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 베트남 전쟁 시기의 ‘록밴드’를 중심으로 - = Comparisons between the Cultural Aspects of the US Military Villages in the Korean and Japanese Films - Focussing on the “Rock Band” during the Vietnam Wa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2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compare two Korean and Japanese films in order to analyse the process whereby the popular music formed in US military villages, especially the music of “rock band”,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the two countries. For this purpo...

      In this study, I compare two Korean and Japanese films in order to analyse the process whereby the popular music formed in US military villages, especially the music of “rock band”,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the two countries. For this purpose, I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 space in which the US military villages in Korea and Japan were located and the process whereby the rock band music was formed in these military village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films describing the rise and fall of rock bands that acted in US military villages from the late 1960s to the 1970s during the Vietnam War. More specifically, I analyse the Korean film Go Go 70s, directed by Ho Choi in 2008 and the Japanese film A Sign Days, directed by Yoichi Sai in 1989. My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points. On the one hand, in Korea, the musicians of the time considered the stage of the US Eighth Army to be the gateway to success, and the music that emerged in the US military villages may be regarded as a source of modern Korean music. On the other hand, in Japan, the music of the US military village in Okinawa was consumed as Okinawan’s music, and it spurred the emergence of Okinawan rock in contemporary Jap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준,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한길아트 24-314, 2005

      2 임형순, "한국 록 음악에서의 7080 캠퍼스 밴드들의 역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3 신상옥, "지옥화"

      4 정아영, "일본의 1968년 학생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과 평가" 비판사회학회 (76) : 70-89, 2007

      5 "연합뉴스"

      6 "씨네21"

      7 다큐인포, "부끄러운 미군문화 답사기" 북이즈 52-, 2004

      8 한지수, "미8군쇼 무대를 통한 미국대중음악의 국내 유입 양상" 세계음악학회 (20) : 131-149, 2009

      9 노래박물관, "미8군쇼 60년사, 기록과 증언 특별전"

      10 안민용, "미8군 무대를 통한 한국 재즈 형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1 신현준,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한길아트 24-314, 2005

      2 임형순, "한국 록 음악에서의 7080 캠퍼스 밴드들의 역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3 신상옥, "지옥화"

      4 정아영, "일본의 1968년 학생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과 평가" 비판사회학회 (76) : 70-89, 2007

      5 "연합뉴스"

      6 "씨네21"

      7 다큐인포, "부끄러운 미군문화 답사기" 북이즈 52-, 2004

      8 한지수, "미8군쇼 무대를 통한 미국대중음악의 국내 유입 양상" 세계음악학회 (20) : 131-149, 2009

      9 노래박물관, "미8군쇼 60년사, 기록과 증언 특별전"

      10 안민용, "미8군 무대를 통한 한국 재즈 형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11 최호, "고고70"

      12 福屋利信, "音楽社会学でJ-POP!!!-米軍基地から生まれた日本歌謡曲ヒストリー" かざひの文庫 26-, 2018

      13 "読売新聞"

      14 木村俊介, "沖縄米軍基地周辺のロック音楽文化について" 大東文化大学校 6 : 7-12, 2006

      15 石原ゼミナール, "戦後コザにおける民衆生活と音楽文化" 榕樹社 292-, 1994

      16 東谷護, "ポピュラー音楽に見る‘アメリカ’ー日韓の米軍クラブにおける音楽実践の比較から考えるー" 成城大学研究講義グローカル研究センター (1) : 43-50, 2014

      17 "NHKアーカイブスみちしる"

      18 "KBS연예수첩"

      19 崔洋一, "Aサインデイズ"

      20 장미정, "20세기 중반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력으로 시작된 한국 대중음악의 발전 양상에 관한 고찰-대중문화현상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21 박호정 ; 홍성규, "1960년대 한국 대중음악 중창단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 대표적인 중창단의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569-596, 2020

      22 정연주, "1950년대 미8군 클럽 음악과 우리 대중가요의 서구화 : 문화적 혼종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3 0.56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