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교육 기대효과에 따른 제요인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401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무용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에 따른 제 요인을 규명 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무용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총:169명, 여자: 93%, 남자:7%)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자기응답식 설문 조사법(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을 사용하여 테이타를 수집하고 제작된 설문지는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조사와 문항의 재구성을 통하여 완성되어 졌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은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무용교육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체력 향상에 관한 무용교육의 기대 효과는 소속대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무용교육이 체력발달에 미치는 기대효과는 체육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미는체육대학에 소속된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의 효과를 신체능력발달에서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둘째, 표현력 향상에 관하 기대효과는 예술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대학에 속해 있는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의 효과를 표현력 향상과 같은 예술성 함양에 두고 있다.
      셋째, 무용교육을 통한 사회성 함양은 소속대학, 학년 그리고 세부전공분야와 상관없이 낮은 기댓값을 보인다. 이러한 의미는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이 사회성 함양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무용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에 따른 제 요인을 규명 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무용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총:169명, 여자: 93%, 남자:7%...

      이 연구는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무용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에 따른 제 요인을 규명 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무용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총:169명, 여자: 93%, 남자:7%)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자기응답식 설문 조사법(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을 사용하여 테이타를 수집하고 제작된 설문지는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조사와 문항의 재구성을 통하여 완성되어 졌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은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무용교육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체력 향상에 관한 무용교육의 기대 효과는 소속대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무용교육이 체력발달에 미치는 기대효과는 체육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미는체육대학에 소속된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의 효과를 신체능력발달에서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둘째, 표현력 향상에 관하 기대효과는 예술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대학에 속해 있는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의 효과를 표현력 향상과 같은 예술성 함양에 두고 있다.
      셋째, 무용교육을 통한 사회성 함양은 소속대학, 학년 그리고 세부전공분야와 상관없이 낮은 기댓값을 보인다. 이러한 의미는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이 사회성 함양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expectation whose are majoring in dance. In order to get dat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students(total 169 : male 93%, female 93%) which major in dance in seoul & kyungki province.
      All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llow :
      1. The effects of expectation of dance education about increased physical fitness were differenciated from each university, The effects of expectation of dance education about increased physical fitness development were high in physical educatuon colleage. because they tried find in physical capacity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2. The effects of expectation about increased were high in art colleage because they tried find in physical capacity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lso, the students who major in dance in art colleage focused in increasing quality of art.
      3. The increasing of social through dance education were low expected value in university, year and minor major. The results showed the students who major in dance in art colleage thought uneffected dance education on increasing quality of soci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expectation whose are majoring in dance. In order to get dat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students(total 169 : male 93%, female 93%) which major in dance in seoul & kyungki prov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expectation whose are majoring in dance. In order to get dat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students(total 169 : male 93%, female 93%) which major in dance in seoul & kyungki province.
      All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llow :
      1. The effects of expectation of dance education about increased physical fitness were differenciated from each university, The effects of expectation of dance education about increased physical fitness development were high in physical educatuon colleage. because they tried find in physical capacity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2. The effects of expectation about increased were high in art colleage because they tried find in physical capacity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lso, the students who major in dance in art colleage focused in increasing quality of art.
      3. The increasing of social through dance education were low expected value in university, year and minor major. The results showed the students who major in dance in art colleage thought uneffected dance education on increasing quality of soc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1
      • A. 연구의 필요성=1
      • B. 연구 목적=3
      • C. 연구 가설=3
      • 목차
      • I. 서론=1
      • A. 연구의 필요성=1
      • B. 연구 목적=3
      • C. 연구 가설=3
      • D. 연구의 제한점=3
      • II. 이론적 배경=4
      • A. 무용의 및 본질=4
      • B. 과거의 무용교육=5
      • 1.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 무용교육=5
      • 2. 사교적 교양을 목적으로 한 무용교육=6
      • 3. 오락을 목적으로 한 무용교육=7
      • 4. 건강과 미를 목적으로 한 무용교육=7
      • C. 무용교육의 성격과 역할=7
      • 1. 무용교육의 성격=7
      • 2. 무용교육의 역할=8
      • D. 무용교육의 필요성=9
      • E. 무용교육의 가치성=12
      • 1. 무용교육의 목표=12
      • 2. 일반적 목표=12
      • 3. 구체적 목표=15
      • 4. 교육목표에서 고려할 점=18
      • 5. 무용교육의 효과=20
      • 6. 가치관에 대한 견해=22
      • III. 연구 방법=24
      • A. 연구절차=24
      • B. 연구대상자=25
      • C. 설문지 제작=26
      • D. 내용타당도 조사=28
      • E. 예비조사 (Pilot Study)=28
      • F. 설문지 배포와 수거=31
      • IV. 결과 및 고찰=32
      • A. 설문지의 배포 및 수거=33
      • B. 대상자의 특성=33
      • 1. 대상자들의 성별=34
      • 2. 소속되어 있는 단과대학=34
      • 3. 학년별 조사결과=34
      • 4. 세부전공분야=35
      • C. 결과=36
      • 1. 체력향상에 관한 무용교육의 기대효과=37
      • 2. 표현력향상에 관한 무용교육의 기대효과=39
      • 3. 사회성에 관한 무용교육의 기대효과=41
      • V. 결론 및 제언=43
      • A. 결론=43
      • B. 제언 =44
      • 참고문헌 =45
      • ABSTRACT=47
      • 부록=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