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아이스하키 선수들의 최대운동 시 특성에 관한 연구 = 혈중 지질 과산화물과 항산화 요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39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아이스하키 트레이닝으로 적응된 엘리트 남자 대학 아이스하키선수들의 혈중 지질 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시스템의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K대학교 아이스하키선수 8명과 일반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급성탈진운동을 실시하기 전의 안정 시 및 트레드밀 점증부하(GXT) 최대 운동직후, 회복 10분, 30분 후의 혈중 지질 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과산화지질(malondialdehyde: MDA) 농도는 아이스하키선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모두 운동직후의 MDA 농도가 다른 시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산화효소인 GPX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는 아이스하키 선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운동직후에만 유의한 변화를 나타났다. 또한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는 집단 간 및 시점 간에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AT(catalase) 활성도는 아이스하키선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모두 운동직후시의 CAT 활성도가 다른 시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점증 부하최대 운동은 MDA와 CAT의 급격한 증가를 일으켜 산소 유리기의 증가에 따른 항산화효소 작용의 보상 작용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시스템의 연구결과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명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동일분야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아이스하키 트레이닝으로 적응된 엘리트 남자 대학 아이스하키선수들의 혈중 지질 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시스템의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K...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아이스하키 트레이닝으로 적응된 엘리트 남자 대학 아이스하키선수들의 혈중 지질 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시스템의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K대학교 아이스하키선수 8명과 일반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급성탈진운동을 실시하기 전의 안정 시 및 트레드밀 점증부하(GXT) 최대 운동직후, 회복 10분, 30분 후의 혈중 지질 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과산화지질(malondialdehyde: MDA) 농도는 아이스하키선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모두 운동직후의 MDA 농도가 다른 시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산화효소인 GPX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는 아이스하키 선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운동직후에만 유의한 변화를 나타났다. 또한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도는 집단 간 및 시점 간에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AT(catalase) 활성도는 아이스하키선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모두 운동직후시의 CAT 활성도가 다른 시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점증 부하최대 운동은 MDA와 CAT의 급격한 증가를 일으켜 산소 유리기의 증가에 따른 항산화효소 작용의 보상 작용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시스템의 연구결과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명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동일분야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activation of glutathione peroxidase(GPX),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in Ice-hockey players. Eight Ice-hockey players and Eight general collegians participated in supervised maximal treadmill exercise test. Subject" blood was collected to examined before, immediately after, 10 and 30 minutes after the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out that the concentration of MDA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There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length of elapsed time. It was found that recovery 10 minutes after the exercise, all groups showed concentration significantly. The activation of GPX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before and right after exercises. The activation of SOD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The activation of CAT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before and right after exercises, and recovery of exercise. There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length of elapsed time. It was found that recovery 10 minutes after the exercise, all groups showed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daptive response of changes in MDA level and antioxidant Enzyme to maximal graded treadmill exercise was found more highly in Elite Ice-hockey athletics than in control subjects.
      번역하기

      The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activation of glutathione peroxidase(GPX),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in Ice-hockey players. Eight Ice-hockey players and Eight general colleg...

      The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activation of glutathione peroxidase(GPX),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in Ice-hockey players. Eight Ice-hockey players and Eight general collegians participated in supervised maximal treadmill exercise test. Subject" blood was collected to examined before, immediately after, 10 and 30 minutes after the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out that the concentration of MDA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There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length of elapsed time. It was found that recovery 10 minutes after the exercise, all groups showed concentration significantly. The activation of GPX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before and right after exercises. The activation of SOD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The activation of CAT could be changed on different phases: before and right after exercises, and recovery of exercise. There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length of elapsed time. It was found that recovery 10 minutes after the exercise, all groups showed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daptive response of changes in MDA level and antioxidant Enzyme to maximal graded treadmill exercise was found more highly in Elite Ice-hockey athletics than in control sub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결과
      • IV. 논의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결과
      • IV. 논의
      • V. 결론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R. Jenkins, 25 : 210-212, 1993

      2 김은경, "중년여성의 12주간 에어로빅댄스 운동이 SOD, CAT, MDA와 카테콜라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755-766, 2008

      3 조세형, "유산소운동을 통한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과학회 2 (2): 115-127, 2004

      4 성순창,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0 (50): 551-561, 2011

      5 남상남,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91-398, 2009

      6 류승필, "운동과 항산화제" 한국체육학회 45 (45): 699-706, 2006

      7 이윤미, "운동강도에 따른 MDA와 SOD의 변화"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83-88, 2008

      8 엄우섭,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3 (13): 355-350, 2004

      9 박일봉, "운동 강도에 따른 장기간 저항성 운동이 중년여성들의 과산화지질(MDA)과 항산화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7 (17): 11-18, 2006

      10 김수진,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항산화 효소 활동 및 호흡순환기능의 차이" 한국스포츠학회 9 (9): 481-491, 2011

      1 R-R. Jenkins, 25 : 210-212, 1993

      2 김은경, "중년여성의 12주간 에어로빅댄스 운동이 SOD, CAT, MDA와 카테콜라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7 (17): 755-766, 2008

      3 조세형, "유산소운동을 통한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과학회 2 (2): 115-127, 2004

      4 성순창,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0 (50): 551-561, 2011

      5 남상남,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91-398, 2009

      6 류승필, "운동과 항산화제" 한국체육학회 45 (45): 699-706, 2006

      7 이윤미, "운동강도에 따른 MDA와 SOD의 변화"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83-88, 2008

      8 엄우섭,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 과산화물(MDA)과 항산화 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3 (13): 355-350, 2004

