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대학의 신입생 대상 교육과정 실행 사례 분석 = An Analysis of First-Year Experience in U. S. as an Alternative for College Curriculum Re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59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의 신입생 대상 교육(first-year experience: FYE)의 필요성을 알리고, 한국 대학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효과적으로 정착ㆍ실행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본 연구는 미국의 신입생 대상 교육(first-year experience: FYE)의 필요성을 알리고, 한국 대학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효과적으로 정착ㆍ실행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크게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신입생 대상 교육의 발상지인 미국의 신입생 대상 교육의 역사와 배경 그리고 기본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신입생 대상 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평가되는 5개 미국 대학의 실행 사례를 교육내용, 운영방식, 교육적 효과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셋째, 미국 대학의 신입생 대상 교육 관계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신입생 대상 교육의 도입과 실행에 관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이에 기반하여 향후 한국에 신입생 대상 교육을 성공적으로 도입ㆍ실행하기 위해 요청되는 과제들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제언으로 신입생 지원을 목적으로 한 대학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정부의 지원, 신입생 대상 교육의 준비-실행-보고를 위한 공적 채널 구축과 이를 관리하는 전문 기관 마련, 고등학교와 대학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에 대한 고찰 및 이를 위한 노력, 그리고 대학 자율성을 보장하는 교육정책의 마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of U. S. first-year experience (FYE) and present its suggestions so that it could be introduced to Korean college curriculum and settled and implemented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of U. S. first-year experience (FYE) and present its suggestions so that it could be introduced to Korean college curriculum and settled and implemented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stages are adopted: First, literature review is made in terms of history, background, and directions of U.S. FYE. Second, cases of five U. S. colleges considered to be exemplary ones of FYE a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s, implementa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rd, those responsible for FYE in the five colleges are interviewed to collect their ideas about FYE and, on this basis, examine tasks required to adopt FYE to Korea and implement it successfully in the future.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governmental support to colleg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first-year students, build a formal channel for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FYE, establish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managing the tasks, make considerations and efforts for curriculum articulation between school and college, and make an educational policy for guaranteeing autonomy of colle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신입생 대상 교육의 역사 및 기본 방향
      • Ⅳ. 미국 대학의 신입생 대상 교육 실행 사례
      •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신입생 대상 교육의 역사 및 기본 방향
      • Ⅳ. 미국 대학의 신입생 대상 교육 실행 사례
      • Ⅴ. 신입생 대상 교육의 성공적 도입 및 실행을 위한 아이디어
      • Ⅵ.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경, "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수 멘토링 교육과정의 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673-691, 2011

      2 이지영, "대학 ‘신입생 세미나’ 운영 사례 및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2005

      3 김경언,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충남대학교 2010

      4 정광희, "고교교육정상화와 대학적격자선발을 위한 「고교-대학 연계」 방안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5

      5 Ribbe, R, "Who am I and why am I here? Identity, adventure-based orientation programs and adaptation to college" 2011

      6 Braxton, J. M, "Understanding and reducing college student departure, ASHE-ERIC Higher Education Report" 30 (30): 2004

      7 "U. S. World & News Report, In The ultimate college guide" Sourcebooks, Inc 2010

      8 Fulford, M, "The Freshman Experience at Georgia Tech" 2011

      9 Cavote, S. E, "Suject-based first-year courses: Questions about program effectiveness" 16 (16): 1-18, 2004

      10 Lamport, M. A, "Student-faculty informal interaction and the effect on college student outcomes" 28 : 971-990, 1993

      1 이인경, "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수 멘토링 교육과정의 효과" 한국상담학회 12 (12): 673-691, 2011

      2 이지영, "대학 ‘신입생 세미나’ 운영 사례 및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2005

      3 김경언,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충남대학교 2010

      4 정광희, "고교교육정상화와 대학적격자선발을 위한 「고교-대학 연계」 방안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5

      5 Ribbe, R, "Who am I and why am I here? Identity, adventure-based orientation programs and adaptation to college" 2011

      6 Braxton, J. M, "Understanding and reducing college student departure, ASHE-ERIC Higher Education Report" 30 (30): 2004

      7 "U. S. World & News Report, In The ultimate college guide" Sourcebooks, Inc 2010

      8 Fulford, M, "The Freshman Experience at Georgia Tech" 2011

      9 Cavote, S. E, "Suject-based first-year courses: Questions about program effectiveness" 16 (16): 1-18, 2004

      10 Lamport, M. A, "Student-faculty informal interaction and the effect on college student outcomes" 28 : 971-990, 1993

      11 Tinto, V, "Student success and the building of involving educational communities"

      12 Astin, A. W., "Student involvement: A developmental theory for higher education" 25 : 297-308, 1984

      13 Kahn, J, "Social cognitive predictors of first-year college persistence: The importance of proximal assessment" 42 (42): 633-652, 2001

      14 Drake, R,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freshman orientation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Colorado State University 1966

      15 HERI, "Research brief: Your first college year survey 2010"

      16 Tinto, V, "Principles of effective retention" 2 (2): 35-48, 1990

      17 Gordon, V. N, "Origins and purpose of the freshman seminar, in The freshman year experience: Helping students survive and succeed in college" Jossey-Bass 216-237, 1989

      18 Pascarella, E. T, "Orientation to college and freshman year persistence/withdrawal decisions" 51 : 60-75, 1991

      19 Richard, J. R, "Making the most of college: Students speak their mids" Havard University Press 2004

      20 Tinto, V,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b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1 Wilcox, P,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30 (30): 707-722, 2005

      22 Bean, J. P, "Interaction effects based on class level in an explanatory model of college student dropout syndrome" 22 : 35-64, 1985

      23 Berzonsky, M. D, "Identity status, identity processing style, and the transition to college" 15 (15): 81-98, 2000

      24 Cote, J. E, "Identity formation, agency, and culture: A social phychological synthesis" Lawrnce Erlbaum Association Inc 2002

      25 Troxel, W. G, "Exploring the evidence: Initiatives in the first college year"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08

      26 Barefoot, B, "Exploring the evidence: Initiatives in the first college year"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08

      27 Tinto, V, "Dropouts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45 : 89-125, 1975

      28 Boswell, S, "Disorientation brings grauating students together" 8 (8): 1-2, 1996

      29 Marcia, J. 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go identity status" 3 : 551-558, 1996

      30 Upcraft, M. L, "Challenging and supporting the first-year student: A handbook for improving the first-year of college" Jossey-Bass 2005

      31 Astin, A. W, "Assessment for excellence, Old Tappan" MacMillan 1991

      32 Kuh, G. D, "Assessing what really matters to student learning: Inside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33 (33): 10-17, 2001

      33 Raymond, L,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freshman seminar course on students’ academic outcomes, Suffolk Country Community College" Suffolk Country Community College Report 2001

      34 Barefoot, B, "Achieving and Sustaining Institutional Excellence for the First Year of College" Jossey-Bass 2005

      35 김은정, "1학년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대학 1학년 실태조사’의 활용사례 연구" 2 (2): 63-7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