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 도제집단과 수제자의 역할 = Apprentice Group of Pansori and the Role of the Best Disci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판소리인들을 중심으로 오늘날 판소리 전승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판소리 전승은 스승의 가르침과 이를 전승하는 제자집단, 즉 도제집단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승과 도제집단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다수의 국악인과 판소리인에 대한 심층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도제집단에 대한 스승의 다양한 평가와 구분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에 따른 도제집단의 계층적 분화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연구자는 도제집단의 계층화된 서열관계의 가장 상위에 위치하면서 스승과 도제집단을 매개하는 수제자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수제자는 스승의 고유한 예술적 코드를 전승하는 핵심 제자로서 학습과 사회활동에 있어 스승을 가장 측근에서 수발하고, 경우에 따라 스승의 권한을 대행하기도 한다. 또한 도제집단의 리더로서 스승의 부재 시 도제집단을 대표하는 대표자가 되며, 스승의 예술을 전승하고 스승이 만들어 놓은 판소리 관련 단체를 유지 발전시키거나 새롭게 단체를 만들어 스승의 예술적 업적을 기리고 해당 도제집단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제자를 중심으로 한 도제집단의 이러한 활동들은 스승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사제 간 상호작용이 때로는 직접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작고 시에 유지를 받드는 형태처럼 간접적이기도 하지만, 두 경우 모두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오늘날 판소리가 전승되는 핵심적인 맥락을 구성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판소리인들을 중심으로 오늘날 판소리 전승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판소리 전승은 스승의 가르침과 이를 전승하는 제자집단, 즉 도...

      본 논문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판소리인들을 중심으로 오늘날 판소리 전승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판소리 전승은 스승의 가르침과 이를 전승하는 제자집단, 즉 도제집단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승과 도제집단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다수의 국악인과 판소리인에 대한 심층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도제집단에 대한 스승의 다양한 평가와 구분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에 따른 도제집단의 계층적 분화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연구자는 도제집단의 계층화된 서열관계의 가장 상위에 위치하면서 스승과 도제집단을 매개하는 수제자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수제자는 스승의 고유한 예술적 코드를 전승하는 핵심 제자로서 학습과 사회활동에 있어 스승을 가장 측근에서 수발하고, 경우에 따라 스승의 권한을 대행하기도 한다. 또한 도제집단의 리더로서 스승의 부재 시 도제집단을 대표하는 대표자가 되며, 스승의 예술을 전승하고 스승이 만들어 놓은 판소리 관련 단체를 유지 발전시키거나 새롭게 단체를 만들어 스승의 예술적 업적을 기리고 해당 도제집단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제자를 중심으로 한 도제집단의 이러한 활동들은 스승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사제 간 상호작용이 때로는 직접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작고 시에 유지를 받드는 형태처럼 간접적이기도 하지만, 두 경우 모두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오늘날 판소리가 전승되는 핵심적인 맥락을 구성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cusing on Pansori singers, this paper discusses the way in which Pansori is transmitted.
      As Pansori is transmitted through teachers' instruction to pupils' group, the paper emphasizes on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his(or her) apprentice group.
      In order to analyse the interactions, I conducted in-depth research by having an interview with many Korean classical musicians including Pansori performers. Based on the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ere exists various student evaluations and the students are differentiated by the evaluations.
      In addition, it argues the best disciple, who is placed on the top stratum, plays an important role to mediate the teacher and the apprentice group.
      As an influential figure to transmit the teacher's original art propensity, the best disciple attends the teacher very closely and acts for him in some cases.
      The best disciple also plays a role to lead the members of the apprentice group, acting as a proxy for the teacher during his absence. The best student has more duties: to transmit the teacher's art propensity, to honor his artistic accomplishment, and to vitalize the apprentice group.
      An apprentice group's activities like these are fulfill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disciples and their teacher. This interaction has two kinds. One is direct interaction, and another is direct one. If the teacher has passed away, the interaction is kept indirectly by carrying out the wishes of the deceased. Both of them still persists, and this is a critical context within which Pansori is transmitted today.
      번역하기

      Focusing on Pansori singers, this paper discusses the way in which Pansori is transmitted. As Pansori is transmitted through teachers' instruction to pupils' group, the paper emphasizes on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his(or her) apprentice grou...

      Focusing on Pansori singers, this paper discusses the way in which Pansori is transmitted.
      As Pansori is transmitted through teachers' instruction to pupils' group, the paper emphasizes on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his(or her) apprentice group.
      In order to analyse the interactions, I conducted in-depth research by having an interview with many Korean classical musicians including Pansori performers. Based on the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ere exists various student evaluations and the students are differentiated by the evaluations.
      In addition, it argues the best disciple, who is placed on the top stratum, plays an important role to mediate the teacher and the apprentice group.
      As an influential figure to transmit the teacher's original art propensity, the best disciple attends the teacher very closely and acts for him in some cases.
      The best disciple also plays a role to lead the members of the apprentice group, acting as a proxy for the teacher during his absence. The best student has more duties: to transmit the teacher's art propensity, to honor his artistic accomplishment, and to vitalize the apprentice group.
      An apprentice group's activities like these are fulfill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disciples and their teacher. This interaction has two kinds. One is direct interaction, and another is direct one. If the teacher has passed away, the interaction is kept indirectly by carrying out the wishes of the deceased. Both of them still persists, and this is a critical context within which Pansori is transmitted tod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익두, "한국 전통 공연예술 상에서 본 판소리의 공연예술적 특성" 한국극예술학회 (16) : 15-50, 2002

      2 우지용, "판소리 너름새와 구기, 우희의 관련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 전신재, "판소리 공연 양식과 정서"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427-446, 2005

      4 유영대, "창극의 전통과 새로운 무대 -국립창극단의 창극 <청>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27) : 245-274, 2009

      5 정노식, "조선창극사"

      6 백대웅, "전통음악의 이면과 공감" 지식산업사 2004

      7 홍정수, "음악이론" 세광음악출판사 1991

      8 김동건, "어린이 창극 토끼와 자라의 용궁여행 연구" 판소리학회 (29) : 35-60, 2010

      9 왕기석, "어린이 창극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현주, "안무의 변"

      1 김익두, "한국 전통 공연예술 상에서 본 판소리의 공연예술적 특성" 한국극예술학회 (16) : 15-50, 2002

      2 우지용, "판소리 너름새와 구기, 우희의 관련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 전신재, "판소리 공연 양식과 정서"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427-446, 2005

      4 유영대, "창극의 전통과 새로운 무대 -국립창극단의 창극 <청>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27) : 245-274, 2009

      5 정노식, "조선창극사"

      6 백대웅, "전통음악의 이면과 공감" 지식산업사 2004

      7 홍정수, "음악이론" 세광음악출판사 1991

      8 김동건, "어린이 창극 토끼와 자라의 용궁여행 연구" 판소리학회 (29) : 35-60, 2010

      9 왕기석, "어린이 창극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현주, "안무의 변"

      11 정미례, "뮤지컬에서의 안무가 역할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5

      12 김학민, "뮤지컬 양식론"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6

      13 김익두, "그 지고의 신체전략" 평민사 2003

      14 신재효, "광대가, In 신재효 사설집" 민중서림 1972

      15 김정태, "‘판소리학’ 정립을 위한 몇 가지 기본 용어고찰 -유사용어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25) : 177-206, 2008

      16 김유미, "<수궁가>의 아동극화에 관한 일고찰 -극단 민중의 <토끼와 자라>, 국립 창극단의 <토끼와 자라의 용궁 여행>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55) : 169-19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