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크리스천 가족의 치매노인 돌봄의 상실경험을 성경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치매노인을 돌보는 크리스천 가족이 주님의 가르침에 보다 더 합당한 태도로 치매노인을 돌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74331
서울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박사)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학과 성경적상담학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서울
Exploring the Experience of Christian Family with Dementia: A Qualitative Case Study in Biblical Perspective
v, 208 p. ; 26 cm
국문 초록 수록
지도교수: 김준
참고문헌 : p. 193-203
I804:11054-2000000084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크리스천 가족의 치매노인 돌봄의 상실경험을 성경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치매노인을 돌보는 크리스천 가족이 주님의 가르침에 보다 더 합당한 태도로 치매노인을 돌볼 ...
이 연구의 목적은 크리스천 가족의 치매노인 돌봄의 상실경험을 성경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치매노인을 돌보는 크리스천 가족이 주님의 가르침에 보다 더 합당한 태도로 치매노인을 돌볼 수 있도록 돕는 기독교적 돌봄과 상담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치매노인의 돌봄가족은 치매가 진행되는 동안 어떤 어려움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둘째, 치매로 인한 돌봄가족의 상실경험이 가족마다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대상의 범위는 첫째, 크리스천 가족으로 치매노인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돌본 경험이 있거나 현재 돌보고 있다. 둘째, 연구가족의 치매노인에게 생존하는 자식이 3명 이상이어야 한다. 셋째, 연구대상가족의 치매노인은 알츠하이머치매, 혈관성치매 및 파킨슨병치매의 확진을 받았으며 유병 기간이 3년 이상이어야 한다. 넷째, 연구참여자는 치매노인 돌봄 과정 중, 가족 내에서 경험했던 또는 경험하고 있는 각가지 상황과 갈등, 그리고 각 위치에 따른 가족구성원들의 반응을 상세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총 10명의 연구참여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치매노인 돌봄에서 경험한 상실에 관한 자료수집 후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주제 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슬프고도 아픈 현실: 막다른 길’, ‘끝없는 돌봄의 부담: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벼랑 끝에서 바라는 막연한 소망’, ‘홀로 견디는 외로움’ 그리고 ‘비로소 누리는 평안’ 등 5개의 상위범주로 치매노인 돌봄가족의 상실과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치매노인 자식들의 치매노인 돌봄에 대한 사랑과 존경으로 인한 동기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가와 돌봄 과정에서 가족 간 갈등이 심하고 약한 정도에 따라 네 가지 돌봄가족 유형으로 분류하고 해석하였다. 치매노인 돌봄가족 유형은 ‘철저의무형’, ‘독재적 리더형’, ‘포기전담형’, ‘가족협동형’의 네 가지이다. 각 유형별로 기독교적 돌봄과 상담을 위해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기독교적 돌봄과 상담에서 치매노인과 다양한 돌봄가족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접근이 가능할지에 대한 지혜를 얻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study the loss experience by family members who have or had taken care of the dementia pati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a new method, which would provide the patient and his families with Chri...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study the loss experience by family members who have or had taken care of the dementia pati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a new method, which would provide the patient and his families with Christian care and Biblical counseling, can be proposed.
There are some conditions for the families involved in the study.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participants are Christians and they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ing or supported someone suffering dementia. Second condition is that person with dementia has three or more children. Third, participants must be able to describe what went on within the family while supporting person with dementia. Fourth, the person had the condition for at least three years and the condition has been diagnosed as Alzheimer, Parkinson’s, or vascular dementia.
Questions that study answers are following: What difficulties did families that is supporting someone with dementia encountered and how they dealt with. Why supporting process varies with different families.
Total of 10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record their experience on loosing a person with dementia they were supporting.
Analysis on the experiences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losing can fall in five categories. ‘Sad and painful reality: Dead end’, ‘pressure of endless caring: repetition of the same routine’, ‘vague hope at the edge of cliff’, ‘lonesome enduring’, ‘peace at the end(welcomed peace)’.
Supports families provided for someone with dementia can be defined into four categories by the range of love and respect for the person and family trouble during the process of caring. Four categories are ‘out of duty’, ‘dictatorial leader’, ‘remised dedication’, and ‘family cooperation’. Different biblical counseling and Christian caring has been proposed for each categories. This study contrives to suggest the knowledge of caring and counseling the dementia patients and caring families in Biblical perspectives.
