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알칼리 수전해를 위한 blue TiO2 나노튜브 전극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활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11392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Thesis(Master) -- 인하대학교 대학원 , 화학.화학공학융합학과 화학공학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영어

      • 발행국(도시)

        대한민국

      • 형태사항

        ix, 33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탁용석

      • 소장기관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알칼리 수전해는 고순도의 수소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중의 하나이다. 현재 알칼리 수전해 시스템의 산화전극으로는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전극이 널리 사용되...

      알칼리 수전해는 고순도의 수소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중의 하나이다. 현재 알칼리 수전해 시스템의 산화전극으로는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전극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DSA전극은 복잡한 제조공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RuO2와 IrO2 등의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DSA전극을 대체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변색을 이용하여 제조한 파란색 혹은 검정색을 띠는 티타늄 산화물이 전극물질로써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티타늄 산화물은 귀금속 촉매 없이 그 자체로도 전기촉매적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티타늄은 양극산화법을 이용하여 나노튜브 구조를 만듦으로써 전극 활성면적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수전해 시스템의 산화전극으로써 blue TiO2 nanotube array(NTA)의 전기촉매적 활성과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Blue TiO2 NTA는 짙은 파란색을 띠는 티타늄 산화물로, anatase TiO2 NTA의 비가역적인 전기변색 반응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나노튜브의 길이와 튜브 기공의 크기변화에 따른 oxygen evolution reaction(OER) 활성을 측정하였다. DSA전극과
      ii
      비교해서는 OER반응에 대한 과전압이 높게 나타났지만 나노튜브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튜브 기공의 직경이 커질수록 OER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기분해가 진행될수록 OER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때 전극의 파란색이 점점 옅어지는 전극으로써의 내구성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성능 회복 실험을 진행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2. Theoretical background ………………………………… 3
      • 2.1. Alkaline water electrolysis ………………………… 3
      • 2.2. TiO2 nanotube array (NTA) ……………………… 4
      • 2.3. Electrochromism of TiO2 ………………………… 6
      • 1. Introduction…………………………………………… 1
      • 2. Theoretical background ………………………………… 3
      • 2.1. Alkaline water electrolysis ………………………… 3
      • 2.2. TiO2 nanotube array (NTA) ……………………… 4
      • 2.3. Electrochromism of TiO2 ………………………… 6
      • 3. Experimental ……………………………………………7
      • 3.1. Fabrication of blue TiO2 nanotube array (NTA)………7
      • 3.2. Characterization ……………………………… 8
      • 3.3. Measurement of electrochemical activity ……… 9
      • 4. Results and discussions …………… 10
      • 4.1. Blue TiO2 NTA ………………………………… 10
      • 4.2. The effect of anodization time and applied voltage … 17
      • 4.3. Regeneration of blue TiO2 ...................... 26
      • 5. Conclusions …………………………………… 29
      • 6. References …………………………………… 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