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요약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 산업은 신공법 도입과 건물의 초고층화 그리고 공사기간 단축 등으로 건설 산업 재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건설 산업재해의 근본적인 원인은 여러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26678
인천 :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 안전환경시스템공학전공 , 2016. 2
2015
한국어
인천
75 ; 26 cm
지도교수: 오태근
I804:23006-0000022141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요약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 산업은 신공법 도입과 건물의 초고층화 그리고 공사기간 단축 등으로 건설 산업 재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건설 산업재해의 근본적인 원인은 여러 가...
국문 요약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 산업은 신공법 도입과 건물의 초고층화 그리고 공사기간 단축 등으로 건설 산업 재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건설 산업재해의 근본적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근로자의 관리가 부족함으로써 안전지식과 안전의식이 결여되어 재해로 연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건설 기술력의 우수성과 건설경험은 세계 건설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사실과 달리, 내수시장의 경기침체와 더불어, 재해율 또한 우리나라 산업현장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구조물의 대형화, 초고층화 등 건설에 필요한 기술력은 증대하고 있으나, 그 현장 속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비중이 전문성이 떨어지는 비정규직, 일용직 근로자가 늘어가는 현실 속에, 그들을 관리감독하고 안전을 책임지는 관리자 까지 비정규직, 기간 제 근로자가 늘어가고 있다.
세계 경제 체제가 개편되면서 근로형태가 바뀌어져 비정규직 근로자가 급속히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산업체에서 고임금의 정규직 근로자보다 저임금이고 고용의 부담이 적은 비정규직 근로자 채용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관리자의 비정규직에 관한 문제점 해결과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비정규직의 근로시간에 대한 적합성, 업무부담의 적당성 분석결과 모두 적합하지 않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유무 분석에서도 도출되었듯이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유무에서는 있다가 84.7%, 없다가 9%, 모르겠다가 6.3%로 나타났다. 이렇듯 안전 관리자는 근무조건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고, 직무만족도 또한 낮아 이를 해결야만 건설현장에서 재해나 사고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다른 문제보다도 가장 시급한 것은 안정적인 고용형태이다. 안전 관리자들이 고용에 대한 불안감 없이 현장 업무에 임할 수 있게 하루라도 빨리 정규직 전환이 시급한 문제이며, 사고예방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