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고소설 가운데 유독 <구운몽>이 병풍화로 자주 그려진 요인을 기존 병풍화의 주제와 <구운몽>의 특징을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우선 <구운몽>은 내용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91738
2021
-
구운몽도 ; 구운몽 ; 표현 ; 그림 ; 미인 ; 병풍 ; 결말 ; th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 Nine Cloud Dream ; expression ; painting ; beauty ; folding screens ; ending
KCI등재
학술저널
183-216(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고소설 가운데 유독 <구운몽>이 병풍화로 자주 그려진 요인을 기존 병풍화의 주제와 <구운몽>의 특징을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우선 <구운몽>은 내용적...
본 논문에서는 고소설 가운데 유독 <구운몽>이 병풍화로 자주 그려진 요인을 기존 병풍화의 주제와 <구운몽>의 특징을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우선 <구운몽>은 내용적 측면에서 기존 병풍화의 주제들을 포괄하기에 적합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고사인물도인 <곽분양행락도>의 대저택이나 <요지연도>의 초월적 세계 등을 아울러 담아내기에 유리한 서사 구성을 취하고 있었으며 매 첩마다 미인을 등장시켜 미인도 향유의 전통도 잇고 있었다. 한편 <구운몽>의 특징을 그와 비슷한 시기에 널리 읽혔으며 내용상으로도 기존 병풍화의 주제와 상통되는 <숙향전>, <소현성록>과도 비교하여 살핀 결과, <구운몽>의 미인에 대한 묘사는 <숙향전>의 묘사보다 구체적이었으며 <소현성록>의 묘사보다 개인별로 차별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그림으로 그려질 만큼 선명한 미인의 象을 제시하기에 <구운몽>이 갖는 利點이 컸던 것이다. 또한 공간 묘사의 측면에서도 <구운몽>은 등장인물의 시선을 따라가며 원경-중경-근경을 골고루 매끄럽게 이어 묘사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이는 화폭에서 배경을 구상하고 전체적인 구도를 설정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고소설 가운데 유독 <구운몽>이 병풍화로 그려졌던 이유를 어느 정도 해명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구운몽도> 병풍을 경유하여 <구운몽>을 읽어보면, <구운몽>의 향유가 미인이라는 캐릭터 중심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구운몽도> 향유자들은 <구운몽>으로부터 삶에 대한 통찰을 음미하기보다는 그에 표현된 초월적인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감상하고자 했다. 동시대 그 어느 소설에서보다도 생동감이 넘치는 미인들, 그리고 그에 부대하는 개성적인 사건들과 이색적인 세계를 화폭에 담아 즐기려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구운몽도>는 그림으로 된 <구운몽>의 異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이를 가능하게 한 요인이 <구운몽>이 이룩한 표현 측면의 발전이었으니, <구운몽>에서는 인물과 공간에 대한 묘사가 실로 한 편의 그림처럼 구체화되고 차별화되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구운몽도>를 통해 읽어낼 수 있는 <구운몽>의 특장점이라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were frequently created as folding screens among the classic novels through the theme of existing folding scree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ne Cloud Dre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ine Clou...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were frequently created as folding screens among the classic novels through the theme of existing folding scree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ne Cloud Dre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ine Cloud Dream was suitable for encompassing the topics of existing folding screens in terms of content. In particular, it had an advantageous narrative composition to capture both the great mansion of the narrative painting, the Gwak Bunyang Haengnakdo (the painting of Guo Fenyang’s Enjoyment-of-Life) and the transcendental world of Yojiyeondo(the Painting of Xiwangmu’s Banquet at the Jade Pond), and also had a tradition of beauty paintings by featuring beauties in each screen.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khyangjeon and the Sohyeonseongrok which widely read at the same time as the Nine Cloud Dream, it was foun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beauty of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was more specific than that of The Sohyeonseongrok and differentiated by individual. In other words, the advantage of The Nine Cloud Dream was great because it presented the image of a beautiful woman that was clear enough to be painted. In addition, in terms of spatial description,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was characterized by following the character's gaze and describing the longitude, the middle, and the near landscape evenly and smoothly. This works advantageously in devising the background from the canvas and setting the overall composit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possible to explain to some extent the reason why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was painted as a