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譯官 洪禹載의 일본인식 : 『東槎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47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洪禹載는 현종∼숙종대에 활약한 왜학역관이다. 그는 1682년 通信使行을 수행했던 堂上譯官으로 사행기간 동안의 일들을 기록한 『東槎錄』을 저술했다. 『東槎錄』은 漢學譯官 金...

      洪禹載는 현종∼숙종대에 활약한 왜학역관이다. 그는 1682년 通信使行을 수행했던 堂上譯官으로 사행기간 동안의 일들을 기록한 『東槎錄』을 저술했다. 『東槎錄』은 漢學譯官 金指南의 『東槎日錄』과 함께 譯官에 의해 저술된 최초의 日本使行記錄이었다. 『東槎錄』이 저술되기 전까지는 正使, 副使, 從事官과 같은 사대부들에 의한 通信使行錄만이 존재하고 있었다. 홍우재는 『동사록』에서 일본의 경제와 문화, 일본인에 대한 평가 등을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것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관점에서 기록하려 노력했다. 사대부들에 의해 저술된 사행록에는 당시 조선사회에 팽배해 있던 朝鮮 小中華主義를 바탕으로 일본의 문화를 비롯한 유교질서가 행해지지 않는 모든 것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유교적 자부심을 바탕으로 일본사회와 일본인들에 대해 優越意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東槎錄』은 기존의 사대부들에 의해 저술된 筆談·唱和와 같은 문학적 내용의 사행기록과 달리 儀禮나 의전절차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서술했다. 특히 당상역관으로서 외교적 실무를 담당한 洪禹載의 객관적인 일본인식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사행기간 동안 倭人과 조선원역들 사이의 충돌, 일본 高官들과 三使臣의 외교儀禮나 의전절차에 대한 충돌 등을 조율할 경우 조선이나 일본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옳고 그름을 가리려고 노력했다. 물론 이러한 일본에 대한 객관적 인식이 후대의 역관에 의한 사행록에 등장한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홍우재의 『동사록』에 그러한 기록이 최초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동사록』이 가지는 의미이자 의의이며 필자는 이것에 집중하여 홍우재의 객관적인 일본인식과 현실적 입장의 견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홍우재는 朝鮮後期 譯官을 배출한 이름난 가문 중의 하나인 南陽 洪氏 가문출신이다. 숙종시기 역관 합격자 수 중 10명이 홍우재 집안의 출신이었다. 이러한 역관가문의 배경은 외국 문물이나 제도를 넓은 안목으로 이해하는 시각을 갖게 했고 특히 왜학역관으로 명성을 떨치던 조부 洪喜男과 백부 洪汝雨의 일본 사행 경험은 홍우재로 하여금 일본에 대한 친숙함을 갖게 했다.
      또한 당시 17세기 후반은 중인계층이 독자적 세력을 형성하던 시기였다. 그들은 경제적인 부의 축적을 기반으로 사회적으로 양인과 구분되는 세력을 형성했고, 문화적으로도 그들만의 계층을 대변하고자 했다. 이러한 중인계층을 형성하는 신분 중 하나였던 역관은 나라와 나라 간의 외교적 업무를 담당하는 실질세력이었다. 그들은 외교적 교섭 외에도 그 나라의 사회적·정치적 정세를 파악해야하는 업무가 부여됐다. 그러므로 역관은 중요성은 커졌고, 신분적 지위가 상승함에 따라서 그들은 그들의 업무에 적합한 나름의 가치관과 기준을 형성하게 되었다. 직업 특성상 넓은 안목과 유연성 있는 타협자세가 그들에게 요구되었기에 홍우재의 객관적인 일본인식과 현실적 입장의 수용은 역관 가문이라는 가풍의 영향과 중인계층의 성장이라는 배경이 있었다. 홍우재는 당시 지배층이었던 삼사신에 비해 객관적이고 진보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g Woo-Jae was an official interpreter specializing in studies of Japan who was active from King Hyeonjong period and King Sukjong period. He was an interpreter who accompanied Tongshinsa Group in 1682 and wrote 『Dongsarok』, a record of happenin...

