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사천왕도(四天王圖)의 제작과 봉안 양상 = Lokapala Painting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and Their Consec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시대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조성된 12건의 사천왕도의 제작과 봉안양상을 고찰한다. 1758년에 그려진 <고운사 사천왕도>는 현재 전하는 독존의 사천왕도 가운데 가...

      이 글은 조선시대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조성된 12건의 사천왕도의 제작과 봉안양상을 고찰한다. 1758년에 그려진 <고운사 사천왕도>는 현재 전하는 독존의 사천왕도 가운데 가장 올라가는 작품이다. 독존의 사천왕도는 사천왕 네 구가 네 폭의 화면에 그려져 천왕문에 봉안되는데 기존의 사천왕조각을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그림이 조각을 대신하게 된 데에는 종교적인 이유와 함께 경제적인 배경이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천왕문에 봉안했던 사천왕도는 의식이 행해질 때 야외로 옮겨 의식에도 쓰였던 것으로 짐작되므로 종교적인 기능상의 변화가 있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불사후원의 주체가 바뀐 것 또한 고려할 사항으로 보인다. 17세기 이후 왕실의 불사 후원이 현격히 감소하고, 양란 이후 사찰에 대한 경제적인 핍박 이 심해지자 불교계에서는 승려의 개인재산과 사찰계, 그리고 일반민을 대상으로 한 보시를 통해 불사를 모색하게 된다. 사찰이 불화 조성의 주체가 되면서 왕실이나 양반층에서 후원했던 기복을 위한 불화와는 달리 사찰의 면모를 갖추는데 중요한 주제의 불화를 조성하게 되고 사천왕도는 그러한 범주 에서 제작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사찰 전각에도 군도 형식에서 독립한 독존의 사천왕도가 후불탱 좌우에 봉안된다. 천왕문에 봉안된 사천왕도와는 달리 두 구를 한 폭에 그려 좌우 두 폭이 일조를 이루는 형식이다. 천왕문 사천왕도가 독립적인 예경의 대상으로 조성된 데비해 전각 봉안 사천왕도는 권속의 의미로 봉안된 것으로 보인다. 종교적인 기능이나 용도상의 변화에 의한 독립이 아니라 불전의 물리적인 변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이는 까닭이다. 즉 전각 내부에서 의식을 거행하게 되자 불상과 신도의 위치가 가까워져 불상에 대한 외경심을 높이기 위해 불단의 높이를 높이게된다. 이에 따라 불화를 걸어야 할 후불벽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고 불화는 자연스럽게 가로가 길어지게 된다. 결국 화면의 좌우 양끝에 위치하는 사천왕을 아예 독립시켜 배치하는 방식으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문루에 봉안한 사천왕도는 해남 대흥사 침계루에 유일하게 남아 있다. 한폭에 두 구를 함께 그렸으므로 전각 봉안 사천왕도와 유사한 구성이다. 그러나 두 구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여 네 구를 완전하게 표현하고 있고, 두 폭이 서로 마주보는 배치인 점에서는 천왕문 봉안 사천왕도와 유사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사천왕도는 20세기 초반에 그려졌기 때문에 사천왕도를 문루에 봉안했던 이전의 전통을 이어 그림만 새로 조성한 것인지 문루에 봉안하는 형식 자체가 20세기 초반에 시작되었는지는 앞으로 밝혀져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12 sets of Lokapala paintings produced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 Gounsa Sacheonwang Paintings > produced in 1758 are the earliest work of Lokapala. paintigns consecrated at Lokapala gat...

