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 현재 민간영역의 분야는 전자투표 시스템이 활용되는 추세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공공영역의 지방선거·국회의원 선거·대통령선거 등 공직 선거에서 전자투표 실현은 보류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8월 현재 민간영역의 분야는 전자투표 시스템이 활용되는 추세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공공영역의 지방선거·국회의원 선거·대통령선거 등 공직 선거에서 전자투표 실현은 보류된 ...
2018년 8월 현재 민간영역의 분야는 전자투표 시스템이 활용되는 추세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공공영역의 지방선거·국회의원 선거·대통령선거 등 공직 선거에서 전자투표 실현은 보류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했다. 왜 민간영역에서는 실현중인 전자투표를 공직선거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까· 그리하여 본 연구는 유권자인 개인의 속성에서 답을 찾아보고자 했다. 확인을 위해 본 연구는 크게 기술수용 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정보시스템 성과 측정 모형(Internet System Success Model), 기술 준비도(Technology Readiness)를 대 이론으로 설정했다. 전국 성인남녀 262명을 대상으로 실증 결과 시스템 품질 속성 중에서 신뢰성이 지각된 이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기술준비도 속성 중에서는 불편감과 불안감이 이용 용이성과 부의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술수용 모형의 구성요인으로써 이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전자투표 이용 의도에는 지각된 유용성만이 정의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자투표에 대한 유권자의 인지 요인과 수용에 영향을 주는 관계 등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들과 차별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한국임업진흥원 정책사례발표: 임산물 수출 전문기업 육성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