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 비판적 검토 (2) = Critical Review of Female Speaker Education in Classical Poetry (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0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tatus occupied by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in the education of female speakers of classical poetry, and seek to change the contents of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m a strong prejudice about images of women in the Middle Ages and classical Korean poetry. In the parting scene, the discarded side is the male, the left side is the female, and the female speaker who is left behind reveals a dependency-dependent attitude, which is the traditional image of a woman in Korea.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arewell poems of Gashiri and Seogyeong-byeolgok and works of Loyalists’ Love-songs for the King from each oth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ries should be more fully emphasized if the two series are to be treated together.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tatus occupied by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in the education of female speakers of classical poetry, and seek to change the contents of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Gasiri and S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tatus occupied by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in the education of female speakers of classical poetry, and seek to change the contents of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Gasiri and Seogyeong-byeolgok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m a strong prejudice about images of women in the Middle Ages and classical Korean poetry. In the parting scene, the discarded side is the male, the left side is the female, and the female speaker who is left behind reveals a dependency-dependent attitude, which is the traditional image of a woman in Korea.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arewell poems of Gashiri and Seogyeong-byeolgok and works of Loyalists’ Love-songs for the King from each oth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ries should be more fully emphasized if the two series are to be treated toge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에서 <가시리>ㆍ<서경별곡>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검토하고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의 변화를 위해 <가시리>ㆍ<서경별곡> 교육 내용의 변화를 모색하였다.
      대학교 학습자들의 <가시리>ㆍ<서경별곡> 화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많은 학습자들이 <가시리> 화자를 소극적이고 순종적 화자로, <서경별곡> 화자를 적극적 화자로 대비시켜 이해할 뿐 아니라 남성에게 버려진 여성 화자의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모습을 중세 사회를 대표하는 여성의 이미지로 이해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2019 개정 국어과 교과서와 2015 개정 국어과 교과서의 <가시리>ㆍ<서경별곡> 교육 내용을 검토하면, <가시리>와 <서경별곡>은 한국 전통을 다루는 단원의 주요 제재로 ‘이별의 상황 - 여성 화자 - 이별의 정한’을 드러내는 계열 속에서 충신연주지사 작품군과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국어과 교과서의 이러한 내용은 학습자들에게 중세 여성상에 대한 이미지와 한국의 고전시가에 관한 강한 선입견을 형성한다. 이별 장면에서 버리는 쪽은 남성이며, 버려진 쪽은 여성으로, 남겨진 여성 화자는 임 의존적 태도를 드러내는바, 이것이 한국의 전통적 여인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어과 교과서에서 <가시리>ㆍ<서경별곡> 계열의 이별 시가와 충신연주지사 작품군은 서로 분리시켜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두 계열을 함께 묶어 다루고자 한다면 두 계열 사이의 차이점은 보다 충분히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가시리> 교육에서 고려 속요의 향유 맥락을 도입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학습자들이 <가시리> 텍스트의 애매함과 모호함을 탐구할 기회를 교육 내용으로 제공해야 한다.
      <가시리>를 텍스트 감상 교육의 제재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가시리> 화자의 성별에 관한 열린 해석은 허용되어야 하며, 화자의 처지와 태도 등을 탐구하는 것이 감상 교육의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국어과 교과서에서 <가시리>ㆍ<서경별곡> 화자의 행위와 태도를 ‘소극적’, ‘적극적’, ‘수동적’, ‘능동적’이라고 비평하는 용어는 재고되어야 하며 이별에 직면하여 <가시리> 화자가 보이는 건강하고 성숙한 태도와 <서경별곡> 화자가 보이는 격정적 태도는 이별 상황에 대한 다양한 태도로 학습자들의 탐구 대상이 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에서 <가시리>ㆍ<서경별곡>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검토하고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의 변화를 위해 <가시리>ㆍ<서경별곡> ...