      This paper considers 12 sets of Lokapala paintings produced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 Gounsa Sacheonwang Paintings > produced in 1758 are the earliest work of Lokapala. paintigns consecrated at Lokapala gates, Buddha halls, or pavilions in Buddhist monasteries. 1 set of Lokapala paintings at Cheonwang-mun is composed of 4 canvases, while one at Buddha halls or pavilions is composed of 2 canvases, one of which has two Lokapalas. The reason why Lokapala represented in paintings instead of sculpture is probably because of economic problems and religious use. Royal households of Joseon less patronized on Buddhism, as Neo-confusionism became deeply rooted as the national ideology from the 17th century. Therefore monks themselves patronized paintings appropriate for the religious use of monasteries. The themes were different from paintings patronized by the royal households for their well-being. Lokapala paintings at Cheonwang-mun seemed to be moved to the courtyard to be used as protectors of the ritual. Lokapala paintings at Buddha halls and pavilions did not have independent position as the object of worship. Instead they kept service as retinue of Buddhas in the paintings on altar. Height of altar at Buddha hall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as decreased and width of Buddhist paintings hung on the altar has increased. The architectural change probably made Lokapala at the four corners in the main Buddhist paintings independent from the paintings. Only one Lokapala painting is extend today at pavilion of Daeheungsa in Haenam. Because the painting was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do not know yet the way Lokapala paintings consecrates at pavilion was new or old tradition, which would be the next theme to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해남 대흥사의 천불 조성과 그 시주자들"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3) : 99-132, 2014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1992

      3 염중섭, "한국 四天王 塔持物의 위치변화에 대한 재고점" 종교와문화연구소 (22) : 205-245, 2014

      4 (재)대한불교진흥원, "팔공산 동화사" 活불교문화단 2011

      5 이정국, "태안사의 가람배치-事蹟記를 中心으로-, In 桐裏山 泰安寺 태안사 지표조사보고서" 대한 불교 조계종 동리산 태안사 2001

      6 李容胤, "조선후기 嶺南의 佛畵와 僧侶門中 연구" 홍익대학교 2015

      7 최학, "조선후기 화승 관허당 설훈(寬虛堂 雪訓)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9) : 189-212, 2012

      8 전경미, "조선후기 호남 북서부지역 소조상 제작기법 및 보존에 대하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2) : 179-209, 2009

      9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연구" 경인문화사 2011

      10 한상길, "조선후기 사원의 불사와 寺刹契" 한국선학회 (28) : 203-247, 2011

      1 이종수, "해남 대흥사의 천불 조성과 그 시주자들"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3) : 99-132, 2014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1992

      3 염중섭, "한국 四天王 塔持物의 위치변화에 대한 재고점" 종교와문화연구소 (22) : 205-245, 2014

      4 (재)대한불교진흥원, "팔공산 동화사" 活불교문화단 2011

      5 이정국, "태안사의 가람배치-事蹟記를 中心으로-, In 桐裏山 泰安寺 태안사 지표조사보고서" 대한 불교 조계종 동리산 태안사 2001

      6 李容胤, "조선후기 嶺南의 佛畵와 僧侶門中 연구" 홍익대학교 2015

      7 최학, "조선후기 화승 관허당 설훈(寬虛堂 雪訓)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9) : 189-212, 2012

      8 전경미, "조선후기 호남 북서부지역 소조상 제작기법 및 보존에 대하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2) : 179-209, 2009

      9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연구" 경인문화사 2011

      10 한상길, "조선후기 사원의 불사와 寺刹契" 한국선학회 (28) : 203-247, 2011

      11 송은석,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사회평론 2012

      12 임영애, "조선시대 사천왕상 존명의 변화" 한국미술사학회 265 (265): 73-104, 2010

      13 김갑주, "조선시대 사원경제사 연구" 景仁文化社 2007

      14 이대암, "조선시대 라마계 천왕문의 수용 및 전개에 대하여-천왕문의 배치와 사천왕 배열에 관한 문제-" 한국건축역사학회 16 (16): 47-66, 2007

      15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6 정명희, "조선시대 水陸齋의 성행과 새로운 불화의 수요: 四直使者圖와 五方五帝位圖" 불교미술사학회 21 : 81-112, 2016

      17 이봉춘, "조선불교의 경제현실과 그 대응활동" 大覺思想硏究院 131-137, 2001

      18 송은석, "조선 후기 佛殿 내 儀式의 성행과 佛像의 造形性" 한국미술사학회 263 (263): 71-97, 2009

      19 최선일, "영동 영국사 목조보살좌상과 조각승 여찬" 호서사학회 (72) : 407-439, 2014

      20 고경, "역주 보림사 중창기" 장흥문화원 2001

      21 임영애,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의 방위문제와 조성시기" 한국서지학회 (30) : 73-95, 2005

      22 조영훈,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소조토의 제작기법과 원산지 해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43-60, 2010

