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튜브에 나타난 빈티지 패션 콘텐츠의 유형별 특성과 소비자의 추구가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1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빈티지 의류는 과거의 낡고, 헌 옷이라는 인식과 달리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빈티지 패션을 즐기고 소비하며, 그 경험을 SNS에서 자연스럽게 공유하고 인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빈티지 패션이 일반 의류와 달리 오랜 선입견의 영향을 받아 왔다는 점에 주목하여, 빈티지 의류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양면적이고 복합적인 태도에 주목하였으며, 빈티지 의류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분석하여 그들의 소비 동기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튜브 검색창에서 ‘빈티지 패션’ 키워드를 검색하여 상위 45개 유튜브 채널을 선정하였으며, 각 채널에서 빈티지 패션과 관련된 280개의 영상을 도출하였다. 이후 영상을 시청하며 빈티지 패션 콘텐츠를 내용에 따라 분류하고, 각 영상에 나타난 빈티지 의류 소비자들의 추구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튜브 의 빈티지 패션 콘텐츠 유형은 쇼핑, 정보, 하울, 스타일링 순으로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빈티지 의류 소비 자의 추구가치는 경제적 가치, 자기표현 및 개성추구 가치, 희소 가치, 환경적 가치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빈티지 패션의 소비 동기를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유튜브라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의의를 가진다. 특히, 빈티지 패션 유튜브 콘텐츠를 유형화하여 소비자들이 빈티지 의류를 소비하 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가치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최근 빈티지 의류는 과거의 낡고, 헌 옷이라는 인식과 달리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빈티지 패션을 즐기고 소비하�...

      최근 빈티지 의류는 과거의 낡고, 헌 옷이라는 인식과 달리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빈티지 패션을 즐기고 소비하며, 그 경험을 SNS에서 자연스럽게 공유하고 인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빈티지 패션이 일반 의류와 달리 오랜 선입견의 영향을 받아 왔다는 점에 주목하여, 빈티지 의류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양면적이고 복합적인 태도에 주목하였으며, 빈티지 의류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분석하여 그들의 소비 동기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튜브 검색창에서 ‘빈티지 패션’ 키워드를 검색하여 상위 45개 유튜브 채널을 선정하였으며, 각 채널에서 빈티지 패션과 관련된 280개의 영상을 도출하였다. 이후 영상을 시청하며 빈티지 패션 콘텐츠를 내용에 따라 분류하고, 각 영상에 나타난 빈티지 의류 소비자들의 추구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튜브 의 빈티지 패션 콘텐츠 유형은 쇼핑, 정보, 하울, 스타일링 순으로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빈티지 의류 소비 자의 추구가치는 경제적 가치, 자기표현 및 개성추구 가치, 희소 가치, 환경적 가치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빈티지 패션의 소비 동기를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유튜브라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의의를 가진다. 특히, 빈티지 패션 유튜브 콘텐츠를 유형화하여 소비자들이 빈티지 의류를 소비하 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가치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vintage clothing has shifted from being perceived as merely old, which was somewhat negative, to being highly sought after by the younger generation for its affordability and unique designs that allow for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Consumers are enjoying and purchasing vintage clothing through various online and offline channels, naturally sharing and showcasing their experiences on soci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at vintage fashion has been subject to prejudices for a long time compared to general apparel products and that consumers have ambivalent and complex attitudes towards vintage fashion.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values pursued by consumers of vintage clothing. To achieve this, the study identified the top 45 YouTube channels by searching the keyword 'vintage fashion' on YouTube, from which 280 videos related to vintage fashion were collected. After watching the videos, the YouTube content related to vintage fashion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content and the values pursued by consumers of vintage clothing shown in each video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YouTube content on vintage fashion is primari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hopping, information, hauls, and styling in that order. Furthermore, the values pursued by consumers of vintage clothing analyzed through YouTube's vintage fashion content could be categorized into economic value, self-expression and individuality value, rarity, environmental valu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novel perspective by focusing on YouTube — a platform not previously emphasized in existing studies on vintage fashion consumption. By categorizing vintage fashion content and analyzing the diverse consumer values showed in these videos, this study offers fresh insights into the consumption motivations and perceptions surrounding vintage clothing.
      번역하기

      Recently, vintage clothing has shifted from being perceived as merely old, which was somewhat negative, to being highly sought after by the younger generation for its affordability and unique designs that allow for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Con...

      Recently, vintage clothing has shifted from being perceived as merely old, which was somewhat negative, to being highly sought after by the younger generation for its affordability and unique designs that allow for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Consumers are enjoying and purchasing vintage clothing through various online and offline channels, naturally sharing and showcasing their experiences on soci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at vintage fashion has been subject to prejudices for a long time compared to general apparel products and that consumers have ambivalent and complex attitudes towards vintage fashion.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values pursued by consumers of vintage clothing. To achieve this, the study identified the top 45 YouTube channels by searching the keyword 'vintage fashion' on YouTube, from which 280 videos related to vintage fashion were collected. After watching the videos, the YouTube content related to vintage fashion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content and the values pursued by consumers of vintage clothing shown in each video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YouTube content on vintage fashion is primari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hopping, information, hauls, and styling in that order. Furthermore, the values pursued by consumers of vintage clothing analyzed through YouTube's vintage fashion content could be categorized into economic value, self-expression and individuality value, rarity, environmental valu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novel perspective by focusing on YouTube — a platform not previously emphasized in existing studies on vintage fashion consumption. By categorizing vintage fashion content and analyzing the diverse consumer values showed in these videos, this study offers fresh insights into the consumption motivations and perceptions surrounding vintage cloth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및 범위
      • 1. 연구 문제
      • 2. 자료 수집 및 분석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및 범위
      • 1. 연구 문제
      • 2. 자료 수집 및 분석
      • Ⅲ. 이론적 배경
      • 1. 빈티지 의류와 빈티지 스타일
      • 2. 빈티지 패션 유튜브 콘텐츠
      • 3. 추구가치
      • Ⅳ. 연구 결과
      • 1. 빈티지 패션 유튜브 콘텐츠 유형 분석
      • 2. 빈티지 의류 소비자 추구가치
      • V.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