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간 이후의 문학, 인간 너머의 서사—20세기 한국 포스트휴먼 SF의 출현과 전개 = Narratives After the Human, Narratives Beyond the Human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20th-Century Korean Posthuman Science Fi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3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20세기 한국 SF 장르 소설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 상상력의 변천과 그 의미를 탐색한다. 포스트휴먼 연구는 인간 이후, 인간 너머, 인간의 미래와 종언에 관한 성찰로, 디지털 및 정보 기술의 발전, 기후 위기와 인류세적 생태 위기와 같은 조건은 한국 소설의 상상력을 변모시켰다. 포스트휴먼 문학을 소재와 주제 측면에서 ‘포스트휴먼에 관한’, 창작 과정에서 ‘포스트휴먼에 의한’, 독자의 관점에서 ‘포스트휴머니즘적 읽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고, 20세기 한국 SF에서 이러한 포스트휴먼 상상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었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식민지 시기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포스트휴먼 SF의 출현과 전개 과정을 탐구하며, 각 시기의 주요 작가와 텍스트를 다룬다. 식민지 시기 이광수와 김동인의 작품을 통해 로봇과 인조인 등 기술적 비인간 주체에 대한 계몽적 낙관과 비판적 시각의 두 가지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복거일과 듀나를 비롯한 후대 작가들이 창작한 포스트휴먼 서사의 기초가 된다. 1990년대는 개인용 컴퓨터와 PC 통신망의 확산,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포스트휴먼 SF가 새롭게 부흥하는 시기로, 과학기술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바탕으로 한국 SF의 지평을 넓혔다.
      이 논문은 포스트휴먼 문학이 인간의 정체성과 본질,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기술과학과의 관계 속에서 인류의 미래와 윤리적 책임을 탐구하는 장르임을 재확인한다. 20세기 한국 포스트휴먼 SF는 AI와 기후 위기 등 첨단 기술과 기술 재앙으로 요약되는 현대 포스트휴먼 문화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앞으로도 기술 발전과 함께 계속해서 확장되고 변화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20세기 한국 SF 장르 소설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 상상력의 변천과 그 의미를 탐색한다. 포스트휴먼 연구는 인간 이후, 인간 너머, 인간의 미래와 종언에 관한 성찰로, 디지털 및 정...

      이 논문은 20세기 한국 SF 장르 소설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 상상력의 변천과 그 의미를 탐색한다. 포스트휴먼 연구는 인간 이후, 인간 너머, 인간의 미래와 종언에 관한 성찰로, 디지털 및 정보 기술의 발전, 기후 위기와 인류세적 생태 위기와 같은 조건은 한국 소설의 상상력을 변모시켰다. 포스트휴먼 문학을 소재와 주제 측면에서 ‘포스트휴먼에 관한’, 창작 과정에서 ‘포스트휴먼에 의한’, 독자의 관점에서 ‘포스트휴머니즘적 읽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고, 20세기 한국 SF에서 이러한 포스트휴먼 상상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었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식민지 시기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포스트휴먼 SF의 출현과 전개 과정을 탐구하며, 각 시기의 주요 작가와 텍스트를 다룬다. 식민지 시기 이광수와 김동인의 작품을 통해 로봇과 인조인 등 기술적 비인간 주체에 대한 계몽적 낙관과 비판적 시각의 두 가지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복거일과 듀나를 비롯한 후대 작가들이 창작한 포스트휴먼 서사의 기초가 된다. 1990년대는 개인용 컴퓨터와 PC 통신망의 확산,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포스트휴먼 SF가 새롭게 부흥하는 시기로, 과학기술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바탕으로 한국 SF의 지평을 넓혔다.
      이 논문은 포스트휴먼 문학이 인간의 정체성과 본질,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기술과학과의 관계 속에서 인류의 미래와 윤리적 책임을 탐구하는 장르임을 재확인한다. 20세기 한국 포스트휴먼 SF는 AI와 기후 위기 등 첨단 기술과 기술 재앙으로 요약되는 현대 포스트휴먼 문화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앞으로도 기술 발전과 함께 계속해서 확장되고 변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evolution of posthuman imagination and its significance within 20th-century Korean SF(Science/Speculative Fiction) genre literature. Posthuman studies encompass reflections on the posthuman, the beyond-human, and the future and end of humanity, while the development of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climate crisis, and the Anthropocene ecological crisis provide the backdrop for transforming the imaginative scope of Korean literature. The paper broadly defines posthuman literature as addressing “the posthuman” in terms of theme and subject, being created “by the posthuman”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allowing for “posthumanist readings” from the reader’s perspective. It analyzes how these facets of posthuman imagination were shaped and developed in 20th-century Korean SF.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1990s, the paper investigate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posthuman SF, examining major authors and texts from each era. Through the works of Yi Kwang-su and Kim Dong-in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identifies two directions: the enlightened optimism and the critical perspectives toward technological non-human subjects such as robots and artificial humans. These works laid the groundwork for posthuman narratives crafted by later authors like Bok Geo-il and Djuna. The 1990s marked a renewed flourishing of posthuman SF, coinciding with the spread of personal computers, PC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thereby expanding the horizons of Korean SF with various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per reaffirms that posthuman literature is a genre that poses new questions about human identity and essence, and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exploring the future of humanity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with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technoscience. The 20th-century Korean posthuman SF formed the foundation of modern posthuman culture characterized by advanced technology and technological catastrophe, such as AI and climate crisis, and will continue to evolve and expand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the evolution of posthuman imagination and its significance within 20th-century Korean SF(Science/Speculative Fiction) genre literature. Posthuman studies encompass reflections on the posthuman, the beyond-human, and the future and...

      This paper explores the evolution of posthuman imagination and its significance within 20th-century Korean SF(Science/Speculative Fiction) genre literature. Posthuman studies encompass reflections on the posthuman, the beyond-human, and the future and end of humanity, while the development of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climate crisis, and the Anthropocene ecological crisis provide the backdrop for transforming the imaginative scope of Korean literature. The paper broadly defines posthuman literature as addressing “the posthuman” in terms of theme and subject, being created “by the posthuman”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allowing for “posthumanist readings” from the reader’s perspective. It analyzes how these facets of posthuman imagination were shaped and developed in 20th-century Korean SF.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1990s, the paper investigate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posthuman SF, examining major authors and texts from each era. Through the works of Yi Kwang-su and Kim Dong-in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identifies two directions: the enlightened optimism and the critical perspectives toward technological non-human subjects such as robots and artificial humans. These works laid the groundwork for posthuman narratives crafted by later authors like Bok Geo-il and Djuna. The 1990s marked a renewed flourishing of posthuman SF, coinciding with the spread of personal computers, PC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thereby expanding the horizons of Korean SF with various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per reaffirms that posthuman literature is a genre that poses new questions about human identity and essence, and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exploring the future of humanity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with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technoscience. The 20th-century Korean posthuman SF formed the foundation of modern posthuman culture characterized by advanced technology and technological catastrophe, such as AI and climate crisis, and will continue to evolve and expand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e fu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