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발생한 얼굴신경 마비의 임상적인 특징과 예후 뿐 아니라,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의 얼굴신경 마비와 백혈병 환자의 얼굴신경 마비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봄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58705
2016
-
516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5-49(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발생한 얼굴신경 마비의 임상적인 특징과 예후 뿐 아니라,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의 얼굴신경 마비와 백혈병 환자의 얼굴신경 마비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봄으...
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발생한 얼굴신경 마비의 임상적인 특징과 예후 뿐 아니라,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의 얼굴신경 마비와 백혈병 환자의 얼굴신경 마비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얼굴신경 마비의 치료와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아신경분과에 안면마비 증상을 보여 내원한 18세 미만의 환자들 중 최소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기저질환이 없었던 48명과 백혈병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얼굴 신경 마비의 정도와 prednisone 치료 후 변화는 House-Brackmann 안면신경마비 판정 시스템을 이용하였고, 병변의 위치는 얼굴 근육의 마비 외에 통증의 여부, 맛감각의 변화 및 청각과민증 등의 여부를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얼굴 신경의 손상 정도는 기저질환이 없었던 환자들에서는 House-Brackmann 안면신경 마비 판정 시스템의 grade III와 grade IV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백혈병 환자에서는 모두 grade IV의 중증 기능이상을 보이고 있었다. 얼굴 신경 마비의 병변 부위는 모든 환자의 90% 이상에서 얼굴 신경의 가장 말단 부위인 붓꼭지 구멍 이하 이었다. Prednisone 치료 후 기저질환이 없었던 환자 43명 중 30(69.8%)명에서는 완전히 증상이 소실되었고, 11(25.6%)명에서는 약간의 마비 증상이 남아 있으나 기능의 80%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grade II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백혈병 환자들에서는 2(40%)명에서 증상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나머지 3명은 각각 1명 씩 grade II, III, IV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 소아의 얼굴 신경 마비의 병변은 대부분 붓꼭지 구멍 이하에서 발생하며, 마비 정도도 심하지 않아 예후가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경구 Prednisone 치료는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의 경우 90% 이상에서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백혈병 환자의 경우는 절반 정도에서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facial nerve palsy in children,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facial nerve palsy patients without underlying condition as opposed to the...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facial nerve palsy in children,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facial nerve palsy patients without underlying condition as opposed to the patients with leukemia, which will help to predict the prognosis and to help treat them.
Methods: We investigated 53 patients under 18 years old retrospectively who were diagnosed as facial nerve palsy at the pediatric neurology department of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January 2009 to January 2015, and 5 patients with leukemia were included. The degree of nerve damage in a facial nerve palsy patients was determined according to House-Brackmann score.
Results: More than 90% of the patients without underlying condition showed grade III and grade IV in the degree of facial nerve damage, meanwhile all of the leukemia patients had grade IV. The location of lesion in more than 90% of the facial nerve palsy patients was under stylomastoid foramen that is the end of the facial nerve. After oral prednisone therapy, 30(69.8%) of 43 patients without underlying condition showed a complete recovery, 11(25.6%) showed little remaining of palsy but was able to conduct 80% of the normal function, which is grade II. In 5 leukemia patients, 2 (40%) showed complete recovery, but 3 patients showed grade II, III and IV, respectively.
Conclusion: In children with facial nerve palsy, the location of lesion is usually under stylomastoid foramen, and the degree of palsy is mild so we can predict good outcome. In treatment with oral prednisone, we can expect more than 90% of effectiveness in patients without underlying condition, but only half in leukemia pati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Eroglu E, "Unusual clinical presentation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unilateral facial nerve paralysis" 2013 : 460250-, 2013
2 Quant EC, "The benefits of steroids versus steroids plus antivirals for treatment of Bell’'s palsy: a meta-analysis" 339 : b3354-, 2009
3 Frank HN, "The CIBA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volume 1 Nervous system, part ll neurologic and neuromuscular disorders" 211-, 1986
4 Takhenchangbam DS, "Proptosis and facial palsy as an unusual clinical presentation of acute myeloid leukemia" 6 : 52-54, 2013
5 Stew B, "Modern management of facial palsy: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63 : 109-110, 2013
6 Finsterer J., "Management of peripheral facial nerve palsy" 265 : 743-752, 2008
7 Ahn HS, "Hong Chang Eui Pediatrics" Mirae N 2012
8 Rueda Arenas E, "Hemiparesia y paráisis facial transitorias causadas pormetotrexato" 79 : 385-389, 2013
9 Toulgoat F, "Facial nerve: from anatomy to pathology" 94 : 1033-1042, 2013
10 Ciorba A, "Facial nerve paralysis in children" 3 : 973-979, 2015
1 Eroglu E, "Unusual clinical presentation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unilateral facial nerve paralysis" 2013 : 460250-, 2013
2 Quant EC, "The benefits of steroids versus steroids plus antivirals for treatment of Bell’'s palsy: a meta-analysis" 339 : b3354-, 2009
3 Frank HN, "The CIBA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volume 1 Nervous system, part ll neurologic and neuromuscular disorders" 211-, 1986
4 Takhenchangbam DS, "Proptosis and facial palsy as an unusual clinical presentation of acute myeloid leukemia" 6 : 52-54, 2013
5 Stew B, "Modern management of facial palsy: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63 : 109-110, 2013
6 Finsterer J., "Management of peripheral facial nerve palsy" 265 : 743-752, 2008
7 Ahn HS, "Hong Chang Eui Pediatrics" Mirae N 2012
8 Rueda Arenas E, "Hemiparesia y paráisis facial transitorias causadas pormetotrexato" 79 : 385-389, 2013
9 Toulgoat F, "Facial nerve: from anatomy to pathology" 94 : 1033-1042, 2013
10 Ciorba A, "Facial nerve paralysis in children" 3 : 973-979, 2015
11 Sullivan FM, "Early treatment with prednisone or acyclovir in Bell's palsy" 357 : 1598-1607, 2007
12 Pitaro J, "Do children with Bell’'s palsy benefit from steroid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76 : 921-926, 2012
13 Adour KK, "Current concepts in neur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acial paralysis" 307 : 348-351, 1982
14 Glass GE, "Bell’s palsy: a summary of current evidence and referral algorithm" 31 : 631-642, 2014
15 De Seta D, "Bell’'s palsy: symptoms preceding and accompanying the facial paresis" 2014 : 801971-, 2014
16 Cirpaciu D, "Bell’'s palsy: data from a study of 70 cases" 7 (7): 24-28, 2014
17 Holland J, "Bell's palsy" 84 : 947-948, 2011
소아 신경질환에서의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결신 발작 양상으로 내원한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아 1례
안면기형 없는 경한 임상증상을 보인 14번 환상염색체 증후군 1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9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7 | 0.17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4 | 0.384 | 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