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에서의 『선가귀감(禪家龜鑑)』 간행과 그 영향 = The reprint of 『Seonga gwigam(禪家龜鑑)』 and its effect o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2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가귀감』은 청허 휴정(淸虛 休靜, 1520~1604)의 저술이며 한국에서 11번 간행된 바가 있다. 이 문헌은 일본까지 전해져 17세기에 총 5번(1635, 1638, 1677×2, 1678)이나 간행되었고 또한 『선가귀감...

      『선가귀감』은 청허 휴정(淸虛 休靜, 1520~1604)의 저술이며 한국에서 11번 간행된 바가 있다. 이 문헌은 일본까지 전해져 17세기에 총 5번(1635, 1638, 1677×2, 1678)이나 간행되었고 또한 『선가귀감고(禪家龜鑑考)』와 『선가귀감오가변(禪家龜鑑五家辨)』이라는 주석본까지 저술되었다. 이들은 일본에서 이루어진 휴정에 대한 평가와 17세기 무렵 한국과 일본 사이의 불교교류라는 측면에서도 살펴볼 수 있는 유익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일본에서 최초로 간행된 1635년판이 한국에서 간행된 판본 중에서 어느 판을 저본으로 하여 간행한 것인지, 그리고 일본 전래에 대해서 사명 유정설의 가능성, 그리고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일본판 『선가귀감』의 간행자 문제를 살펴봤다. 『선가귀감』은 17세기 초에 한·일 외교를 담당했던 키하쿠 겐포(規伯玄方, 1558~1661)에 의하여 전래되었다. 2장에서는 1670년대에 간행된 주석본에 나타난 해석 가운데 저자 ``퇴은(휴정)``과 ``삼처전심(三處傳心)``에 주목하여 살펴봤다. ``퇴은=보진``이 라는 잘못된 인식에 대해서는 임진왜란 이후 한국에서 일본으로 보낸 편지에 휴정을 보진이라고 위조했던 것을 지적하였다. 삼처전심에 관해서는 제2처 ``염화(拈華)``는 일본에서 『선가귀감』 전래 이전부터 『무문관(無門關)』을 통하여 중시되어 왔고 『선가귀감』은 염화의 진위를 거론함에 있어 염화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수용되었을 것이다. 3장에서는 17세기 임제종 활동과 『선가귀감』 주석서를 살펴봤다. 17세기 임제종은 명(明)에서 온 불교와 승려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종파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종파로 분열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선종 법맥이나 임제종풍을 다룬 『선가귀감오가변』이 저술되었다. 코린젠이(虎林全威)는 『경덕전등록』 권14의 천황도오(天皇道悟)설과 코칸시렌(虎關師?)이 오가가 마조에서 모두 나왔다고 저술한 『오가변(五家辨)』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더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해서는 송·원대에 성행했던 선불교, 특히 간화선이 16~17세기에 어떠한 전개를 보이며, 또한 한국과 일본 양국에 어떻게 유통되고 수용되었는지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 어떤 시기에 어떠한 불서와 주석본이 출판되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17세기 일본의 선종 경향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을 통해서 볼 때, 17세기 일본 선적 간행에 있어서 『선가귀감』이 차지하는 위상을 또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nga gwigam(禪家龜鑑)』 was written by Cheongheo Hyujeong(淸虛休靜, 1520~1604). However, this book was reprin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five times in 17th century. Also, there are two annotations of this book : 『Seonga gwi...

      『Seonga gwigam(禪家龜鑑)』 was written by Cheongheo Hyujeong(淸虛休靜, 1520~1604). However, this book was reprin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five times in 17th century. Also, there are two annotations of this book : 『Seonga gwigam go(禪家龜鑑考)』 and 『Seonga gwigam ogabyun(禪家龜鑑五家辨)』. These materials gave us information about how Hyujeong was evaluated by Japanese people and the Korea~Japan exchange of buddhism in 17th century. In this paper, I examine the ‘toeen(退隱)’ and ‘samcho chosim(三處傳心). The misconception of identifying ‘toeen’ with ‘Hyujeong’ stem from the letter sending to Japan. In regard to ‘samcho chosim’, Kihaku Genpo(規伯玄方, 1588~1661), who didn`t understand what it means, returned to Joseon and met Insomu(仁暹), finally resolving the question. He cited ‘samcho chosim’ of 『Seonga gwigam』 when he wrote the 『Mumungwan Jiwoncyo(無門關自雲?)』. In 17th century, Imjejyong(臨濟宗) was divided into two party, one who positively consider the monks who came from ‘Ming(明)’ and the other who don`t accept them. Under these circumstances, 『Seonga gwigam ogabyun』 was written by Korin Zeni(虎林全威), which deals with the succession of Zen buddhism and the tradition of ‘Imja order’, was finally published. By examining the publication of buddhist annotations in this period, we could illuminate the backgrounds that allow to accept 『Seonga gwigam』 in late 17th Century Furthermore, we need to more discuss about the Zen buddhism in Song and Yuan dynasty specifically from which the trend of Zen would be clea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태, "청허 휴정과 조선후기 선과 화엄" 불교문화연구원 (73) : 63-90, 2015

