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호대상아동이 경험하는 주거의 맥락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ntext of housing experienced by children in child care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22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housing experienced by children in child care facilities.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workers working in and children living in child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housing experienced by children in child care facilities.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workers working in and children living in child rearing facilities, communal living families, and youth shelter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context-pattern analys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As a result of the thematic analysis, the following themes emerged: “lack of individualized private space”, “the meaning of the word ‘it’s okay”, “the degree of similarity to ‘home’”, and “the space and time that requires ‘strategy’: doing your best is not ‘best’”, “a reminder of the meaning of family”, “the house I used to live in, the house I live in, the house I want to live in”,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spaces and objects: If there is nothing mine anywhere...”, “family affairs and relationships outside the hous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i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housing welfare of children under child care facilities we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보호대상아동이 경험하는 주거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아동양육시설과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과 거주하고 있...

      이 연구에서는 보호대상아동이 경험하는 주거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아동양육시설과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과 거주하고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개별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접근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아동양육시설과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쉼터의 세 가지 유형별로 각 3개 시설의 맥락과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의미를 비교한 유형별 분석결과와 전체 시설들과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통합하여 분석한 주제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주제분석 결과에서는 개별화된 사적 공간의 결여, ‘괜찮다’는 말의 의미, ‘가정’과 유사한 정도의 차이, ‘전략’이 필요한 시공간: 최선을 다하는 것이 ‘최선’은 아니다, 가족이라는 의미의 되새김, ‘내가 살던 집, 내가 사는 집, 내가 살고 싶은 집’, 공간과 사물의 의미와 영향: 어디에도 내 것이 없다면..., ‘집안의 일’과 ‘집밖의 관계’ 등의 주제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대상아동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게 아동생활시설 환경개선"

      2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게 아동생활시설 환경개선"

      3 김혜승, "최저주거기준의 의의와 기준 미달가구 규모 추정" 320 : 96-107, 2008

      4 김지연, "청소년의 주거권 실태와 보장방안 연구: 사회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5 Batsaikhan, Anu And, "주거환경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9

      6 손세관, "주거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고찰" 28 (28): 43-52, 1990

      7 임세희, "주거빈곤가구 주거지원 효과성 연구-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주거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19

      8 홍선미, "정신장애인 주거시설기반 사회복귀지원사업 모델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국립정신건강센터 2018

      9 김진우, "장애연구에의 지적장애인의 참여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83-105, 2008

      10 민병아, "유니버설디자인에 기반한 아동양육시설의 환경디자인 사례연구" 226-230, 2011

      1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게 아동생활시설 환경개선"

      2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게 아동생활시설 환경개선"

      3 김혜승, "최저주거기준의 의의와 기준 미달가구 규모 추정" 320 : 96-107, 2008

      4 김지연, "청소년의 주거권 실태와 보장방안 연구: 사회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5 Batsaikhan, Anu And, "주거환경특성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9

      6 손세관, "주거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고찰" 28 (28): 43-52, 1990

      7 임세희, "주거빈곤가구 주거지원 효과성 연구-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주거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19

      8 홍선미, "정신장애인 주거시설기반 사회복귀지원사업 모델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국립정신건강센터 2018

      9 김진우, "장애연구에의 지적장애인의 참여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83-105, 2008

      10 민병아, "유니버설디자인에 기반한 아동양육시설의 환경디자인 사례연구" 226-230, 2011

      11 문은미, "유년기 회상기록분석을 통한 아동의 놀이장소 연구" 16 (16): 27-32, 2000

      12 정준현, "유년기 주거환경의 정서적 영향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11 (11): 43-51, 2000

      13 김승희, "우리집에 놀러와-강원도 아동주거빈곤 실태 및 주거개선 효과와 주거복지 인식"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21

      14 류정희, "우리나라 아동의 다차원적 빈곤 실태와 정책 과제" 2020 (2020): 8-21, 2020

      15 임세희 ; 김희주, "아동주거빈곤가구의 주거 지원 후 삶의 질 변화"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287-319, 2019