목차 (Table of Contents)
1 최성규, "효학개론",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서울: 도서출판 성산서원, 2004
2 문병호, "『기독론』",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6
3 이시형, "『뇌미인』", 서울: 워즈덤 스타일, 2012
4 한국노년학회, "노년학의 이해",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2
5 손운산, "『용서와 치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학술총서, 2008
6 강진구, 장경철, "『죽음과 종교』", 서울: 두란노, 2014
7 한덕웅,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2004
8 임춘식, "고령화 사회의 도전", 나남, 서울: 나남출판, 2001
9 장휘숙, "전 생애 발달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9
10 서혜경, "『노인죽음학개론』", 서울: 경춘사, 2010
1 최성규, "효학개론",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서울: 도서출판 성산서원, 2004
2 문병호, "『기독론』",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6
3 이시형, "『뇌미인』", 서울: 워즈덤 스타일, 2012
4 한국노년학회, "노년학의 이해",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2
5 손운산, "『용서와 치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학술총서, 2008
6 강진구, 장경철, "『죽음과 종교』", 서울: 두란노, 2014
7 한덕웅,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2004
8 임춘식, "고령화 사회의 도전", 나남, 서울: 나남출판, 2001
9 장휘숙, "전 생애 발달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9
10 서혜경, "『노인죽음학개론』", 서울: 경춘사, 2010
11 정진홍, "만남, 죽음과의 만남", 서울: 궁리, 2008
12 우국희, "『노인의 자기방임』", 서울: 공동체, 2014
13 이명숙,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 한서대학교 대학원 노인복지학과,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지」제13권 6호: 283-299, 2012
14 황규명, "성경적 상담의 원리와 방법", 바이블리더스, 서울: 바이블리더스, 2008
15 강주희, 한선녀, 하요상, 종성진, 오영희, 박종효, 김광수, "『용서를 통한 치유와 성장』",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6
16 최옥채, "사회복지사를 위한 질적 연구", 신정, 서울: 신정, 2008
17 전진숙, "“말기치매 환자의 완화의료”",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생물치료정신의 학」제17권 2호, 2011
18 박재원, "초기 치매노인의 질병 수용 경험",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 과학 전공, 2017
19 주경복, "“치매노인 가족의 소진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과, 2009
20 하진, "“초기 치매노인의 질병 인식 과정”",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07
21 오병훈, "“치매의 행동,정신증상진단 및 관리”", 대한의사협회. 「대한의사학회지」제 52권 11호: 1048-1054, 2009
22 김민철, "『성경의 눈으로 본 첨단의학과 의료』", 아바서원, 서울: 아바서언, 2014
23 이문연, "“교회노인대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복지실천학회. 「한국복지실천학 회지」제6권 1호: 89-111, 2014
24 김태현, "“고령화 사회에서의 가족과 지역사회”", 『제25차 재단 창립기념 심포 지움: 고령화 사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 삼화출 판사, 2003, 2002
25 최이화, "“노화불안에 대한 성경적상담의 적용”", 한국기독교상담학회,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복음과 상 담」제23권 2호: 363-389, 2015
26 정금안,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상담방법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신학 대학원 목회상담전공, 2001
27 김준, "“스데반 돌봄과 기독교 상담의 연관성”",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성경과 신학」 제75권: 237-258, 2015
28 간호옥, "“기독교 효 사상을 통한 노인문제 해결”", 루터신학대학교. 「신학과 신앙」 제12권: 289-324, 2001
29 임춘식,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과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제 20권 1호: 37-54, 2000
30 Tozer, A.W., "The Attributes of GOD. 이용복 역. 『갓. 하나님』", 서울: 규장, 2007
31 류한근, "“관계 메타포에 의한 정체성과 반응윤리”", 기독교학문연구회. 「신앙과 학 문」제17권 3호: 85-113, 2012
32 전형준, "“노년기의 분노에 대한 성경적상담 방안”",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복음과 상담」제18권 1호: 9-40, 2012
33 김미혜, 이윤경, "“노인 학대 유형화 및 유형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회. 「한국노 년학」제28권 4호: 1165-1178, 2008
34 김병윤의, "의학쉼터: 난치병-알츠하이머 병 kby53133.tistory.com", 검색, 2017
35 임송자, 송선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2권 5호: 243-255, 2012
36 박미은, 이민홍, "“한국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제41권 1호: 123-142, 2014
37 정정숙, "“정정숙 교수의 지상상담: 치매환자가족을 돌봄”", 한국상담선교연구원 ( 구 한국상담선교학회 ), 한국상담선교연구원. 「상 담과 선교」제34권: 96-99, 2001
38 이성원, "“현대적 효 개념에서의 돌봄의 의미와 특성 연구”", 한국효학회, 한국효학회. 「효학연 구」제14권: 19-46, 2011
39 이영자, 이원희, "“호스피스 자원 봉사자의 죽음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호스피스완 화의료학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제2권 2호: 101-108, 1999
40 김준 ( Jun Kim ), "부부 갈등과 용서: 자기심리학과 기독교 상담적 관점",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한국복음주의상담학 회. 「복음과 상담」제25권: 9-34, 2017
41 Packer, J. I., "Finishing Our Course with Joy. 윤종석 역. 『아름다운 노년』", 서울: 디모데, 2016
42 최은숙, 김경숙, "재가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한국자료분 석학회. 「Journal of the Data Analysis Society」제12권 2호: 717-731, 2010
43 성미라, 장혜영, 이명선, 이동영,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극복 경험에 관한 질적 연 구”",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극복 경험에 관한 질적 연 구”. abstract, null
44 안미숙, Lee, Keum Jae, An, Mi Sook, 이금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한국호스피 스완화의료학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제17권 3호: 122-133, 2014