      본 논문에서는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에서 <가시리>ㆍ<서경별곡>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검토하고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의 변화를 위해 <가시리>ㆍ<서경별곡> 교육 내용의 변화를 모색하였다.
      대학교 학습자들의 <가시리>ㆍ<서경별곡> 화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많은 학습자들이 <가시리> 화자를 소극적이고 순종적 화자로, <서경별곡> 화자를 적극적 화자로 대비시켜 이해할 뿐 아니라 남성에게 버려진 여성 화자의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모습을 중세 사회를 대표하는 여성의 이미지로 이해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2019 개정 국어과 교과서와 2015 개정 국어과 교과서의 <가시리>ㆍ<서경별곡> 교육 내용을 검토하면, <가시리>와 <서경별곡>은 한국 전통을 다루는 단원의 주요 제재로 ‘이별의 상황 - 여성 화자 - 이별의 정한’을 드러내는 계열 속에서 충신연주지사 작품군과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국어과 교과서의 이러한 내용은 학습자들에게 중세 여성상에 대한 이미지와 한국의 고전시가에 관한 강한 선입견을 형성한다. 이별 장면에서 버리는 쪽은 남성이며, 버려진 쪽은 여성으로, 남겨진 여성 화자는 임 의존적 태도를 드러내는바, 이것이 한국의 전통적 여인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어과 교과서에서 <가시리>ㆍ<서경별곡> 계열의 이별 시가와 충신연주지사 작품군은 서로 분리시켜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두 계열을 함께 묶어 다루고자 한다면 두 계열 사이의 차이점은 보다 충분히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가시리> 교육에서 고려 속요의 향유 맥락을 도입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학습자들이 <가시리> 텍스트의 애매함과 모호함을 탐구할 기회를 교육 내용으로 제공해야 한다.
      <가시리>를 텍스트 감상 교육의 제재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가시리> 화자의 성별에 관한 열린 해석은 허용되어야 하며, 화자의 처지와 태도 등을 탐구하는 것이 감상 교육의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국어과 교과서에서 <가시리>ㆍ<서경별곡> 화자의 행위와 태도를 ‘소극적’, ‘적극적’, ‘수동적’, ‘능동적’이라고 비평하는 용어는 재고되어야 하며 이별에 직면하여 <가시리> 화자가 보이는 건강하고 성숙한 태도와 <서경별곡> 화자가 보이는 격정적 태도는 이별 상황에 대한 다양한 태도로 학습자들의 탐구 대상이 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선, "<가시리>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41) : 231-256, 2010

      2 성기옥, "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전통" 소명출판 2004

      3 김진희, "한국시가의 전통과 <가시리>" 열상고전연구회 (44) : 203-236, 2015

      4 정혜원,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283-291, 1992

      5 김유미 ; 이승하,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시리」 연구" 대중서사학회 (24) : 439-472, 2010

      6 염은열, "학교 바깥 고전시가의 변용과 향유에 대한 교육적 성찰 - <가시리>를 예로" 한국문학치료학회 23 : 77-107, 2012

      7 "표준국어대사전"

      8 박영목, "중학교 국어, ⑥" ㈜천재교육 2015

      9 민현식, "중학교 국어, ⑥" ㈜좋은책신사고 2015

      10 김종철, "중학교 국어, ⑤" ㈜천재교과서 2015

      1 이정선, "<가시리>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41) : 231-256, 2010

      2 성기옥, "한국시의 미학적 패러다임과 시학적전통" 소명출판 2004

      3 김진희, "한국시가의 전통과 <가시리>" 열상고전연구회 (44) : 203-236, 2015

      4 정혜원,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283-291, 1992

      5 김유미 ; 이승하,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시리」 연구" 대중서사학회 (24) : 439-472, 2010

      6 염은열, "학교 바깥 고전시가의 변용과 향유에 대한 교육적 성찰 - <가시리>를 예로" 한국문학치료학회 23 : 77-107, 2012

      7 "표준국어대사전"

      8 박영목, "중학교 국어, ⑥" ㈜천재교육 2015

      9 민현식, "중학교 국어, ⑥" ㈜좋은책신사고 2015

      10 김종철, "중학교 국어, ⑤" ㈜천재교과서 2015

      11 전경원, "중학교 국어, ③" 두산동아㈜ 2015

      12 정운채, "작품서사 분석을 통한 <진달래꽃>의 ‘역겨워’와 <가시리>의 ‘선하면’에 대한 이해" 한국문학치료학회 15 : 221-235, 2010

      13 조태성, "울(鬱)과 한(恨)의 접점 혹은 변주" 호남학연구원 (13) : 5-34, 2016

      14 오수엽, "외상과 기표, 그 변증법적 주체화로서의 <가시리> 고찰 -트라우마의 상징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59 : 285-317, 2021