      2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3 김용태, "조선시대 불교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불교학회 68 : 495-528, 2013

      4 김성욱, "삼처전심(三處傳心)에 대한 논의 연구: 기원과 의미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46 : 189-215, 2016

      5 李元植, "사명당 유정" 四溟堂記念事業會 2000

      6 "首家禪家龜鑑 1678년판"

      7 "首家禪家龜鑑 1677년 a, b판"

      8 森大狂, "近古禪林叢談" 藏經書院 1919

      9 川瀨和馬, "近世初期に於ける禪籍の開版" 10 : 1967

      10 笹尾哲雄, "近世に於ける妙心寺敎團と大悲寺" 文藝社 2002

      1 김용태, "청허 휴정과 조선후기 선과 화엄" 불교문화연구원 (73) : 63-90, 2015

      2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3 김용태, "조선시대 불교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불교학회 68 : 495-528, 2013

      4 김성욱, "삼처전심(三處傳心)에 대한 논의 연구: 기원과 의미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46 : 189-215, 2016

      5 李元植, "사명당 유정" 四溟堂記念事業會 2000

      6 "首家禪家龜鑑 1678년판"

      7 "首家禪家龜鑑 1677년 a, b판"

      8 森大狂, "近古禪林叢談" 藏經書院 1919

      9 川瀨和馬, "近世初期に於ける禪籍の開版" 10 : 1967

      10 笹尾哲雄, "近世に於ける妙心寺敎團と大悲寺" 文藝社 2002

      11 椎名宏雄, "護國聖師西山의 思想" 大韓傳統佛敎硏究院 1986

      12 李鍾益, "西山・四溟禪風이 日本禪宗에 미친 影響"

      13 김영태, "西山大師의 生涯와 思想" 博英社 1982

      14 申正午, "西山大師の禪家龜鑑硏究" 山喜房佛書林 1991

      15 義諦, "禪籍志" 大法輪閣 2007

      16 無著道忠, "禪林象器箋" 貝葉書院 1909

      17 上村觀光, "禪林文芸史譚" 大鐙閣 1919

      18 禹貞相, "禪家龜鑑의 刊行流布考" 14 : 1977

      19 忽滑谷快天, "禪家龜鑑講和" 光融館 1911

      20 "禪家龜鑑考"

      21 虎林全威, "禪家龜鑑五家辨"

      22 "禪家龜鑑 1635, 1638년판"

      23 休靜, "禪家龜鑑 (韓國佛敎全書 7)"

      24 今枝愛眞, "禪宗の歷史" 至文堂 1976

      25 伊吹敦, "禪の歷史" 法藏館 2011

      26 規伯玄方, "無門關自雲鈔" 臨川書店 1999

      27 西村惠信, "無門關" 岩波書店 1994

      28 休靜, "淸虛堂集 (韓國佛敎全書 7)"

      29 김호귀, "淸虛休靜의 五家法脈 인식의 배경에 대한 고찰" 한국선학회 (22) : 111-164, 2009

      30 慶應義塾大學附屬硏究所斯道文庫, "江戶時代書林出版書籍目錄集成 1677년 a판" 井上書房 1964

      31 淺井了宗, "江戶時代初期の佛書開版" 50 : 1962

      32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 春秋社 1930

      33 柳澤昌紀, "寬永期の江戶の本屋・杉田勘兵衛尉" 3 : 2002

      34 "宣祖實錄"

      35 惟政, "四溟堂大師集 (韓國佛敎全書 8)"

      36 中野三敏, "和本のすすめ" 岩波書店 2011

      37 堀內信, "南紀德川史" 南紀德川史刊行會 1932

      38 小川靈道, "內野台嶺先生追悼論文集" 內野台嶺先生追悼論文集刊行會 1954

      39 "五峯集"

      40 石井修道, "三論敎學と佛敎諸思想" 春秋社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2 1.92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