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교의 도구로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 Development As a Tool of the Mi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49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IT산업이 발달하면서 전 세계가 디지털 시대로 변모한 시대에 선교는 이렇다 할 콘텐츠를 갖지 못하고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면서 선교 사역을 감당해 왔다. 이에 따라 선교 현장에서 복음...

      IT산업이 발달하면서 전 세계가 디지털 시대로 변모한 시대에 선교는 이렇다 할 콘텐츠를 갖지 못하고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면서 선교 사역을 감당해 왔다. 이에 따라 선교 현장에서 복음을 증거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따라서 선교 도구로서의 콘텐츠에 대한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일반적으로 콘텐츠는 고부가가치의 창출과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만, 선교라는 특수한 목적을 가진 콘텐츠는 항상 성경을 근거로 하되 선교지에 적합한 재해석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들의 문화나 사회 전반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필요로 한다.
      선교의 도구로서 성경을 베이스로 하여 현지의 환경에 맞는 콘텐츠 하나를 개발하면 선교사들이 선교 현장에서 복음을 증거를 위해 현지인과의 접근성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현지인들에게도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더 좋고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선교 사역자들이 현장에서 좀 더 다양한 도구로서 적극적인 사역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을 고려하고 상황을 고려한 선교 콘텐츠의 개발은 선교사에게 복음 증거의 무기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교 도구로서의 콘텐츠의 중요성을 실례를 통해 알리고, 이에 대한 기반 구축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연구의 구성은 서론에서 콘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구약성경의 근거와 현재 한국에 있는 타종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콘텐츠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선교 콘텐츠의 당위성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선교 콘텐츠가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원더풀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의 사례를 들어 기술하였으며, 사례들에 대한 한국에서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선교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제안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는데, 첫째는 DB 구축을 위한 전문기관 설립과 네트워크 구축, 둘째로 성경과 세상이 소통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 그리고 셋째로 선교지 상황과 환경에 부응하는 콘텐츠 개발이다. 그리고 향후를 전망하면서 선교 콘텐츠의 연구 개발로 선교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evolves, the whole world is transformed into digital age in an era and do not have a content as a tool to do missionary work is as follows have been causative the mission by adhering to traditional way. Accordingly, pr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evolves, the whole world is transformed into digital age in an era and do not have a content as a tool to do missionary work is as follows have been causative the mission by adhering to traditional way. Accordingly, preach the gospel in the field are asking for the needs of new tools that can be, therefore, content as a tool for development is being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missionary work.
      In general, the propose of content is creation of high value-added and profit but content that has special purpose in mission always based on the bible, and it needs research and analysis for their culture or society at large because of fitting the mission field to require a reinterpretation. Tools based on a Bible as of the mission content in local settings to develop one, missionaries can receive many helps of accessibility in with local people and will achieve its effects to reduce rejection for the local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mission content that consider the local area and the situation can take as a weapon of the gospel to a missionary.
      The study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mission content as a tool through the examples and is for the need to highlight. Therefore, I hope there are better and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contents, and missionary work more active ministry as a variety of instruments through the use of these. And the configuration is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in the introduction of the article, looking for evidence, at the Old Testament, by review the status of the content currently take place in different religions in Korea and communicates the reason of mission content.
      And I have a mission of the content is Wonderful story and storytelling, technology and, for example, how plays a role, and look at the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Korea for the cases. In addition, three proposals on health with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mission content that the first one is network construction,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for the deployment of DB, the second one is content development of the bible and the world to communicate and third one is to develop the content of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in mission field. And the future outlook,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ission content greater activation to be a challenge to ensure that there has been on missionary 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 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선교 콘텐츠의 개발의 당위성
      • Ⅲ. 선교 콘텐츠의 예: 원더풀 스토리와 그림성경스토리텔링
      • Ⅳ. 선교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제안
      • 한글 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선교 콘텐츠의 개발의 당위성
      • Ⅲ. 선교 콘텐츠의 예: 원더풀 스토리와 그림성경스토리텔링
      • Ⅳ. 선교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제안
      • Ⅴ. 나가는 글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환, "핵심선교학개론 (개정 증보)" 도서출판 바울 2008

