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수와 백정> 설화는 인간답게 살고자 박문수의 친척을 사칭하며 양반행세를 한 백정과 그를 도와 당당한 양반으로 살게 한 박문수, 변화를 거부하다 백정에게 굴복당한 박문수의 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11063
2020
-
박문수와 백정 ; 인정 욕망 ; 인정 투쟁 ; 환대 ; 선물 ; 도덕적 상황 ; 신분제 ; 지도자 ; 돈 ; Park Moon-soo and Butcher ; desire ; gift ; struggle for recognition ; hospitality ; moral situation
810
KCI등재
학술저널
251-279(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박문수와 백정> 설화는 인간답게 살고자 박문수의 친척을 사칭하며 양반행세를 한 백정과 그를 도와 당당한 양반으로 살게 한 박문수, 변화를 거부하다 백정에게 굴복당한 박문수의 동...
<박문수와 백정> 설화는 인간답게 살고자 박문수의 친척을 사칭하며 양반행세를 한 백정과 그를 도와 당당한 양반으로 살게 한 박문수, 변화를 거부하다 백정에게 굴복당한 박문수의 동생이 등장하는데, 본고는 공통된 화소와 서사구조를 살펴 문헌과 구비설화에서 유사한 이본군을 함께 모아 격동의 시대, 하위계층의 인정 욕망에 대한 환대의 문제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전승과 변이 과정을 살펴보면, ‘양반형’이 문헌과 구비로 전승되다가 설화에서 박문수 인물상이 부상되는 시기에 구비전승층에서 일부가 ‘박문수형’으로 변이되며 인기를 누렸고, 더하여 인정 문제에 관련된 삽화가 박문수 설화에 통합되면서 ‘기도형’과 같은 하위유형을 분화시켰다. 곧 <박문수와 백정> 유형 설화는 인정받고자 하는 존재와 인정해주는 존재 간 발생하는 다양한 도덕적 상황에 대한 공동체의 문제제기와 해법을 담으며 전승되어 왔다. 신분사회에서 무시당하던 노비ㆍ백정이 인간다운 삶을 살고자 인정받으려는 행동은 당대 사회의 주요 가치에 대한 투쟁이기도 한데, 각편에 따라 하층의 인정 욕망에 상층이 조건 없이 화답하며 상호 인정하게 되는 선구적인 시각도 나타나지만, 때로 인정받고자 하는 인물과 인정하는 인물의 우열 관계가 경제력ㆍ능력ㆍ인품 등 다양하게 대비되면서, 돈이 모든 가치를 잠식해가는 위기 상황이나 인간답게 살겠다는 욕망 모델의 시대적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이와 같이 인정 욕망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제기를 생각해 볼 때, 설화에서는 인정과 환대의 지평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그 실천에서 문제될 불안 요소들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하고 반성적으로 사회를 구성해 갈 도덕적인 존재로서 박문수가 요청되었다. 설화세계에서 누구보다 입체적이고 힘 있는 인물이 된 박문수를 통해서라면, 인정에 대한 사회적 의의를 환기시키고 인정 방식에 내재된 욕망 모델의 한계 또한 박문수라는 도덕적이고 진보적인 지도자의 가능성으로 언젠가 분명하게 비춰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rk Moon-Soo and Butcher> type of folktale, a lowly man pretends to be an aristocrat to live a human life, an aristocratic official helps such a lowly person, and an aristocrat who surrendered after refusing to change the spirit of the ...
