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탁구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하는 선행변수를 찾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경기력의 선행요인으로서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848810
완주 :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학위논문(박사) --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 체육학과 체육학 , 2023. 8
2023
한국어
탁구선수 ; 자기관리 ; 스포츠 수행전략 ; 스포츠 자신감 ; 인지된 경기력 ; table tennis player ; self-management ;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 sports confidence ; perceived performance ; ??球??? ; 自我管理 ; ??表?策略 ; ??信心 ; 感知到的成?
전북특별자치도
xiv, 146 ; 26 cm
지도교수: 서연희
I804:45017-20000069410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탁구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하는 선행변수를 찾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경기력의 선행요인으로서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탁구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하는 선행변수를 찾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경기력의 선행요인으로서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수행전략, 스포츠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자기관리와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를 스포츠 수행전략 및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역할을 탐색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탁구선수들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2일부터 12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50부를 배포하여 523부가 회수되어,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4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8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가 높을수록 스포츠 수행전략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탁구선수의 스포츠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탁구선수의 자기관리가 높을수록 인지된 경기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수행전략이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탁구선수의 스포츠 수행전략이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섯째, 탁구선수의 스포츠 자신감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곱째, 스포츠 수행전략 및 스포츠 자신감은 자기관리와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기관리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자기관리가 스포츠 수행전략과 스포츠 자신감을 통해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자기관리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체육 및 운동선수들이 자기관리를 통해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performance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how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elf-management,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performance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how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elf-management,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s confidence as antecedents of perceived performance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and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s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from March 3 to March 23, 2023.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23 were returned, of which 483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40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SPSS 26.0 and the Amos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self-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econd, higher levels of self-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port confidence among table tennis players. Third, the higher the table tennis players'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ir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port confidence. Fifth, table tennis players'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can promote perceived performance. Sixth, table tennis players' sport self-confidence can promote perceived performance. Sevent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 self-confid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self-management influences perceived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can enhance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 confidence. This provide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to better explain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guidance to help athletes and athletes improve their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self-management.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的目的是探讨中国乒乓球运动员感知到的成绩的前因.具体来说,本研究分析了中国乒乓球运动员的自我管理,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作为感知表现的前因是如何影响感知到的成绩,并探...
本研究的目的是探讨中国乒乓球运动员感知到的成绩的前因.具体来说,本研究分析了中国乒乓球运动员的自我管理,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作为感知表现的前因是如何影响感知到的成绩,并探讨了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在自我管理和感知到的成绩之间的中介作用.
为了实现这些研究目标,我于2022年12月2日至12月23日对中国乒乓球运动员进行了问卷调查.共发放了550份问卷,收回了523份,在排除了40份回答不真实的问卷后,有483份被用于最终分析.我们还是用了SPSS26.0和Amos26.0软件来分析收集的数据.
分析的结果如下:首先,我们发现,在中国乒乓球运动员中,较高的自我管理水平与较高的运动表现策略水平有关.第二,较高的自我管理水平与乒乓球运动员较高的运动信心水平有关.第三,乒乓球运动员的自我管理水平越高,他们感知到的成绩就越高.第四,运动表现策略被发现对运动信心有积极影响.第五,乒乓球运动员的运动表现策略可以促进感知到的成绩.第六,乒乓球运动员的运动自信心可以促进感知到的成绩.第七,运动表现策略和运动自信心在自我管理和感知到的成绩之间起到中介效果.
基于这些结果,本研究的意义如下.首先,本研究有助于我们理解自我管理对感知到的成绩的影响机制.具体来说,本研究表明,自我管理可以通过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来提高感知到的成绩..这为更好地解释自我管理对感知到的成绩的影响提供了一个重要的理论基础.其次,本研究的结果可以为帮助运动员和选手通过自我管理提高感知到的成绩提供指导.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