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건교사의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4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burnout on job satisfac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school nurs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burnout on job satisfac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school nurs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rch is a cross-sectional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131 school health teachers (school nurses) in Korea.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v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leadership,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ver. 23). Resul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r=.384, p<.001).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r=-.748, p<.001) and between burnout and self-leadership (r=-.308, p<.001). The factors that enhance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lower burnout and higher self-leadership. The results of the 3-step regression are as follows: First, burnou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leadership. Second, burnou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Zab=3.271, p<.001).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elf-leadership is needed in order to raise job satisfaction and reduce burnou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목적
      • 연구방법
      • ABSTRACT
      •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목적
      • 연구방법
      • 1. 연구설계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3. 연구도구
      • 4. 자료분석
      • 연구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 직무만족, 셀프리더십의 차이
      • 2. 보건교사의 소진, 직무만족, 셀프리더십의 정도
      • 3. 보건교사의 소진, 직무만족, 셀프리더십 사이의 상관관계
      • 4. 보건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 보건교사의 소진과 직무만족 간에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논의
      •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복례, "호스피스 간호사의 직무만족 관련 영향 요인: 감정노동과 소진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 20 (20): 322-331, 2014

      2 이정희,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역할적응 과정: 자기자리 만들어 가기" 한국간호과학회 44 (44): 305-316, 2014

      3 염영희, "직무요구-자원모형에 의한 간호사의 소진과 직무만족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3 (43): 114-122, 2013

      4 김은정, "조직문화와 셀프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81-101, 2010

      5 한미영,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1 (21): 193-202, 2015

      6 이지연, "완벽주의 성향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45-59, 2011

      7 양필석, "심리적 자본이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인사관리학회 36 (36): 1-29, 2012

      8 김정희,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75-190, 2014

      9 김정희, "보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김근곤,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9 (9): 22-42, 2011

      1 정복례, "호스피스 간호사의 직무만족 관련 영향 요인: 감정노동과 소진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 20 (20): 322-331, 2014

      2 이정희,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역할적응 과정: 자기자리 만들어 가기" 한국간호과학회 44 (44): 305-316, 2014

      3 염영희, "직무요구-자원모형에 의한 간호사의 소진과 직무만족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3 (43): 114-122, 2013

      4 김은정, "조직문화와 셀프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81-101, 2010

      5 한미영,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1 (21): 193-202, 2015

      6 이지연, "완벽주의 성향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45-59, 2011

      7 양필석, "심리적 자본이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인사관리학회 36 (36): 1-29, 2012

      8 김정희,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75-190, 2014

      9 김정희, "보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김근곤,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9 (9): 22-42, 2011

      11 조대연,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서울시 중등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2 (42): 51-80, 2015

      12 최승혜, "간호조직문화,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가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0 (20): 206-214, 2014

      13 김영희,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1939-1951, 2009

      14 원효진,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에 관한 문헌분석" 간호행정학회 19 (19): 382-393, 2013

      15 서문경애,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개인성과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1 (11): 45-58, 2005

      16 박미미,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의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51-61, 2013

      17 Ki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at secondary schools" Soongsil University 2002

      18 Reuben M. Baron,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51 (51): 1173-1182, 1986

      19 Christina Maslach,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Wiley 2 (2): 99-113, 1981

      20 C. C. Manz, "Taking the Self-Leadership High Road: Smooth Surface or Potholes Ahead?" Academy of Management 29 (29): 132-151, 2015

      21 Franz Faul,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Springer Nature 41 (41): 1149-1160, 2009

      22 M. Kay Libbus, "School Nurses: Voices From the Health Room" Wiley 73 (73): 322-324, 2003

      2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chool Health Act No. 14055, 2016. 3. 2. amendmen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4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lan for school health education and students’ health promotio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5 Apiradee Nantsupawat, "Nurse Burnout, Nurse-Reported Quality of Care, and Patient Outcomes in Thai Hospitals" Wiley 48 (48): 83-90, 2016

      26 Best MF, "Measuring nurse job satisfaction" 34 (34): 283-290, 2004

      27 Maslach C, "Job burnout" 52 : 397-422, 2001

      28 Park E.,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health teachers: Focused on work environment, work-related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Korea University 2011

      29 Michael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JSTOR 13 : 290-312, 1982

      30 Marcia Foley, "A Multi-Factor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mong School Nurses" SAGE Publications 20 (20): 94-100,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7 1.53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