In the <Park Moon-Soo and Butcher> type of folktale, a lowly man pretends to be an aristocrat to live a human life, an aristocratic official helps such a lowly person, and an aristocrat who surrendered after refusing to change the spirit of the times appears. The story contain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lower cla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social relationships have collapsed.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y of hospitality as the desire for recognition by the lower class in a turbulent era, and targets this type of story in literature and oral traditions. This story was discus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but at the time that the character Park Moon-soo appeared, part of the story was transformed into a “Park Moon-soo story” and became popular. In addition, as the story of Park Moon-soo was widely expanded, illustrations such as “a woman praying for a nobleman” were added to the issue of recognition. Soon, in the <Park Moon-Soo and Butcher> type of story, various moral problems arise between the person who wants to be recognized and the person who acknowledges that, and the story brings together the concerns and solutions of the community. People who were ignored in the lower social class wanted a life of recognition, but their actions to be recognized were also a struggle against the values of society at the time. Among the stories, there are works in which vested interests respond unconditionally to the lower class’ desire for recognition, and eventually mutual recognition. However, a moral issue arise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who wants to be recognized and the person who recognizes them shows various contrasts such as economic power, ability, and personality. It is a crisis situation in which money becomes superior to all other values, or a situation in which the desire for recognition models the old-fashioned vices. The story calls for a solution by summoning a character named Moon-Soo Park, as various problem situations surrounding the desire for recognition arise. He is a person who can see the pain of those excluded from societ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personal profits or the other s economic power. In the world of folklore, the character of Park Moon-soo contains the hopes of so many people that he becomes a free, moral, and ever-changing person, moreso than anyone else.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Park Moon-soo would evoke the social significance of recognition, and that the limits of the desire for recognition would be solved morally and progressively. As such, the narrative topic of the story of <Park Moon-soo and Butcher> continues in our society today as a matter of ‘cordial reception’ from various subjects who struggle for recogni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병,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2013
2 "한국민속문학사전" 국립민속박물관
3 강등학,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16
4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5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박희병, "한국고전소설 연구의 방법적 지평" 알렙 2019
7 철학아카데미,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동녘 2013
8 김혁, "진리의 가격 :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진리와 돈의 인류학" 눌민 2018
9 홍나래, "조선후기 설화 속 하위계층의 주체화 문제 고찰―증여를 통한 관계의 재구성과 도덕적 정당화 방식―" 민족문화연구원 (84) : 447-469, 2019
10 이상환, "인정의 정치와 사회 정의" 대한철학회 107 : 27-50, 2008
1 박희병,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2013
2 "한국민속문학사전" 국립민속박물관
3 강등학,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16
4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5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박희병, "한국고전소설 연구의 방법적 지평" 알렙 2019
7 철학아카데미,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동녘 2013
8 김혁, "진리의 가격 :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진리와 돈의 인류학" 눌민 2018
9 홍나래, "조선후기 설화 속 하위계층의 주체화 문제 고찰―증여를 통한 관계의 재구성과 도덕적 정당화 방식―" 민족문화연구원 (84) : 447-469, 2019
10 이상환, "인정의 정치와 사회 정의" 대한철학회 107 : 27-50, 2008
11 이우성, "이조한문단편집" 창비 2018
12 서대석, "우리 고전캐릭터의 모든 것 3" 휴머니스트 2008
13 신동흔, "역사인물 이야기 연구" 집문당 2002
14 박기현, "암행형 설화의 유형적 특성 연구" 동남어문학회 1 (1): 217-239, 2013
15 최운식, "설화에 나타난 박문수의 인간상과 민중의 의식" 청람어문학회 21 (21): 43-72, 1999
16 신동흔, "서사문학과 현실 그리고 꿈" 소명출판 2009
17 신미란, "박문수설화 연구 : 민중의 꿈의 실현과 좌절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8 최래옥, "박문수 설화의 성격 분석" 한국민속학회 18 (18): 261-266, 1985
19 류민주, "박문수 설화연구 : 문제해결 방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0 "문화원형백과" 한국콘텐츠진흥원
21 신동흔, "도시전승설화자료집성" 민속원 2009
22 沈恩錫, "朴文秀 說話 硏究"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23 鄭賢淑, "朴文秀 說話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1
24 김동욱, "[단행본] 청구야담" 교문사 1996
원혼 서사에 나타난 욕망과 이름의 문제 - 신립 설화를 대상으로
판소리 ‘정체확인형 사설’의 의미작용에 대한 인지적 접근 - <춘향가> 중 ‘어사또-춘향모 상봉’ 대목을 중심으로-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청정각시의 감정을 통해 본 신성의 의미
원님놀이[太守戱] 설화에 나타난 소통의 양상과 놀이의 역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4 | 1.574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