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진오, "헌법해의" 명세당 1949
2 권영설, "헌법이론과 헌법담론" 법문사 2006
3 유진오, "헌법의 기초이론" 일조각 1956
4 유진오, "헌법기초회고록" 일조각 1980
5 이영록,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회’(1948)의 정치적․사상적 역학관계에 관한 분석" 한국헌법학회 7 (7): 2001
6 황승흠, "제헌헌법 ‘제6장 경제’ 편의 형성과정과 그것의 의미" 한국법사학회 (30) : 109-155, 2004
7 이영록, "유진오 헌법사상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술정보 2006
8 신우철, "비교헌법사: 대한민국 입헌주의의 연원" 법문사 2008
9 김수용, "건국과 헌법-헌법논의를 통해 본 대한민국건국사" 경인문화사 2008
10 稻田正次, "明治憲法成立史(上)" 有斐閣 1960
1 유진오, "헌법해의" 명세당 1949
2 권영설, "헌법이론과 헌법담론" 법문사 2006
3 유진오, "헌법의 기초이론" 일조각 1956
4 유진오, "헌법기초회고록" 일조각 1980
5 이영록,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회’(1948)의 정치적․사상적 역학관계에 관한 분석" 한국헌법학회 7 (7): 2001
6 황승흠, "제헌헌법 ‘제6장 경제’ 편의 형성과정과 그것의 의미" 한국법사학회 (30) : 109-155, 2004
7 이영록, "유진오 헌법사상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술정보 2006
8 신우철, "비교헌법사: 대한민국 입헌주의의 연원" 법문사 2008
9 김수용, "건국과 헌법-헌법논의를 통해 본 대한민국건국사" 경인문화사 2008
10 稻田正次, "明治憲法成立史(上)" 有斐閣 1960
11 家永三郞, "新編 明治前期の憲法構想" 福村出版 2005
12 井上毅, "憲法義解(未完草稿). in 憲法資料(中卷)" 原書房 1970
13 美濃部達吉, "憲法撮要" 有斐閣 1924
14 신우철, "大韓民國憲法(1948)의 “民主主義 諸 制度 樹立” -그 역사적 연속성의 복원을 위하여-" 중앙법학회 11 (11): 7-50, 2009
15 張學仁, "二十世紀之中國憲政" 武漢大學出版社 2002
16 邱遠猷, "中華民國開國法制史-辛亥革命法律制度硏究" 首都師範大學出版社 1997
17 吳宗慈, "中華民國憲法史(前篇)(1924)" 臺聯國風出版社 1924
18 吳經熊, "中國制憲史(1937)" 上海書店 1937
19 J.Isensee, "Staat und Verfassung. in Handbuch des Staat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I" C. F. Müller 1987
20 Jellinek, Georg, "Allgemeine Staatslehre, 5. Neudr. der 3. Aufl., 1928(1. Aufl., 1900)" Max Gehlen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