화’의 긍정성을 현실의 삶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전수활동 속에서 공동체적 일체감과 농악의 현장감을 경험하도록 한다거나 경연대회 농악에서조차 ‘굿’적인 의미를 지향하는 모습이 바로 굿문화의 창조적인 계승을 위한 실천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들 ‘대학생 연행주체’들은 현재 고창농악 전승의 전반을 책임지고 있으며, 변화하는 농악 전승 환경에 대응할 뿐 아니라 자신들의 지향에 맞는 농악의 전승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ngak, which had been passed down as activity inheritance and oral inheritance, began to be recorded in writing only from the 1960s; and, from the 1980s, it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academic system. Also during the 1980s, research and studies...

      Nongak, which had been passed down as activity inheritance and oral inheritance, began to be recorded in writing only from the 1960s; and, from the 1980s, it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academic system. Also during the 1980s, research and studies on Nongak from a nationalistic perspective, the practice of the “Pungmulgut movement”, and the distribution and popular acceptance of Samulnori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appeared in the performances, studies, and education of Nongak: however, such circumstances around Nongak during the 1980s were related to the emergence of college students as performers who were professional performances from a college club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the “popular cultural movement”. Therefore the study discussed the role and meaning of “college students as performers” in the inheritance of Nongak focusing on Gochang-Nongak.
      Prior to the 1980s, farmers, shamanistic entertainers who inherited, and entertainers who were previously farmers were active as performers of traditional Nongak, and there were their sponsors as landowners. Also during the 1980s, since Nongak people of each region in Gochang were called for, the “Gochang Nongak group” was formed. “Gochang-Nongak’ came to take shape centering on Panje of Hwang Gyu-eon, a leading gong-player. Meanwhile during the 1990s, as “college students as performers” joined the group, Gochang-Nongak faced a natural generational change in inheritance.
      “College students as performers” were the performers of Nongak and at the same time they became the subjects of discourse who are able to mention the meaning and value of Gochang-Nongak. As a result, they summarized and recorded the history, the details of performa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ochang-Nongak; and they restored Nongak, which had been interrupted, and prepared it as a document thereby compiled Gochang-Nongak. In addition they made an effort in systemizing an inheritance activity and contributing to the cultivation of the Nongak group of each eup and myeon; thus they reinforced the position in the Nongak circles of Gochang.
      While using the term “Gut” in the performance or inheritance activity, they were to realize the positive aspect of “Gut-culture” implied in this term in real life. In the inheritance activity, the appearance of having people experience the sense of communal unity and the live feeling of Nongak or of aspiring to the meaning of “Gut” style even in competition Nongak may be the cases of practice for the creative inheritance of Gut-culture.
      The “college students as performers” are responsible currently for the overall inheritance of Gochang-Nongak, and they are not only coping with a changing Nongak inheritance environment but also striving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the inheritance of Nongak that matches their aspi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1980년대 이전 고창지역 농악의 연행주체
      • 3. 1980년대 이후 ‘고창농악’의 성립과 연행주체의 변화
      • 4. 연행 주체 변화에 따른 효과와 의미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1980년대 이전 고창지역 농악의 연행주체
      • 3. 1980년대 이후 ‘고창농악’의 성립과 연행주체의 변화
      • 4. 연행 주체 변화에 따른 효과와 의미
      • 5.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헌, "호남좌도농악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2 가미노치에, "학생풍물패와 전수관 교육, 그리고 경연대회에서보이는 ‘굿’문화의 전승과 재창조" 2012

      3 "고창의 마을굿1"

      4 고창농악보존회, "고창의 마을굿" 나무한그루 2010

      5 권은영, "고창오거리당산제의 복원 과정과 민속학적 가치" 국어문학회 54 (54): 129-153, 2013

      6 "고창문화원 40년사" 고창문화원 2004

      7 고창농악보존회, "고창농악을 지켜온 사람들의 삶과 예술세계" 나무한그루 2010

      8 이명훈, "고창농악보존회장 면담자료"

      9 고창농악보존회, "고창농악" 나무한그루 2009

      10 권은영, "20세기 풍물굿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1 김정헌, "호남좌도농악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2 가미노치에, "학생풍물패와 전수관 교육, 그리고 경연대회에서보이는 ‘굿’문화의 전승과 재창조" 2012

      3 "고창의 마을굿1"

      4 고창농악보존회, "고창의 마을굿" 나무한그루 2010

      5 권은영, "고창오거리당산제의 복원 과정과 민속학적 가치" 국어문학회 54 (54): 129-153, 2013

      6 "고창문화원 40년사" 고창문화원 2004

      7 고창농악보존회, "고창농악을 지켜온 사람들의 삶과 예술세계" 나무한그루 2010

      8 이명훈, "고창농악보존회장 면담자료"

      9 고창농악보존회, "고창농악" 나무한그루 2009

      10 권은영, "20세기 풍물굿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