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 비교연구 -양층언어현상(Diglossia)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and <Songs of Flying Dragons> in Korea - Focus on Diglossi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4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the view point of Diglossia that the role and position of Chinese writing and Korean writing were not equal in Chosun Dynasty in Korea. Namely, Chinese writing was High Variety for Men and the high class and Korean writing was Low ...

      This study based on the view point of Diglossia that the role and position of Chinese writing and Korean writing were not equal in Chosun Dynasty in Korea. Namely, Chinese writing was High Variety for Men and the high class and Korean writing was Low Variety for women and low class especially in 15th century. So I tried to study how the difference of two languages influenced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and <Songs of Flying Dragons>. The preceding articles regarded the two literature works with same character, but I established the different things of them through this article. The results are showed in three points-the reading public, creation reason, view-point and style.
      First, transcrip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not in <Songs of Flying Dragons>. The song was translated in Chinese poetry and explanatory note was in Chinese. Because it is for King(man) and high class. But,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noted by Korean characters which were in front of Chinese characters for Queen and Buddhist monk.
      Second, There were Confucian view-points and formal idea in <Songs of Flying Dragons>, Buddhism and private idea-consolation of losing wife and mother in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Third, the difference of two language influenced in style and structure of text. <Songs of Flying Dragons> intends to poetry by literacy and <Songs of Moon Illuminating on Thousand Rivers> intends to song by or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시대 한문과 국문의 지위가 동등하지 않고 상ㆍ하층, 남성과 여성에 따라 구별되어 사용된 양층언어적 상황에 기반해 두 언어의 이러한 차이가 국문이 창제된 당시의 작품인 <...

      본고는 조선시대 한문과 국문의 지위가 동등하지 않고 상ㆍ하층, 남성과 여성에 따라 구별되어 사용된 양층언어적 상황에 기반해 두 언어의 이러한 차이가 국문이 창제된 당시의 작품인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 연구이다. 두 작품은 기존논의에서 국문가사로 된 악장문학으로 같이 분류되어 공통점에 기반해서 연구되었지만, 본고에서는 한문과 국문의 표기상황이 달라 그 차이점이 어떠한지 비교하여 대상독자층, 창작동기 및 다루는 세계관, 나아가 문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용비어천가>는 한자어에 대해 국문음을 표기하지 않았고, 한역시와 한문주해가 병기되어 있다. 반면 <월인천강지곡>은 국문앞세움 표기를 통해 한자어에 국문음 표기를 하였고 국문가사만 존재한다. 이는 대상독자층이 <용비어천가>는 왕을 비롯한 사대부남성을, <월인천강지곡>은 소헌왕후라는 여성 및 追薦儀式에서 이를 부르는 승려, 나아가 일반 백성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다.
      둘째, 두 언어표기의 차이는 다루는 내용 및 세계관과 밀접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용비어천가>는 건국의 정당성을 위한 공식적 목적에서 유교적 세계관 및 군신관계를 다루고 있는 반면, <월인천강지곡>은 개인적인 슬픔을 위로받기 위한 비공식적 목적에서 출발하여 불교적 세계관과 신앙심의 전파 등을 다루고 있다.
      셋째, 두 언어표기의 차이는 통사구조 및 텍스트구조에 영향을 미쳐 문체의 차이를 가져왔다. 이를 통해 <용비어천가>는 국문의 문자언어로서의 기능이 강해 詩로서의 성향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월인천강지곡>은 국문의 구두언어로서의 기능이 강해 노래로서의 성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龍飛御天歌 約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0) : 1976

      2 이윤석, "龍飛御天歌 上ㆍ中ㆍ下" 효성여자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93

      3 아세아문화사, "龍飛御天歌" 아세아문화사 1972

      4 운림당편집부, "龍飛御天歌" 한국승공 1992

      5 강신항,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6 성호주, "현토체 악가의 시가사적 의의" 부산여대 국어국문학과수련어문학회 1984

      7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문학" 지식산업사 1999

      8 조규익,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 논형 2007

      9 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민속원 2005

      10 이종묵, "조선시대 한시의 번역과 이중문자체계" 2004

      1 "龍飛御天歌 約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0) : 1976

      2 이윤석, "龍飛御天歌 上ㆍ中ㆍ下" 효성여자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93

      3 아세아문화사, "龍飛御天歌" 아세아문화사 1972

      4 운림당편집부, "龍飛御天歌" 한국승공 1992

      5 강신항,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6 성호주, "현토체 악가의 시가사적 의의" 부산여대 국어국문학과수련어문학회 1984

      7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문학" 지식산업사 1999

      8 조규익, "풀어읽는 우리 노래문학" 논형 2007

      9 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민속원 2005

      10 이종묵, "조선시대 한시의 번역과 이중문자체계" 2004

      11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진단학회 (104) : 2007

      12 조흥욱,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8

      13 강신항, "용비어천가의 편찬경위에 대하여" 6 (6): 1958

      14 조흥욱, "용비어천가의 창작 경위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01

      15 박병채, "용비어천가 약본의 국어학적 고찰-원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부산여대 국어교육학과 수련어문학회 1978

      16 박병채, "용비어천가 약본에 대하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75

      17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2004

      18 정소연, "신흠의 절구와 시조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2006

      19 강신항, "세종시대의 언어정책과 훈민정음 창제 in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20 김완진,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in : 성곡논총3집" 성곡학술문화재단 1972

      21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22 최미정, "별곡에 나타난 병행체에 대하여 in : 백영 정병욱선생 환갑기념 한국시가문학연구" 신구문화사 1983

      23 권두환, "목소리 낮추어 노래하기 in : 백영정병욱선생 10주기 추모논문집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24 오현아, "띄어쓰기 개념의 재정립에 대한 고찰 -음독에서 묵독으로의 개인적ㆍ사회적 이행과정을 중심으로" 2008

      25 이정찬, "근대적 구두법(句讀法)이 읽기와 쓰기에 미친 영향-근대 전환기를 중심으로-」," 2008

      26 안병희, "국어사 자료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2

      27 월터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28 조동일, "공동문어문학과 민족어문학" 지식산업사 1999

      29 김수경, "고전시가와 현대시에 나타난 병렬의 방식 in : 고전시가 엮어 읽기 하" 태학사 2003

      30 王力, "詩詞律格 in : 한시 율격의 이해" 中華書局 1977

      31 "原本 국어국문학 총림 3 in : 釋譜詳節" 대제각 1988

      32 "原本 국어국문학 총림 11 in :月印釋譜" 대제각 1985

      33 "原本 국어국문학 총림 11 in : 月印千江之曲" 대제각 1985

      34 김기종, "印千江之曲의 底經과 사상적 기반" 어문연구학회 53 : 35-61, 2007

      35 吳戰壘, "中國詩學 in : 중국시학의 이해 in : The Art of Chinese Poetry" 人民出版社 1991

      36 이종석, "≪月印千江之曲≫과 선행 불교서사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2001

      37 Gumperz John. J., "Types of Linguistic Community" 4 (4): 1962

      38 Charles A. Ferguson, "Diglossia" (15) : 1959

      39 Joshua A. Fishman, "Bilingualism with and without Diglossia ; Diglossia with and without Bilingualism" 22 (22): 1967

      40 김승우, "<龍飛御天歌> 향유수용양상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23 : 81-113, 2007

      41 김승우, "<월인천강지곡>의 주제와 형상화 방식" 고려대학교 2005

      42 성기옥, "<용비어천가>의 문학적 성격-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국문시가로서의 역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1989

      43 성기옥, "<용가> 권점의 언어적 기능과 미적 기능" 문학과 언어의 만남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