      23 박이택,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301-332, 2004

      24 박은경, "사천왕상 배치형식의 변화 원리와 조선시대 사천왕 명칭" 한국미술연구소 (30) : 271-300, 2010

      25 김홍식, "문화환경보전과 건축" 발언 1993

      26 (재)대한불교진흥원, "두륜산 대흥사" 活불교문화단 2011

      27 목정배, "대흥사(대둔사)" 대원사 1994

      28 (사)불교미술일섭문도회, "근대 대불모 일섭스님의 작품세계" 2016

      29 심효섭, "근대 강화지역의 불화제작과 화승" 6 : 155-183, 2007

      30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서" 2014

      31 권연숙, "경전상 사천왕의 지물과 배치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사천왕상을 중심으로"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0

      32 최선일, "가평 현등사 금동지장보살좌상과 설훈" 인문과학연구소 (44) : 389-409, 2015

      33 金廷禧, "韓國의 佛畵31 大興寺 本末寺 篇" 성보문화재연구원 2004

      34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畵 8 直指寺 篇(上)" 1995

      35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畵 37 白羊寺·新興寺 本末寺 篇" 2007

      36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畵 31 大興寺 本末寺 篇" 2004

      37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畵 21 桐華寺 本末寺 篇" 2001

      38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畵 17 法住寺 本末寺 篇" 2000

      39 성보문화재연구원, "韓國의 佛畵 16 麻谷寺 篇(下)" 2000

      40 李相培, "韓國塑造佛像의 製作技法에 대한 考察" 東國大學校 大學院 1989

      41 장충식, "韓國佛畵 四天王의 配置形式" 211 : 29-55, 1996

      42 朴世敏,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2권" 1993

      43 "藥師琉璃光王七佛本願功德經念誦儀軌供養法"

      44 "直指寺事蹟碑"

      45 대한 불교 조계종 동리산 태안사, "桐裏山 泰安寺 태안사 지표조사보고서" 2001

      46 魯明信, "松廣寺 四天王像에 대한 고찰" 13 : 91-102, 1999

      47 고승희, "朝鮮時代 純祖-純宗代 王室發願 掛佛畵 硏究"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9) : 161-199, 2014

      48 金甲周, "朝鮮時代 寺院經濟硏究" 동화출판공사 1983

      49 정명희, "朝鮮時代 主佛殿의 불화 배치와 기능 - 三壇의 형성과 불화 봉안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88 (288): 61-88, 2015

      50 魯明信, "朝鮮後期 四天王圖의 고찰" 7 : 81-100, 1995

      51 노명신, "朝鮮後期 四天王像에 대한 考察" 202 : 97-126, 1994

      52 韓國學文獻硏究所, "大芚寺誌" 亞細亞文化社 1980

      53 韓國佛敎硏究院, "大興寺 韓國의 寺刹 10" 一志社 1982

      54 심주완, "壬辰倭亂 이후의 大形塑造佛像에 관한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95-138, 2002

      55 朱南哲, "壬辰倭亂 以後의 造營活動에 대한 硏究" (社)韓國文化財保存技術振興協會 1992

      56 提雲般若, "佛說大乘造像功德經" 동국역경원

      57 鄭于澤, "佛甲寺의 佛敎繪畵" 6 : 107-133, 1998

      58 최엽, "20세기전반佛畵의새로운동향과畵僧의입지: 서울安養庵의佛畵를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66 (266): 189-219, 2010

      59 姜永哲, "19세기 초 경기지역 畵嶽·畵潭 門中의 畵僧" (5) : 145-163, 2004

      60 姜永哲, "18세기말-19세기초 경기지역 首畵僧 考察-楊州牧ㆍ水原府 首畵僧들의 畵籍을 중심으로-" (3) : 235-252, 2002

      61 류성룡, "17세기 사천왕상 天王門의 건축형식 展開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1 (21): 69-82, 2012

      62 李承禧, "17세기 佛畵 製作 後援에 대한 考察" 2 : 2004

      63 姜永哲, "1774년 文殊寺 靑蓮庵 佛事의 現場資料-首畵僧 雪訓의 書簡交信을 중심으로" (7) : 341-35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