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주도 ‘돌하르방’에 나타난 한국의 선도문화 = Korean Sundo(선도) Culture viewing through Dolharbang(돌하르방) in Je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3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interpreting of the Training Culture of the Korean Sundo through the Dolharbang of Jeju island in Korea. The Korean Sundo was inherited through the three sacred books of Cheon Bu Gyoung(天符經), Sam Il Sin Go(三...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interpreting of the Training Culture
      of the Korean Sundo through the Dolharbang of Jeju island in Korea.
      The Korean Sundo was inherited through the three sacred books of
      Cheon Bu Gyoung(天符經), Sam Il Sin Go(三一神誥), and Cham
      Joen Gye Gyoung(參佺戒經). The basic and core thought of Sundo is
      the Sam Won thought, that is to say,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Men. The final goal of Sundo training is the perfection of self and
      the total perfection. These goal had been achieved by means of mate
      rializing of Hongikingan and Yihwasyegyeo. There were three saints(桓
      因, 桓雄, and 檀君) in the center of the Korean Sundo. Three saints
      recovered Sam Jin(三眞; 性,命,精) and materialized Hongikingan and
      Yihwasyegyeo through Sundo training. They were called and believed
      to the supernatural being, Sun In(仙人), and their shape were expressed
      to a statue or Sin Chye(神體) in Dang San(堂山) by the people. Buck
      Su(法首) is the name of Sun In(仙人) as per the record. At the begin
      ning, Buck Su(法首) was a sculpture with a function of the training
      character for Sundo trainees but it was changed to a protecting deity
      of village by means of weakening of training tradition.
      Dolharbang is one of the Buck Su(法首), and there are 45 Dolhar
      bangs in Jeju Island and 2 Dolharbangs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ach Dolharbang is emphasis on fingers. I want to define
      that Dolharbang is ‘Buck Su in Jeju’, because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Buck Su found in main land. There is a image of trainee in 12
      Dae Jeong Hyun Sung Dolharbangs, they show the UnKi trainging(運
      氣修練) of Korean Sundo through the Three Training Methods(三修
      行法; 止感, 調息, and 禁觸). Analyzing of particular in sclupture of
      these three area’s Dolharbang, it seems that they made up in order
      Dae Jeong Hyun Sung, Jeong Eu Hyun Sung and Jeju Eup Sung. The
      feature of sclupture and order of sculpture’s differences show
      the process of weakening of training tradition and the reflection of
      Buck Su from the main land at the same time.
      The training culture of Korean Sundo has been changed or fell off
      in land, but it has been reserved comparably with original form in
      Jeju Island. Dolharbang is one of the important inheritance; which describes
      the training culture of the Korean Sundo through the fingers and shows
      the original character of Buck Su(法首).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도 돌하르방에 나타난 한국선도의 수행문화를 해 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돌하르방은 벅수(法首)의 한 갈래이다. 기록에 의하면 벅수(法首)는 선인의 이름이다. 선도수행...

      이 연구는 제주도 돌하르방에 나타난 한국선도의 수행문화를 해
      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돌하르방은 벅수(法首)의 한 갈래이다.
      기록에 의하면 벅수(法首)는 선인의 이름이다. 선도수행을 통하여
      삼진(性․命․精)을 회복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이상을 실현했
      던 선도성인을 ‘선인’이라고 한다. 초기에 벅수(法首)는 선도수행가
      의 수행지표 역할을 하던 조형물이었으나 점차 수행전통이 약화되
      면서 수호신상으로 변천되었다. 수인이 강조되어 나타나 있는 돌하
      르방 가운데 특히 대정현성의 석상은 수행자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이를 한국선도의 삼수행법(止感․調息․禁觸)을 통한 운기수련의
      모습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를 육지의 벅수와 구별되는
      ‘제주도형 벅수’로 정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헌, "힐링차크라" 한문화 2002

      2 이승헌, "한국인에게 고함(개정판)" 한문화 2006

      3 박호원, "한국의 석장승과 남원, In 전북지방 장승․솟대 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3

      4 선도문화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06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전경수, "한국문화론-상고편" 일지사 1996

      7 장지훈, "한국고대 미륵신앙연구" 집문당 1997

      8 김원용, "한국 장승의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석장승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03

      9 김성철, "한국 사찰장승의 연구" 동아대학교 2001

      10 이수자,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집문당 2004

      1 이승헌, "힐링차크라" 한문화 2002

      2 이승헌, "한국인에게 고함(개정판)" 한문화 2006

      3 박호원, "한국의 석장승과 남원, In 전북지방 장승․솟대 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3