      16 최목화 ; 최병숙, "아동이 기억하는 주거환경의 이미지 요소" 대한건축학회 19 (19): 31-40, 2003

      17 이봉주, "아동의 주거상태와 아동발달" 2008 (2008): 43-50, 2008

      18 임세희, "아동의 미래 집에서 시작합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18

      19 권재웅, "아동양육시설의 주거형태에 따른 생활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41-50, 2005

      20 유명희, "아동양육시설의 공간계획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228-239, 2012

      21 권지성 ; 정선욱, "아동양육시설 퇴소생의 퇴소 후 생활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29-253, 2009

      22 이화명 ; 김영미, "아동양육시설 청소년기 입소자의 시설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19-447, 2015

      23 정혜옥 ; 손병덕, "아동양육시설 중도퇴소 청소년의 자립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91-315, 2018

      24 권지성 ; 김정득 ; 상혜진, "아동양육시설 보육교사 2교대 제도에 따른 시설 내 변화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15-142, 2006

      25 원지영, "아동복지시스템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 현황과 자립 지원 정책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5 (15): 79-107, 2008

      26 류수훈, "아동보호시설의 거주실태 및 개선방향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14 (14): 23-32, 2007

      27 송이수 ; 김영주, "아동과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85-196, 2020

      28 관계부처 합동, "아동 주거권 보장 등 주거지원 강화 대책-포용사회 구현을 위한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 2019

      29 김경희 ; 강현아 ; 안소영, "시설아동의 현황 및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30 (30): 405-416, 2009

      30 하영명 ; 정소희, "시설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애착유형,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8 (28): 175-199, 2021

      31 임세희, "서울시 아동주거빈곤가구를 위한 매입임대주택 효과성 연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20

      32 홍형옥 ; 양세화 ; 전남일, "생애구술을 통해 본 주거의 의미와 사용 Ⅰ : 주거의 의미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27 (27): 45-60, 2009

      33 권지성,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 맥락-패턴 분석방법" 학지사 2018

      34 김영지, "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2019 총괄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35 최병숙 ; 이진숙 ; 한영숙, "대학생의 아동기 집과 현재 집에 대한 장소애착의 관련성" 한국생활과학회 19 (19): 905-918, 2010

      36 김종운 ; 김유경, "긍정심리증진 집단상담이 양육시설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서조절력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65-983, 2016

      37 김숙경, "공동생활가정에서의 아동에 대한 보호 실태 및 운영 사례 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8 (8): 209-234, 2004

      38 임세희,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복지 성과 차이"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75-101, 2018

      39 황진구, "가출청소년 지원 강화를 위한 청소년복지시설 재구조화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40 이상정 ; 강현아 ; 노충래 ; 우석진 ; 전종설 ; 정익중,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보호의 비교-"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97-119, 2017

      41 김형태 ; 이수천, "가정 외 보호아동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요인: 가정위탁, 그룹홈, 양육시설의 비교" 한국보건복지학회 21 (21): 51-73, 2019

      42 Northridge, J., "The role of housing type and housing quality in urban children with asthma" 87 (87): 211-224, 2010

      43 Atkinson, D., "Research and empowerment: involving people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oral and life history research" 19 (19): 691-702, 2004

      44 Earls, F., "Measuremen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2 : 309-324, 2000

      45 Evans, G. W., "Housing quality and mental health" 68 (68): 526-, 2000

      46 Median., "Housing Continuum for adults with mental health and substance abuse disorders in FL"

      47 유엔 디지털 도서관, "Children and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48 여성가족부, "2021년 청소년사업안내(Ⅱ)"

      49 보건복지부, "2021 아동분야 사업안내"

      50 최은영, "2020년 서울시 아동가구 주거실태조사 및 정책개발연구" 한국도시연구소 2021

      51 보건복지부, "2020년 보호대상아동 현황보고"

      52 여성가족부, "2019 청소년 백서" 2019

      53 강미나,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국토연구원, 국토교통부 2019

      54 백혜정,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연구보고 2017-10)" 여성가족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3 1.33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