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상선, "학제간 융합수업의 핵심역량 향상 효과 분석 - 대인관계, 자원 ‧ 정보 ‧ 기술의 활용,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 대한공업교육학회 41 (41): 151-171, 2016
2 황인표, "통합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탐구영역의 쟁점과 개발 방향에 대한 일고"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191-226, 2014
3 정광순, "통합수업의 관점에서 본 차기 교과교육과정 개정" 105-123, 2015
4 노상우,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원 10 (10): 75-96, 2012
5 정미경, "초 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6 김소연, "창의성 향상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융합교육연구소 4 (4): 53-81, 2018
7 방기혁,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1 (21): 1-23, 2015
8 강정찬,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76-305, 2015
9 홍광표,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77-99, 2015
10 김성원,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388-401, 2012
1 이상선, "학제간 융합수업의 핵심역량 향상 효과 분석 - 대인관계, 자원 ‧ 정보 ‧ 기술의 활용,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 대한공업교육학회 41 (41): 151-171, 2016
2 황인표, "통합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탐구영역의 쟁점과 개발 방향에 대한 일고"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191-226, 2014
3 정광순, "통합수업의 관점에서 본 차기 교과교육과정 개정" 105-123, 2015
4 노상우,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원 10 (10): 75-96, 2012
5 정미경, "초 중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6 김소연, "창의성 향상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융합교육연구소 4 (4): 53-81, 2018
7 방기혁,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1 (21): 1-23, 2015
8 강정찬,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76-305, 2015
9 홍광표,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77-99, 2015
10 김성원,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388-401, 2012
11 박지혜, "융합수업의 능동적·협동적 학습활동이 비판적 사고력 및 협동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전략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8 (38): 127-152, 2020
12 신은수,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 한국교원대학교융합교육연구소 6 (6): 71-102, 2020
13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14 정성호, "융합교육의 방향성 탐색: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융합교육연구소 1 : 75-94, 2015
15 손동헌,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21-32, 2009
16 주경일, "융복합교육에 대한 대학 교수자의 수용의도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24 (24): 137-166, 2020
17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18 정환희, "예비교사 대상 ‘동양윤리사상’ 교과목의 창의융합형 수업 사례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589-603, 2021
19 정재원,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07-331, 2015
20 홍병선,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합교과목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51-78, 2009
21 박민정,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25-46, 2011
22 허지숙, "공학 융합역량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생의 인식 비교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23 (23): 3-13, 2020
23 교육부, "고교학점제 종합추진 계획"
24 Morais, M., "The curriculum in its structural and interactional dimensions : Basil Bernstein’s perspective" 14 (14): 405-431, 2019
25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 11 (11): 124-139, 2011
26 윤옥한,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43-474, 2017
27 Yakman, G.,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120-121, 2007
28 Choi, K.,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48 (48): 670-697, 2011
29 Gao, H.,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optimization of interdisciplinary STEAM school-based curriculum" 116-121, 2020
30 Drake, S. M.,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Corwin Press 255-, 1998
31 김규태, "Bernstein의 집합형과 통합형 관점에서 본 교육정책에 의한 교직변화의 방향과 양상"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49-70, 2012
32 Richard, Y. C. L., "Applying online and blended learning structure to teaching practice for STEAM Education" 1-5, 2020
33 Jesionkowska, J., "Active Learning Augmented Reality for STEAM Education;A Case Study" 10 (10): 1-15, 2020
34 황의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의 교육과정 혁신 방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5 (25): 229-238, 2020
35 국민대학교, "2019 대학기관 평가 인증을 위한 국민대학교 자체진단 평가보고서" 국민대학교 교무팀 65-72, 2019
3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