folding screen among classic novels. Reading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via the folding screens of The Nine Cloud Dream makes to find the possibility that the enjoyment of The Nine Cloud Dream was centered on the character of a beautiful woman. Instead of savoring the insight into life that appeared at the end of the novel, the enjoyers of th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tried to praise transcendent beauty; they tried to enjoy the lively beauty and the unique events associated with it in the canvas since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depicted them better than any other contemporary novels. In this regar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is a different edition of The Nine Cloud Dream in pictures. In addition, since the factor that made this possible was the development of the expression aspect achieved by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escription of characters and spaces is actually embodied and differentiated like a single picture. This is the feature of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that can be read through th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선표, "화용월태의 표상: 한국 미인화의 신체 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6 : 33-62, 2004
2 서정민, "조선후기 한글 대하소설에 나타난 미인도" 동양고전연구소 (27) : 97-122, 2013
3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2017
4 임미현,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 - OCI 미술관 소장 8폭 병풍 《八道美人圖》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33) : 381-418, 2019
5 정병설, "일반논문: 구운몽도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0) : 379-407, 2006
6 "요지연도"
7 김진영, "숙향전" 민속원 2001
8 "숙향전"
9 "소현성록"
10 조혜란, "소현성록" 소명출판 2010
1 홍선표, "화용월태의 표상: 한국 미인화의 신체 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6 : 33-62, 2004
2 서정민, "조선후기 한글 대하소설에 나타난 미인도" 동양고전연구소 (27) : 97-122, 2013
3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2017
4 임미현,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 - OCI 미술관 소장 8폭 병풍 《八道美人圖》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33) : 381-418, 2019
5 정병설, "일반논문: 구운몽도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0) : 379-407, 2006
6 "요지연도"
7 김진영, "숙향전" 민속원 2001
8 "숙향전"
9 "소현성록"
10 조혜란, "소현성록" 소명출판 2010
11 정병모, "세계를 담은 조선의 정물화 책거리" 다할미디어 2020
12 정병모,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돌베개 2012
13 김종철, "그림으로 읽는 <구운몽>" 문학과교육연구회 18 : 169-182, 2001
14 간호윤, "그림과 소설이 만났을 때" 새문사 2014
15 "구운몽도"
16 정병설, "구운몽도" 문학동네 2010
17 "구운몽도"
18 "구운몽도"
19 정규복, "구운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6
20 "구운몽"
21 "곽분양행락도, 서원아집도"
22 강상순, "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17세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5) : 179-206, 2017
23 申仁淑, "韓國傳統刺繡屛 九雲夢圖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24 오주석, "金弘道의 龍珠寺 <三世如來軆幀>과 <七星如來四方七星幀>" 국립중앙박물관 55 : 1995
25 고연희, "美人圖의 감상코드" 대동문화연구원 12 (12): 303-338, 2007
26 유재빈, "正祖代 宮中繪畫 연구" 서울대학교 2016
27 이주란, "朝鮮後期 <九雲夢圖> 硏究 : 建築表現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28 이상구, "『구운몽』의 형상화 방식과 소설미학" 경남문화연구원 (24) : 363-397, 2007
29 유준상, "『醫門寶鑑』의 편찬과 주명신의 행적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6 (26): 61-69, 2013
30 이 정 희, "<구운몽도>를 통해서 본19세기 후반의 채색화의 세 가지 계통" 백산학회 (102) : 107-146, 2015
31 황윤정, "<구운몽도(九雲夢圖)>와 융합 교육의 지향"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9) : 373-408, 2015
32 강혜진, "<구운몽(九雲夢)>에 나타난 미적(美的) 표현의 특징과 기능" 민족문화연구원 (88) : 173-203, 2020
33 고연희, "19세기 남성문인의 미인도 감상 — 재덕을 겸비한 미인상 추구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6) : 41-68, 2013
원효(元曉)의 게송(偈頌)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와 <원왕생가(願往生歌)> 전승담의 참회와 관법(觀法) -향가와 게송 연구의 상호 관계와 방법론적 전망-
『균여전(均如傳)』의 재인식 -10세기 향가, 그 한역이 제기했던 문제-
나말여초(羅末麗初) 한시의 유형과 내면세계 -재당(在唐) 시기 작품을 중심으로-
고려 전·중기 한문산문의 창작 실제와 이제현의 고문창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7-11-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
2017-10-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 |
2017-10-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8 | 0.93 | 2.124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