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하위시장 여건을 고려한 지역 간 이동 영향요인 분석 = Effects of the Housing Sub-market Conditions on the Mi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13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 간 인구이동은 기대소득 또는 절대소득, 취업기회 등과 같은 경제적측면의 이동이 주된 원인으로 설명되지만, 지역내부나 인접지역 간에 이루어지는 이동은 주거이동으로 설명한다. ...

      지역 간 인구이동은 기대소득 또는 절대소득, 취업기회 등과 같은 경제적측면의 이동이 주된 원인으로 설명되지만, 지역내부나 인접지역 간에 이루어지는 이동은 주거이동으로 설명한다. 주거이동은 해당지역이나 인접지역에서 주거조절을 통해 이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인구이동과 차별적이다. 이 연구는 어느 한 지역 내 주택시장여건이나 지자체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차이가 이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영향 요인은 무엇인지 인구이동과 주거이동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 하에서 이동에 영향을 주는 하위시장여건과 지역특성요인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이동의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인구규모가 큰 지역, 인접한 지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공공시설이나 서비스보다 지역의 주택시장 여건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세가격의 상승에 따른 주변지역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임차가구의 비자발적 이동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저렴한 주택공급,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우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housing marke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migration.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mainly used spatia...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housing marke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migration.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mainly used spatial analysis and OL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migration. For that, this study obtained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market data.
      (3) RESEARCH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igration is more clustered in Seoul city that south part in Seoul city and neighbor in Suwon city.
      2.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ies were recommended. The policies are needed to reduce the loss of affordable housing and displacement of low income households by increased r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affordable housing supp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 인구이동
      • 2. 선행연구 검토
      • Ⅲ. 분석틀 및 변수 설정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 인구이동
      • 2. 선행연구 검토
      • Ⅲ. 분석틀 및 변수 설정
      • 1. 분석방법 및 절차
      • 2. 변수 설정
      • Ⅳ. 실증분석
      • 1. 인구이동의 공간적 분포
      • 2. 기초통계와 상관분석
      • 3. 이동의 영향요인 분석
      • Ⅴ.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우,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독립이동과 연계이동" 한국지역학회 18 (18): 49-82, 2002

      2 하상근,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309-332, 2005

      3 김현아,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75-103, 2008

      4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06

      5 정병호,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주거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3) : 256-267, 2015

      6 이희연, "인구학: 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법문사 2003

      7 한정희, "인구구조와 주택가격 : 동아시아와 유럽 비교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4) : 184-198, 2016

      8 김리영,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1-20, 2013

      9 전해정, "위계적 선형모형과 GIS를 활용한 도시 주거환경요인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5) : 133-145, 2016

      10 이희연,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흐름 분석" 국토연구원 67 : 123-142, 2010

      1 이성우,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독립이동과 연계이동" 한국지역학회 18 (18): 49-82, 2002

      2 하상근,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309-332, 2005

      3 김현아,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75-103, 2008

      4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06

      5 정병호,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주거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3) : 256-267, 2015

      6 이희연, "인구학: 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법문사 2003

      7 한정희, "인구구조와 주택가격 : 동아시아와 유럽 비교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4) : 184-198, 2016

      8 김리영,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1-20, 2013

      9 전해정, "위계적 선형모형과 GIS를 활용한 도시 주거환경요인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5) : 133-145, 2016

      10 이희연,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흐름 분석" 국토연구원 67 : 123-142, 2010

      11 김리영, "연령별 인구이동이 주택가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67-80, 2013

      12 정성기, "아파트 주거만족도에 따른 주거이동 결정요인" 한국부동산학회 (33) : 236-247, 2008

      13 김리영, "수원시 유입-유출가구의 가구특성 및 주거조절의 차이에 관한 연구" 수원시정연구원 (11) : 2016

      14 홍성조, "수도권의 주거이동 한계거리에 관한 연구 -이동지역과 가구규모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학회 (60) : 115-126, 2015

      15 김상원, "수도권 도시유형별 내부 인구이동 영향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737-744, 2016

      16 민병철, "세종시와 대전 주택시장간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7) : 129-143, 2016

      17 홍성효, "세대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연구원 13 (13): 1-19, 2012

      18 허재완, "도시경제론" 박영사 1993

      19 이성우, "기회편익으로 측정한 도농간 이동자의 고용기회" 지역학회 2004

      20 이외희, "경기도 이동인구 및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2010

      21 마강래, "The Linkage between Employment and Population Movements in the Decentralisation Process"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283-299, 2008

      22 Anselin, L.,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27 : 1995

      23 Lewis, A, "Economic Development with Unlimited Supplies of Labor" 22 : 1954

      24 Tibout, C, "A Pure Theory of Local Public Expenditures" 64 : 1956

      25 Todaro, P, "A Model of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59 :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1 2.61 1.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25 0.70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