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정선, "<가시리>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41) : 231-256, 2010
2 성기옥, "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전통" 소명출판 2004
3 김진희, "한국시가의 전통과 <가시리>" 열상고전연구회 (44) : 203-236, 2015
4 정혜원,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283-291, 1992
5 김유미 ; 이승하,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시리」 연구" 대중서사학회 (24) : 439-472, 2010
6 염은열, "학교 바깥 고전시가의 변용과 향유에 대한 교육적 성찰 - <가시리>를 예로" 한국문학치료학회 23 : 77-107, 2012
7 "표준국어대사전"
8 박영목, "중학교 국어, ⑥" ㈜천재교육 2015
9 민현식, "중학교 국어, ⑥" ㈜좋은책신사고 2015
10 김종철, "중학교 국어, ⑤" ㈜천재교과서 2015
1 이정선, "<가시리>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41) : 231-256, 2010
2 성기옥, "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전통" 소명출판 2004
3 김진희, "한국시가의 전통과 <가시리>" 열상고전연구회 (44) : 203-236, 2015
4 정혜원,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283-291, 1992
5 김유미 ; 이승하,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시리」 연구" 대중서사학회 (24) : 439-472, 2010
6 염은열, "학교 바깥 고전시가의 변용과 향유에 대한 교육적 성찰 - <가시리>를 예로" 한국문학치료학회 23 : 77-107, 2012
7 "표준국어대사전"
8 박영목, "중학교 국어, ⑥" ㈜천재교육 2015
9 민현식, "중학교 국어, ⑥" ㈜좋은책신사고 2015
10 김종철, "중학교 국어, ⑤" ㈜천재교과서 2015
11 전경원, "중학교 국어, ③" 두산동아㈜ 2015
12 정운채, "작품서사 분석을 통한 <진달래꽃>의 ‘역겨워’와 <가시리>의 ‘선하면’에 대한 이해" 한국문학치료학회 15 : 221-235, 2010
13 조태성, "울(鬱)과 한(恨)의 접점 혹은 변주" 호남학연구원 (13) : 5-34, 2016
14 오수엽, "외상과 기표, 그 변증법적 주체화로서의 <가시리> 고찰 -트라우마의 상징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59 : 285-317, 2021
15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16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424-427, 1963
17 박영민, "여성 화자의 유형과 존재론적 의미-고려시대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 : 95-126, 2002
18 이혜순, "여성 화자 시의 한시 전통" 한국한문학회 19 : 21-45, 1996
19 김민지, "시적 화자를 활용한 문학사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연구소 (39) : 5-28, 2021
20 조하연, "문학사 교육 제재로서 고려속요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52) : 5-37, 2023
21 조하연, "문학교육의 고려 속요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8) : 259-297, 2012
22 류연석, "문학교육에서 한(恨)의 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45) : 117-148, 2020
23 조희정, "국어과 교육의 한국 문학 전통 교육 내용 연구 - 해방 이후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 검토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63) : 201-233, 2018
24 엄기호, "교과서는 여전히 힘이 세다"
25 최홍원, "교과서 수록 제재를 통한 고려속요 교육의 인식과 변화의 도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77) : 143-186, 2022
26 "교과서 민원 바로 처리 센터"
27 염은열, "공감의 미학-고려 속요를 말하다" 역락 2013
28 고정희, "고전시가 여성 화자 연구의 쟁점과 전망" 한국여성문학학회 (15) : 7-31, 2006
29 조희정,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 비판적 검토 (1) -충신연주지사 전통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6) : 203-246, 2023
30 김대행,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글쓰기의 전략" 도서출판 월인 9-22, 2003
31 김흥규, "고전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 한신문화사 3 : 42-53, 1992
32 임주탁,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창작·전승 기반 연구"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4
33 김대숙,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263-284, 1995
34 고선미, "고려속요 <가시리>의 현대적 변용 양상" 구보학회 (16) : 479-516, 2017
35 최미정, "고려 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출판부 2002
36 박혜숙, "고려 속요의 여성 화자" 14 : 5-28, 1998
37 이루리, "고려 속요 감상을 위한 독자관점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20
38 김명준, "고등학교 문학 교실에서 고려속요의 교육 내용과 교육 방향 모색 - 2009 개정(2011년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시가학회 38 : 167-192, 2015
39 박종호,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5
40 이숭원, "고등학교 문학" ㈜좋은책신사고 2019
41 정호웅,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9
42 김창원, "고등학교 문학" 동아출판㈜ 2019
43 권영민,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2015
44 김창원, "고등학교 문학" 두산동아㈜ 2015
45 김동환,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과서 2019
46 우한용,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과서 2015
47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5
48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Ⅱ" ㈜천재교육 2015
49 조현설, "고등학교 국어 Ⅱ" ㈜해냄에듀 2015
50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Ⅱ" ㈜지학사 2015
51 김종철, "고등학교 국어 Ⅱ" ㈜천재교육 2015
52 김중신, "고등학교 국어 Ⅱ" 교학사 2015
53 문영진, "고등학교 국어 Ⅱ" ㈜창비 2015
54 이성영,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9
55 김동환, "고등학교 국어" ㈜미래엔 2019
56 민현식, "고등학교 국어" ㈜좋은책신사고 2019
57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지학사 2019
58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9
59 박안수, "고등학교 국어" ㈜비상교육 2019
60 정민, "고등학교 국어" ㈜해냄에듀 2019
61 김지현, "K-pop에 보이는 <가시리>의 변용(變容)"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4) : 45-86, 2017
62 "C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년/2022년 <고시가교육론> 학습자 과제"
63 박혜숙, "<서경별곡> 연구의 쟁점" 집문당 1 : 293-299, 1992
64 최홍원, "<가시리>의 교과서 수용사와 고전시가 교육의 과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51 : 253-302, 2022
65 주근옥, "<가시리>와 <진달래꽃>의 구조분석" 한국시문학회 12 : 141-160, 2002
66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 개발을 위한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67 황윤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66) : 171-221, 2020
68 조희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한국문학교육학회 (68) : 227-260, 2020
69 조희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2) : 63-118, 2016
70 안대회, "18세기 여성 화자시 창작의 활성화와 그 문학사적 의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 : 127-156, 2002
71 박무영, "'여성적 말하기'와 여성한시의 전략" 한국여성문학학회 (2) : 15-42,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