45 권중돈,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관계 변화와 가족 치료적 접근”", 한국가족치료학회, 한국가족협회. 「한 국가족학회지」제2권: 1-16, 1994
46 김춘미, 최승범, "재가 치매노인 가족의 대처과정과 복지서비스 개 선방향",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지역혁신연구소), 영남대학 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 「한국지역혁신논집」제1권 1호: 97-128, 2006
47 Kim, Chun-Gill, 김춘길,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한국호스피스완 화의료학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제17권 3호: 151-160, 2014
48 이선화, "“치매환자의 돌봄 부담 수준과 돌봄 유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충남 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전공, 2017
49 곽혜원,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기독교생사학의 의미와 과제』", Holy WavePlus, 서울: 새 물결 플러스, 2014
50 전요섭, 한경옥, "노인의 영적 안녕감 형성이 죽음 불안 감소에 미치 는 영향",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한국복 음주의상담학회. 「복음과 상담」제19권: 296-323, 2012
51 배진희, 정미순, "“노인이 인식한 가해자 특성이 노인 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 학회. 「한국노년학」제28권 3호: 443-457, 2008
52 임병진, "“요셉을 통하여 본 성경의 부자와 부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한국로고스경 연학회. 「로고스 경영연구」제8권 1호: 75-90, 2010
53 김기웅, 안호영, 김한나, 김유정, "황지은,김빈나,남효정,나리영,변은진. 『대한민국 치 매현황 』", 서울: ㈜한디자인코퍼레이션, 2016, 2016
54 장혜영,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돌봄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전공, 2014
55 조윤희, 김광숙, "재가 치매노인의 증상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 및 전문적 도움 요구", 韓國老年學會,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제30권 2호: 369-383, 2010
56 장은실, "재가치매노인과 가족조호자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상호작 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간호학전공, 2013
57 김소선, 조은희, 조은영, "“가족 상호관계가 치매노인 가족구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제30권 2호: 421-437, 2010
58 김승돈, 김용환,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제45권: 7-32, 2009
59 최광현,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목회상담의 실천적 가능성을 위한 연구”",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한국복음 주의상담학회. 「복음과 상담」제19권: 245-269, 2012
60 김근면, "박은영,이영신.,이종남.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 정신간호학회", 「정신간 호학회지」제21권 3호: 197-209, 2012
61 전요섭, "“기독대학생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 학문연구회. 「신앙과 학문」제17권 3호: 271-292, 2012
62 김정희, "“감리교회의 고령화에 대한 인식도와 성경적 효에 대한 교육적 고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한국 기독교교육학회. 「기독교교육논총」제29권: 321-346, 2012
63 김동화, 엄기욱, "치매특별등급제도의 시행 이후, 치매노인 가족의 케어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제70권: 349-371, 2015
64 구미정, 정순돌, 김수현, "“죽음 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예비노인과 베이버부머 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제37권 1호: 131-153, 2014
65 성미라, 장혜영, 이명선, 이동영, "“재가 치매노인환자를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극복 경 험”. 대한간호학회", 「대한간호학회지」제43권 3호: 389-398, 2013
66 권향숙, "서인선,김현경. “입원 암환자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 한국콘텐츠학회",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3권 9호: 334-343, 2013
67 기백석, 윤정현, 남범우, 김상국, "“알츠하이머형 치매의심 노인에서 행동 정신 병리와 치 매 정도와의 관계”", 노인정신의학회. 「노인정신의학」제2권 1호: 73-77, 1998
68 김혜숙, "“영적 안녕감과 죽음 준비도 그리고 내세관이 죽음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6권 7호: 492-503, 2016
69 이은희, "“치매노인 부양가족구성원의 부담감소를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모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가을호: 191-210, 2002
70 서세레나, "“치매노인 돌봄 전문가를 위한 기독교 영성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 구”",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교회사회사업학회. 「교회사회사업」제23권: 75-108, 2013
71 우국희, "「자기방임을 이해하는 대안적 관점에 대한 고찰 : 노인학대에서 불결의 문제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비판사회정책」제42권: 177-211, 2014
72 Lloyd, D., "Martyn-Jones. The plight of Man and the Power of God. 강서문 역. 『인간의 곤경과 하나님의 능력』", 서울: 정음출판사, 1983
73 최희경, "“배우자를 돌보는 남성노인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돌봄의 구조와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제24권 4호: 45-81, 2010
74 이현주, "“치매를 앓는 부인을 돌보는 남편의 수발경험과 적응과정-노인부부가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인학」제26권 1호: 45-62, 2005
75 이재정, 이민홍, 강은나,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효과성 분석: 우울, 자기방임, 그리고 사회 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제33권 4호: 787-803, 2013
76 우국희, "“자기방임노인의 자기결정권과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국정신능력법의 의사결정능력 평가기준”",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비 판사회정책」제38권: 45-81, 2013
77 이준상, "박애선. “치매노인 가족보호제공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노인복지센터와 노인요양시설 이용노인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노인 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제40권: 225-24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