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화엄경소초』의 판각과 영징이본대교(靈澄二本對校) 」본의 의의 = Engraving the 『Hua um kyung so cho(華嚴經疏?)』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nd significance of 「Yeongjingibondaegyo(靈澄二本對校)」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2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에 『대방광불화엄경소초(大方廣佛華嚴經疏?)』 (이하 『화엄경소초』)는 1690년 징광사, 1775년 영각사, 1856년 봉은사 총 3번 판각된다. 조선 후기에 판각된 『화엄경소초』는 이전...

      조선 후기에 『대방광불화엄경소초(大方廣佛華嚴經疏?)』 (이하 『화엄경소초』)는 1690년 징광사, 1775년 영각사, 1856년 봉은사 총 3번 판각된다. 조선 후기에 판각된 『화엄경소초』는 이전의 연구를 통해서 세 판본의 판각 경위, 각 판본의 서문·발문·간행질, 그리고 판각이 미친 영향 등에 대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오류도 몇 군데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으로는 봉은사본(奉恩寺本)의 인자호(人字號)에 실려 있는 「화엄합본삼간후서(華嚴合本三刊後序)와 「영징이본대교(靈澄二本對校)」 가 있다. 특히, 「영징이본대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인지 파악되지 않았었다. 「화엄합본삼간후서」에서는 봉은사본 『화엄경소초』의 판각 배경을 살펴 볼 수 있으며, 「영징이본대교」에서는 영각사본(靈覺寺本) 『화엄경소초』와 징광사본(澄光寺本) 『화엄경소초』, 두 판본을 대교하여 차이가 있는 글자를 정리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690년 징광사본이 판각되기 이전에 『화엄경소초』의 전래와 세 판본의 판각 배경 등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영징이본대교」를 분석한 결과 첫째, 봉은사본은 영각사본의 복각이 아니며, 징광사본을 복각한 것이며, 둘째, 영각사본은 징광사본에서 잘못 된 부분을 교감하여 판각한 판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background of three different volume of 『Hua um kyung so ch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Dae bang guang bul hua um kyung so cho』 was engraved three times : at Jinggwangsa(澄...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background of three different volume of 『Hua um kyung so ch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Dae bang guang bul hua um kyung so cho』 was engraved three times : at Jinggwangsa(澄光寺) in 1690, at Yeonggaksa(靈覺寺) in 1775, at Bongeunsa(奉恩寺) in 1856. It show us the process and effects of woodcutting which indicate the preface, postscript, and quality of each scriptures. However, there are some part which cannot be handled previously, that is, 「Hua um hap bon sam gan hu seo(華嚴合本三刊後序)」and 「Yeongjingibondaegyo(靈澄二本對校)」on the In-Ja-Ho(人字號) at Bongeunsa. Especially, the explanation of 「Yeongjingibondaegyo」was not found so that the specific contents are still unknown. In 「Hua um hap bon sam gan hu seo」, I examine the background 『Hua um kyung so cho』 at Bongeunsa. Also, in 「Yeongjingibondaegyo」, I compare the 『Hua um kyung so cho』 at Yeonggaksa with that of Jinggwangsa, confirming the different letters between two scriptures As a result, I can draw two conclusion : First, the volume of Bongeunsa is not the reproduction of Yeonggaksa, but that of Jinggwangsa. Second, the volume of Yeonggaksa is published by proofreading the volume of Jinggwangs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희, "한국불교사연구입문 下" 지식산업사 2013

      2 혜남, "청량 ‘화엄경소초’의 流傳" 7 : 1992

      3 김용태, "조선후기 중국 불서의 유통과 사상적 영향" 보조사상연구원 (41) : 197-243, 2014

      4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6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문화연구원 (61) : 297-332, 2012

      7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한국서지학회 (56) : 327-352, 2013

      8 이종수,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회 21 : 259-295, 2008

      9 김용태, "동아시아의 澄觀 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 송대와 조선후기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61) : 267-296, 2012

      10 이지관, "韓國佛敎에 있어 華嚴經의 位置" 20 : 1983

      1 이정희, "한국불교사연구입문 下" 지식산업사 2013

      2 혜남, "청량 ‘화엄경소초’의 流傳" 7 : 1992

      3 김용태, "조선후기 중국 불서의 유통과 사상적 영향" 보조사상연구원 (41) : 197-243, 2014

      4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6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문화연구원 (61) : 297-332, 2012

      7 이종수,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한국서지학회 (56) : 327-352, 2013

      8 이종수,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회 21 : 259-295, 2008

      9 김용태, "동아시아의 澄觀 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 송대와 조선후기 화엄교학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61) : 267-296, 2012

      10 이지관, "韓國佛敎에 있어 華嚴經의 位置" 20 : 1983

      11 "華嚴經疏鈔"

      12 "華嚴經玄談"

      13 최영호, "海印寺所藏本『大方廣佛華嚴經疏』・『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의 판각성격" 4 : 1997

      14 이상백, "歸眞寺와 간행 불경 연구" 한국서지학회 (58) : 465-495, 2014

      15 이지관, "德裕山靈覺寺誌" 7 : 1998

      16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17 "大方廣佛華嚴經疏"

      18 김종진, "1850년대 불서판각운동과 불교가사-남호영기를 중심으로" 14 : 2004

      19 손성필, "16·17세기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동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2 1.92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