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미술문화를 접할 기회가 과거에 비해 매우 확대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미술작품 감상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한다. 미술을 소비만 하는 데서 그칠 뿐, 삶 속에서 미술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24985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18. 8
2018
한국어
미술감상 ; 감상교육 ; 주제중심 ; 주제중심통합미술감상
서울
85장 : 천연색삽화 ; 26 cm
지도교수: 정종미
참고문헌: 장 82-85
I804:11009-00000008220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미술문화를 접할 기회가 과거에 비해 매우 확대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미술작품 감상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한다. 미술을 소비만 하는 데서 그칠 뿐, 삶 속에서 미술문...
현대사회는 미술문화를 접할 기회가 과거에 비해 매우 확대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미술작품 감상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한다. 미술을 소비만 하는 데서 그칠 뿐, 삶 속에서 미술문화를 자연스럽게 향유하는 모습을 찾기 힘들다. 이는 미술문화를 애호하고 감상하고 비평하는 능력인 미적 감수성과 미적 안목이 충분히 길러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적 감수성과 미적 안목은 저절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미술을 표현하고 제작하는 능력이 체계적인 지도 아래 단계적으로 발달하는 것과 같이, 미적 감수성과 미적 안목 또한 교사의 적절한 지도와 체계적인 학습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미술을 향유하는 것을 어렵게 느끼는 현실은 이제까지 우리가 받아온 공교육에서의 미술교육이 감상교육을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교육에서 감상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데는 표현영역에 치중된 수업, 적은 수업시수로 모든 영역을 체계적으로 다룰 수 없는 현실 등의 이유가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미술 감상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수업 시수 안에서 의미있고 즐거운 감상교육을 위해 주제중심 통합 미술감상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그간 미술 감상교육은 주로 시대별, 사조별로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적은 수업시수 안에 서양미술사, 동양미술사를 시대별로 모두 다루는 것, 혹은 모든 미술 사조를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이는 교육과정의 과중화를 초래해 교사에게도 학생에게도 힘든 수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미술작품을 시대별, 사조별로 묶는 것이 아닌, 주제에 의해 통합하여 묶어서 수업한다면 각기 다른 시대와 사조의 작품을 하나의 주제로 통합할 수 있으므로 교수학습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에서 의미있는 감상교육을 위해 주제중심 통합 미술감상 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는 주제중심 통합 미술감상 프로그램을 위한 통합주제와 예시작품, 예시 프로그램의 교수학습지도안, 주요 발문, 교수학습자료, 평가전략 등의 세부사항을 실었다. 이 논문이 가이드가 되어 교사들이 실제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거나, 주제중심 통합 미술감상 프로그램을 새로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어 유의미한 감상교육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