      15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16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424-427, 1963

      17 박영민, "여성 화자의 유형과 존재론적 의미-고려시대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 : 95-126, 2002

      18 이혜순, "여성 화자 시의 한시 전통" 한국한문학회 19 : 21-45, 1996

      19 김민지, "시적 화자를 활용한 문학사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연구소 (39) : 5-28, 2021

      20 조하연, "문학사 교육 제재로서 고려속요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52) : 5-37, 2023

      21 조하연, "문학교육의 고려 속요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8) : 259-297, 2012

      22 류연석, "문학교육에서 한(恨)의 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45) : 117-148, 2020

      23 조희정, "국어과 교육의 한국 문학 전통 교육 내용 연구 - 해방 이후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 검토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63) : 201-233, 2018

      24 엄기호, "교과서는 여전히 힘이 세다"

      25 최홍원, "교과서 수록 제재를 통한 고려속요 교육의 인식과 변화의 도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77) : 143-186, 2022

      26 "교과서 민원 바로 처리 센터"

      27 염은열, "공감의 미학-고려 속요를 말하다" 역락 2013

      28 고정희, "고전시가 여성 화자 연구의 쟁점과 전망" 한국여성문학학회 (15) : 7-31, 2006

      29 조희정, "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 비판적 검토 (1) -충신연주지사 전통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6) : 203-246, 2023

      30 김대행,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글쓰기의 전략" 도서출판 월인 9-22, 2003

      31 김흥규, "고전문학 교육과 역사적 이해의 원근법" 한신문화사 3 : 42-53, 1992

      32 임주탁,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창작·전승 기반 연구"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4

      33 김대숙,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263-284, 1995

      34 고선미, "고려속요 <가시리>의 현대적 변용 양상" 구보학회 (16) : 479-516, 2017

      35 최미정, "고려 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출판부 2002

      36 박혜숙, "고려 속요의 여성 화자" 14 : 5-28, 1998

      37 이루리, "고려 속요 감상을 위한 독자관점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20

      38 김명준, "고등학교 문학 교실에서 고려속요의 교육 내용과 교육 방향 모색 - 2009 개정(2011년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시가학회 38 : 167-192, 2015

      39 박종호,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5

      40 이숭원, "고등학교 문학" ㈜좋은책신사고 2019

      41 정호웅,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9

      42 김창원, "고등학교 문학" 동아출판㈜ 2019

      43 권영민,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2015

      44 김창원, "고등학교 문학" 두산동아㈜ 2015

      45 김동환,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과서 2019

      46 우한용,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과서 2015

      47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5

      48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Ⅱ" ㈜천재교육 2015

      49 조현설, "고등학교 국어 Ⅱ" ㈜해냄에듀 2015

      50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Ⅱ" ㈜지학사 2015

      51 김종철, "고등학교 국어 Ⅱ" ㈜천재교육 2015

      52 김중신, "고등학교 국어 Ⅱ" 교학사 2015

      53 문영진, "고등학교 국어 Ⅱ" ㈜창비 2015

      54 이성영,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9

      55 김동환, "고등학교 국어" ㈜미래엔 2019

      56 민현식, "고등학교 국어" ㈜좋은책신사고 2019

      57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지학사 2019

      58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9

      59 박안수, "고등학교 국어" ㈜비상교육 2019

      60 정민, "고등학교 국어" ㈜해냄에듀 2019

      61 김지현, "K-pop에 보이는 <가시리>의 변용(變容)"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4) : 45-86, 2017

      62 "C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년/2022년 <고시가교육론> 학습자 과제"

      63 박혜숙, "<서경별곡> 연구의 쟁점" 집문당 1 : 293-299, 1992

      64 최홍원, "<가시리>의 교과서 수용사와 고전시가 교육의 과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51 : 253-302, 2022

      65 주근옥, "<가시리>와 <진달래꽃>의 구조분석" 한국시문학회 12 : 141-160, 2002

      66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 개발을 위한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67 황윤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66) : 171-221, 2020

      68 조희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한국문학교육학회 (68) : 227-260, 2020

      69 조희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2) : 63-118, 2016

      70 안대회, "18세기 여성 화자시 창작의 활성화와 그 문학사적 의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 : 127-156, 2002

      71 박무영, "'여성적 말하기'와 여성한시의 전략" 한국여성문학학회 (2) : 15-4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