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얼굴 구성요소를 통한 소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munication through facial compon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18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다. 우리는 늘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간다.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바탕에는 의사소통이라는 관계적 측면이 필요하다. 타인과의 관계, 즉 소통은 인간의 삶에 늘 존재하는 고민거리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의 영향으로 막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점도 있으나,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인간을 점점 고립시키면서 고독과 소외라는 사회적 병폐를 낳고 있다.
      타자와 내가 ‘하나’ 라는 개념이 무색해지고, 타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해결하려하는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 그로 인해 타자의 생각이나 느낌, 행복에는 자연스레 관심이 없어지고 서로 필요한 것만 주고받는 형식적인 인간관계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인간의 감정을 피폐하게 만들고, 진정한 인간관계에 의한 소통에는 점진적으로 관심이 없어지게 만든다. 타자에 대한 무관심과 자아의 정체성 의미에 대한 이해 부족은 의사소통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현대인의 사회성을 강화시키고, 소통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타자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진실한 접근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소통은 서로의 마음을 열게 하고, 인간적인 교감을 형성하며, 바람직한 인간관계로 이어진다. 만남의 연속인 우리의 삶 속에서 소통을 잘한다는 것은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서로 이해하면서 대인 관계가 원만해지며, 올바른 자아 형성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자는 소통이란 나와 타자를 공유적 관계로 연결시키는 통로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현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통 부재로 인한 인간관계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소통의 방법을 연구하여 자기 성찰을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진실한 소통을 하려하는 자신의 모습을 투영시키기 위해 얼굴 구성요소인 눈, 귀, 입의 이미지를 투명한 질감의 pvc 필름과 ohp 필름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촘촘한 구멍으로 구성된 유공 철판을 사용하였으며, 구멍의 의미를 소통의 통로로 연관지어 타자와의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것임을 표현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다. 우리는 늘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간다.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바탕에는 의사소통이라는 관계적 측면이 필요하다. 타인과의 관계, 즉 소통은...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다. 우리는 늘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간다.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바탕에는 의사소통이라는 관계적 측면이 필요하다. 타인과의 관계, 즉 소통은 인간의 삶에 늘 존재하는 고민거리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의 영향으로 막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점도 있으나,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인간을 점점 고립시키면서 고독과 소외라는 사회적 병폐를 낳고 있다.
      타자와 내가 ‘하나’ 라는 개념이 무색해지고, 타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해결하려하는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 그로 인해 타자의 생각이나 느낌, 행복에는 자연스레 관심이 없어지고 서로 필요한 것만 주고받는 형식적인 인간관계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인간의 감정을 피폐하게 만들고, 진정한 인간관계에 의한 소통에는 점진적으로 관심이 없어지게 만든다. 타자에 대한 무관심과 자아의 정체성 의미에 대한 이해 부족은 의사소통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현대인의 사회성을 강화시키고, 소통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타자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진실한 접근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소통은 서로의 마음을 열게 하고, 인간적인 교감을 형성하며, 바람직한 인간관계로 이어진다. 만남의 연속인 우리의 삶 속에서 소통을 잘한다는 것은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서로 이해하면서 대인 관계가 원만해지며, 올바른 자아 형성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자는 소통이란 나와 타자를 공유적 관계로 연결시키는 통로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현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통 부재로 인한 인간관계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소통의 방법을 연구하여 자기 성찰을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진실한 소통을 하려하는 자신의 모습을 투영시키기 위해 얼굴 구성요소인 눈, 귀, 입의 이미지를 투명한 질감의 pvc 필름과 ohp 필름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촘촘한 구멍으로 구성된 유공 철판을 사용하였으며, 구멍의 의미를 소통의 통로로 연관지어 타자와의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것임을 표현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ople are social beings. We always meet new people and make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need the relational aspect of communication on the background. Relationship with others, or communication, is the concern that always exists in human life.
      In the modern society, people can easily access an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but the flood of information constantly isolates people to cause the social malady of solitude and isolation.
      The concept of 'oneness' between myself and other is blurred and each individual tends to solve his/her own problems without relying on others. Many people has lost interest in others' thoughts, feelings, and happiness to make formal relationships where they exchange only what they need.
      These problems make people's emotions impoverished and gradually deprive people of their interests in communication through truthful social relationships. People's indifference of others and lack of understanding on personal identity can make communication even more difficult.
      In order to improve modern people's social skills for better communication, they should be interested in others and need to approach others truthfully.
      Active communication opens each other's mind, forms humane sympathy, and leads to sound social relationships. In our lives of continuous encounters, being able to communicate well mean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for a sou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 righteous ego.
      I believe that communication is the passageway that connects me and other through shared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roblems of social relationships that occur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study the right method of communication for self-examination.
      For this purpose, I expressed the images of eyes, ears, and mouth, the components of my face, using clear PVC filmes and OHP films to project how I look when attempting truthful communication. A bored steel plate with densely placed holes was used and the meaning of holes was related to the passageway of communication as the mean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번역하기

      People are social beings. We always meet new people and make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need the relational aspect of communication on the background. Relationship with others, or communication, is the concern that always exists in human life...

      People are social beings. We always meet new people and make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need the relational aspect of communication on the background. Relationship with others, or communication, is the concern that always exists in human life.
      In the modern society, people can easily access an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but the flood of information constantly isolates people to cause the social malady of solitude and isolation.
      The concept of 'oneness' between myself and other is blurred and each individual tends to solve his/her own problems without relying on others. Many people has lost interest in others' thoughts, feelings, and happiness to make formal relationships where they exchange only what they need.
      These problems make people's emotions impoverished and gradually deprive people of their interests in communication through truthful social relationships. People's indifference of others and lack of understanding on personal identity can make communication even more difficult.
      In order to improve modern people's social skills for better communication, they should be interested in others and need to approach others truthfully.
      Active communication opens each other's mind, forms humane sympathy, and leads to sound social relationships. In our lives of continuous encounters, being able to communicate well mean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for a sou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 righteous ego.
      I believe that communication is the passageway that connects me and other through shared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roblems of social relationships that occur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study the right method of communication for self-examination.
      For this purpose, I expressed the images of eyes, ears, and mouth, the components of my face, using clear PVC filmes and OHP films to project how I look when attempting truthful communication. A bored steel plate with densely placed holes was used and the meaning of holes was related to the passageway of communication as the mean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본론 3
      • 1. 소통의 일반적 고찰 3
      • 1) 소통의 의미 3
      • 2) 소통의 심리적인 문제점 5
      • Ⅰ. 서론 1
      • Ⅱ. 본론 3
      • 1. 소통의 일반적 고찰 3
      • 1) 소통의 의미 3
      • 2) 소통의 심리적인 문제점 5
      • 3) 얼굴 구성요소를 통한 소통의 방법 8
      • 2.작품 분석 10
      • 1) 작품 형성 배경 10
      • 2) 작품 설명 13
      • Ⅲ. 결론 19
      • 작품도판 21
      • 참고문헌 29
      • ABSTRACT 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