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라는 조직처럼 리더십에 대하여 많이 연구하고 실행하는 곳이 많지 않을것라 생각한다. 하지만 오랜시간 리더십에 대하여 연구해온다고 하여도 사람이 변화하고 시대가 변화하면서 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82014
춘천 : 강원대학교, 2013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 2013. 2
2013
한국어
391.22 판사항(5)
강원특별자치도
A study on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in the ROK Army, intelligence battalion as mediator variable
94 L. : 삽도 ; 26 cm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홍형득
참고문헌 : L.72-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군대라는 조직처럼 리더십에 대하여 많이 연구하고 실행하는 곳이 많지 않을것라 생각한다. 하지만 오랜시간 리더십에 대하여 연구해온다고 하여도 사람이 변화하고 시대가 변화하면서 리...
군대라는 조직처럼 리더십에 대하여 많이 연구하고 실행하는 곳이 많지 않을것라 생각한다. 하지만 오랜시간 리더십에 대하여 연구해온다고 하여도 사람이 변화하고 시대가 변화하면서 리더십도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21세기의 전장환경의 변화,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 인간존중의 가치 확산, 구성원의 다양성 증가, 입대 장병들의 의식구조와 행동양식 변화 등과 같은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군은 어떠한 리더십을 원하는가와 군과는 조금 떨어져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군에서 효과성을 가질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이 들어 본 논문을 쓰게 되었다.
군이라는 대표적인 관료제 집단에서 다른사람을 섬긴다는 서번트 리더십이 과연 효과성을 나타낼수 있을까라는 의문에 대하여서는 아무리 관료제 집단이고 계급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결국은 사람과 사람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집단이라는 점에서 서번트 리더십도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알게 되었으나 그 영향력 자체가 크지않아 서번트 리더십만으로 군을 이끌어 갈수는 없으며 또 다른 리더십과의 조화를 통하여 자신의 조직원을 이끌어 가야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