      4 선도문화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06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전경수, "한국문화론-상고편" 일지사 1996

      7 장지훈, "한국고대 미륵신앙연구" 집문당 1997

      8 김원용, "한국 장승의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석장승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03

      9 김성철, "한국 사찰장승의 연구" 동아대학교 2001

      10 이수자,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집문당 2004

      11 송화섭, "조선후기 마을미륵의 형성 배경과 그 성격" 서문문화사 6 : 1994

      12 김명철, "조선시대 제주도 관방시설의 연구" 제주대학교 2000

      13 고재환, "제주인의 혼불" 각 2006

      14 제주도지편찬위원회, "제주의 민속Ⅰ․Ⅱ․Ⅲ" 제주도 1993

      15 강문규, "제주문화의 수수께끼" 각 2006

      16 진성기, "제주도무속논고" 민속원 2003

      17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18 현승환, "제주도 설화에 나타난 문화계통, In 『제주문화연구』 玄旨 김영돈박사 화갑기념논문집" 1992

      19 정성권, "제주도 돌하르방에 관한 연구-양식적 특징 및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2

      20 주채혁, "제주도 돌하르방 연구의 몇가지 문제점 : 그 기능과 형태 및 계통 동몽골 다리강가 훈촐로오와 관련하여" 江原大學校史學會 9 : 1993

      21 장주근, "제주도 당신신화의 구조와 의미" 3 : 1986

      22 김영돈, "정의고을 조사보고서" 1983

      23 천민영, "전라북도 미륵신앙의 지역적 특색" 한국교원대학교 2000

      24 국립민속박물관, "전남지방 장승․솟대 신앙"

      25 김두하, "장승과 벅수" 대원사 2001

      26 황헌만, "장승" 열화당 2005

      27 정상원, "장승" 눈빛 2000

      28 이원진, "역주 탐라지" 푸른역사 2002

      29 이승헌, "숨쉬는 평화학" 한문화 2002

      30 선도문화연구원, "선도문화 제2집"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7

      31 선도문화연구원, "선도문화 제1집"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6

      32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humanist 2006

      33 정경희, "삼국시대 仙․佛습합의 ‘彌勒思想’" 단군학회 (16) : 2007

      34 김두하, "벅수와 장승(수정증보판)" 집문당 1995

      35 윤명철, "바닷길은 문화의 고속도로였다" 사계절 2001

      36 요헨 힐트만, "미륵-운주사 천불천탑의 용화세계" 학고재 1997

      37 최종례, "미륵의 나라" 우리출판사 2006

      38 김삼룡, "미륵불" 대원사 2001

      39 주강현, "마을로 간 미륵" 대원정 1995

      40 김인호, "돋통시 문화, In 월간관광제주" 월간관광제주사 1989

      41 이승헌, "단학(개정판)" 한문화 2005

      42 박성수, "단군문화기행" 서원 2000

      43 국립민속박물관, "경남지방 장승․솟대 신앙"

      44 "高麗史"

      45 정경희, "韓國仙道의 修行法과 祭天儀禮" 한국도교문화학회 (21) : 39-80, 2004

      46 정경희, "韓國仙道의 ‘삼신하느님’" 한국도교문화학회 (26) : 27-68, 2007

      47 정경희, "韓國仙道와 彌勒信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선도문화연구원 2006

      48 이승호, "韓國仙道 小考"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5

      49 김공칠, "耽羅語 硏究" 한국문화사 1999

      50 "耽羅誌"

      51 "耽羅紀年"

      52 "耽羅巡歷圖"

      53 안진경, "現代 丹學의 神人合一論 小考"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5

      54 "濟州風土錄"

      55 제주도지편찬위원회, "濟州道誌, 1․2․3권" 제주도 1993

      56 제주도지편찬위원회, "濟州道誌 1권~7권" 제주도 2006

      57 황남미, "江陵端午祭의 韓國仙道的 解釋"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5

      58 안창범, "桓雄天皇과 韓國固有思想의 誕生" 제주대학교 2001

      59 단학회연구부, "桓檀古記"

      60 "朝鮮王朝實錄"

      61 "新增東國輿地勝覽"

      62 윤병유, "密陽 嶺南樓現를 통해 본 韓國의 仙道文化"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6

      63 "天符經"

      64 한문화편집부, "天地人" 2000

      65 국사편찬위원회, "國史館論叢 第106輯" 국사편찬위원회 2005

      66 "參佺戒經"

      67 현용준, "三姓神話硏究" 1983

      68 "三國遺事"

      69 "三國史記"

      70 "三一神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