      Hong Woo-Jae was an official interpreter specializing in studies of Japan who was active from King Hyeonjong period and King Sukjong period. He was an interpreter who accompanied Tongshinsa Group in 1682 and wrote 『Dongsarok』, a record of happenings during his official duties. 『Dongsarok』was the first record of official tour to Japan written by an interpreter together with 『Dongsailrok』 written by Kim Ji-nam, an interpreter specializing in the study of the Chinese classics. Before 『Dongsarok』was written, there had been Tongshinsa records only written by high-ranking officials such as Jeongsa, Busa and Jongsagwan. Hong Woo-Jae tried to write objectively on the basis of what he had seen and heard in person regarding economy and culture of Japan, and evaluation for Japanese people. Tour journals written by high-ranking officials negatively evaluated everything that was not implemented according to Confucianism orders including Japanese culture based on Joseon small Sinocentrism which surged forth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kind of Confucianism pride, they had a sense of superiority to Japanese society and Japanese people.
      However, differently from tour journals with literary contents such as conversation by writing and private conversation written by high-ranking officials, 『Dongsarok』described ceremonies or procedures in detail. In particular,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of Hong Woo-Jae who was in charge of diplomatic affairs is remarkable. He tried to discuss the rights and wrongs neutrally and objectively with unprejudiced viewpoint between Joseon and Japan when he had to arbitrate conflicts among officials of both nations and conflicts regarding diplomatic process and protocol procedure between Japanese high-ranking officials and three ministers of the Joseon Dynasty. Of course, this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appeared in tour journals by interpreters of the next generations. However, what is important here is Hong Woo-Jae's 『Dongsarok』firstly introduced this viewpoint, which makes it meaningful. Therefore, the current study takes notice of his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and realistic position as stated above.
      Hong Woo-Jae was from Namyang Hong family that was one of famous families producing interpreter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Among successful candidates of interpreter in King Sukjong period, 10 came from his family. His family background made him understand foreign things and systems with broader view. In particular, work experiences of his grandfather Hong Hee-nam and Uncle Hong Yeo-wu who famous interpreters specializing in studies of Japan were made him familiar with Japan.
      In additio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ose in the middle class were forming independent power. They not only formed power distinct from yangban (the nobility) socially based on their economic power, but also spoke for their own class culturally. Interpreters, one of the social standings of the middle class, were a substantial power group in charge of diplomatic affairs. Their work was analyzing the state of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of the country in addition to diplomatic negoti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nterpreters increased and they formed own sense of values and standard suitable for their duties as their social status went up. A broad appreciative eye and an attitude of flexible compromise were required for their job, Hong Woo-Jae's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and acceptance of realistic position were due to his family's atmosphere and prosperity of the middle class. Hong Woo-Jae had more progressive viewpoint thank three ministers, the governing classes at that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ⅲ
      • 머리말 = 1
      • Ⅰ. 洪禹載의 家門과 시대적 배경 = 5
      • 1. 洪禹載의 譯官家門 = 5
      • 2. 中人계층의 성장 = 8
      • 국문초록 = ⅲ
      • 머리말 = 1
      • Ⅰ. 洪禹載의 家門과 시대적 배경 = 5
      • 1. 洪禹載의 譯官家門 = 5
      • 2. 中人계층의 성장 = 8
      • Ⅱ. 1682년 사행과 역관활동 = 11
      • 1. 사행의 배경과 파견목적 = 11
      • 2. 홍우재의 역관활동 = 14
      • Ⅲ.『東槎錄』에 나타난 洪禹載의 일본인식 = 21
      • 1. 洪禹載의 일본인식 = 21
      • 1) 일본의 경제적 번영 = 21
      • 2) 일본의 자연환경 및 문화 = 24
      • 3) 일본인에 대한 평가 = 26
      • 2. 일본인식의 객관적 입장 = 33
      • 맺음말 = 45
      • 참고문헌 = 48
      • Abstract =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