      9 박일봉, "운동 강도에 따른 장기간 저항성 운동이 중년여성들의 과산화지질(MDA)과 항산화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7 (17): 11-18, 2006

      10 김수진,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항산화 효소 활동 및 호흡순환기능의 차이" 한국스포츠학회 9 (9): 481-491, 2011

      11 조현철, "여대생들의 일회성 중강도 유산소 운동 시간에 따른 혈청지질, 지질과산화물 및 항산화효소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 (43) : 639-650, 2011

      12 오유성, "복합운동이 중년남성의 스트레스 호르몬, 심근 손상지표,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22 (22): 125-132, 2013

      13 김시영, "다양한 운동강도가 혈장 지질과산화물, 항산화효소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8 (18): 1-10, 2009

      14 주용식, "근저항 트레이닝이 혈중 과산화지질 및 황산화효소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2) : 603-613, 2004

      15 W-J. Evans, "Vitamin E, Vitamin C and Exercise" 72 (72): 647-652, 2000

      16 K. Hadjigogos, "The role of free radical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45 (45): 7-13, 2003

      17 K. Hadjigogos, "The role of free radical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45 (45): 7-13, 2003

      18 B-H. Lee, "The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s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intensity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40 (40): 661-674, 2001

      19 이한,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oxidant and antioxidant during endurance exercise" 한국발육발달학회 19 (19): 139-144, 2011

      20 M-B. Cooper, "The effect of marathon running on carnitine metabolism and some aspects of muscle mitochondrial activity and antioxidant mechanism" 4 (4): 79-87, 1986

      21 L. Goldberg, "The effect of exercise on lipid metabolism in men and women" 4 : 307-321, 1987

      22 H. Ohno, "The effect of brief physical exercise on free radicals scavenging enzyme systems in human red blood cell" 64 : 1263-1264, 1992

      23 H. Miyazaki, "Strenuous endurance training in humans reduces oxidative stress following exhausting exercise" 86 : 1-6, 2001

      24 M-H. Laughlin, "Skeletal muscle oxidative capacity, antioxidant enzymes and exercise training" 68 : 2337-2343, 1990

      25 C-K. Sen, "Skeletal muscle and lover glutathione homeostasis to training, exercise and immobilization" 73 (73): 1265-1272, 1992

      26 S-D. Aust, "Role of metals in oxygen radical reactions" 1 : 3-25, 1985

      27 채창훈, "Preconditioning으로서의 운동이 탈진적 운동시 항산화 기능 및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153-1161, 2010

      28 H. Sies, "Oxidative stress:Damage to intact cells and organs" 311 (311): 617-631, 1985

      29 I-G. Fatouros, "Oxidative stress responses in older men during endurance training and detraining" 36 : 2065-2072, 2004

      30 H-K. Vincent, "Oxidative stress and potential interventions to reduce oxidative stress in overweight and obesity" 9 (9): 813-839, 2007

      31 H-K. Vincent, "Obesity and post-exercise oxidative stress in older women" 37 : 213-219, 2005

      32 J-V. Higdon, "Obesity and oxidative stress: a direct link to CVD? Arteriosclerosis" 23 (23): 365-367, 2003

      33 A-R. Dernbach, "NO evidence of oxidant stress during high-intensity rowing training" 74 (74): 2140-2145, 1993

      34 J. Wanagat, "Mitochondrial DNA deletion mutations colocalize with segmental electron transport system abnormalities, muscle fiber atrophy, fiber splitting, and oxidative damage in sarcopenia" 15 (15): 322-332, 2001

      35 R-A. Bruce, "Maximal oxygen intake and monographic assessment of functional aerobic impairment in cardiovascular disease" 85 : 546-562, 1973

      36 A-L. Tappel, "Lipid Peroxidation Demage to cell Components" 32 (32): 1870-1973, 1993

      37 J-D. Robertson, "Increased blood antioxidant systems of runners in response to training load" 80 : 611-618, 1991

      38 A. Meister, "Glutathione" 52 : 711-760, 1983

      39 B. Halliwell,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Clarendon Press Oxford 1985

      40 J-F. Horowitz, "Fatty acid mobilization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14 (14): 386-392, 2003

      41 H-M. Alessio,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25 : 218-224, 1993

      42 S-K. Sumida, "Exercise-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leakage of enzymes before and after vitamin E supplementation" 21 : 835-838, 1989

      43 L-L. Ji, "Exercise,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24 : 20-24, 1996

      44 A-H. Goldfarb, "Effects of a fruit/berry/vegetable supplement on muscle 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43 (43): 501-508, 2011

      45 S-H. Kim,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45 : 1-5, 2005

      46 A-M. Niess, "DNA damage after exhaustive treadmill running in trained and untrained men" 17 : 397-403, 1996

      47 A-M. Niess, "DNA damage after exhaustive treadmill running in trained and untrained men" 17 : 397-403, 1996

      48 F. Marizatico, "Blood free radical antioxidant enzymes and lipid peroxides following long-distance and lactacidemic performance in highly trained aerobic and sprint athletes" 37 : 235-239, 1997

      49 N. Ørtenblad, "Antioxidant status and lipid peroxidation after short-term maximal exercise in trained and untrained humans" 272 : 1258-1263, 1997

      50 L-L. Ji, "Antioxidant enzymes response to exercise and aging" 35 : 225-231, 2003

      51 김구, "12주간의 댄스스포츠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77-82, 2008

      52 이신호, "12주 동안의 운동 강도 차이가 중년여성의 산화스트레스, 항산화 효소 및 백혈구 DNA 텔로미어 길이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18 (18): 34-43,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