      2 전진국, "콘텐츠로 세상을 지배하라" 쌤앤파커스 2013

      3 정상철, "콘텐츠 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4 이용관, "콘텐츠 산업과 한국 고유문화 연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5 이남희, "지식정보화사업과 종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 33 : 213-260, 2006

      6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원형 발굴 및 활용방안" 문화체육관광부 28-, 2008

      7 Klein, William W., "성경해석학 총론" 생명의 말씀사 2013

      8 이후천, "선교적 교회론과 한국 교회 선교" 한국선교신학회 (43) : 137-160, 2016

      9 Turker, Ruth, "선교사 열전"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05

      10 최영실, "복음화를 위한 한국 천주교 문화정보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온라인문화정보화를 중심으로" 3 : 117-123, 2010

      1 박영환, "핵심선교학개론 (개정 증보)" 도서출판 바울 2008

      2 전진국, "콘텐츠로 세상을 지배하라" 쌤앤파커스 2013

      3 정상철, "콘텐츠 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4 이용관, "콘텐츠 산업과 한국 고유문화 연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5 이남희, "지식정보화사업과 종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 33 : 213-260, 2006

      6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원형 발굴 및 활용방안" 문화체육관광부 28-, 2008

      7 Klein, William W., "성경해석학 총론" 생명의 말씀사 2013

      8 이후천, "선교적 교회론과 한국 교회 선교" 한국선교신학회 (43) : 137-160, 2016

      9 Turker, Ruth, "선교사 열전"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05

      10 최영실, "복음화를 위한 한국 천주교 문화정보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온라인문화정보화를 중심으로" 3 : 117-123, 2010

      11 최영실, "복음화를 위한 한국 천주교 문화정보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2" 2 : 123-132, 2009

      12 최영실, "복음화를 위한 한국 천주교 문화정보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2 : 117-120, 2009

      13 최영실, "복음화를 위한 한국 천주교 문화정보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3 : 110-115, 2010

      14 최영실, "복음화를 위한 한국 천주교 문화정보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4 : 112-117, 2010

      15 전석재, "변화하고 있는 선교"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16 VDF, "베트남 선교백서" 베트남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2013

      17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3

      18 홍기영, "바울서신에 나타난 선교학적 주제들의 고찰" 한국선교신학회 26 (26): 273-308, 2011

      19 심상민, "미디어는 콘텐츠다: 미디어 & 콘텐츠 비즈니스 전략" 김영사 2002

      20 이경진, "문화콘텐츠와 기독교철학의 만남" 인문콘텐츠학회 (9) : 237-258, 2007

      21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현황과 전망" 인문콘텐츠학회 (27) : 9-25, 2012

      22 김민수, "문화를 통한 새 복음화" 7 : 38-41, 2014

      23 원신애, "문화 콘텐츠의 도전과 기독교 콘텐츠의 가능성" 11 : 93-122, 2012

      24 조은하, "문화 콘텐츠와 스토리콘텐츠" 1 : 99-126, 2012

      25 "목포JSK 블로그. 바울신학"

      26 이용관, "모바일 콘텐츠 산업 변화 양상과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27 "다음백과사전. 감로탱"

      28 허희옥, "내러티브 사고 양식인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95-224, 2006

      29 Rommen, Edward, "기독교와 타종교" 서로사랑 1998

      30 신광철, "기독교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과 방법" 종교와문화연구소 (20) : 217-242, 2013

      31 김성영, "기독교문서에 대한 매체" 한국기독교선교대회 1992

      32 김남식,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교회개척의 현황과 진단(2000-2015)에 관한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41) : 13-46, 2016

      33 김선정, "기독교대학 교양 성서교육의 특성과 교육 콘텐츠"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8) : 33-54, 2011

      34 송태현, "기독교 문화 콘텐츠의 현황과 전망" 북코리아 2008

      35 이OO 선교사, "기도편지"

      36 최OO 선교사, "기도편지"

      37 이재완, "교회와 선교교육" 기독교문서선교회 2009

      38 김대영, "가상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 미 운영전략" 20 : 301-306, 2002

      39 "H 선교사의 논문 프로젝트 보고, 미발행"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issi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84 0.56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